•충전기 및 외함 (배선용 차단기 내장) •축전지 및 수납 외함
•직류분전반
구 분 |
내 용 |
구 조 |
•자연통풍 냉각 구조 •축전지 설치용 취부대는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계단형으로 제작 •바닥에 함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철제 기초가대를 공급한다 |
외 함 |
•각 외함은 옥내용 단위 폐쇄 수직 자립형으로 한다 •외함의 전, 후면에는 문을 설치하고 전면에는 조작 및 감시를 할 수 있도록 계기, 제어스위치, 표시장치, 경보장치 등을 부착 •외함은 금속제 철판 및 보강 프레임을 사용하며 외함의 전후면에 문을 설치하고 두께는 2.3mm로 하며 측면과 상부는 최소 1.6mm 이상으로 한다 •철판은 부식방지 처리를 하고 난연성과 내구성이 좋은 페인트로 정전분체 도장을 한다 |
규격 및 성능
•균등 및 부동충전 기능을 갖추도록 한다
•충전기는 부동충전 방식에 따라 항상 밧데리가 완전 충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직류 연속 부하와 차단기 개폐동작으로 인한 급속한 부하변동에 적합함은 물론 원방제어용 RTU반의 직류 전원공급에 적합하도록 설계 제작하며, 충전기는 차단기 개폐동작시 예상되는 심한 전압강하로 인한 RTU의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충전기는 입력측과 출력측에 적절한 보호장치를 설치하며, 정류기 내부고장 과부하단락, 또는 밧데리에서 역류되는 전류풍에 대하여도 필요한 보호장치를 구비
•입력전압 ±10%에 대해 DC 출력전압은 2% 이내로 조정될 수 있게 한다
•AC(입력)측에 절연 변압기를 구비
•다음과 같은 보호장치를 갖추도록 한다
- 과전류 및 단락 - 과도전압 - 역전류
•충전기의 비정상 상태에 대한 경보 및 고장상태별 표시등을 구비
- AC 전원고장 - DC 전압 저하 - DC 전압 상승
- DC 지락 (지락 계전기 공급) - 축전지 충전전류 고장 - 충전기 온도 HIGH
•부동충전에서 균등충전으로의 절환은 수동이고, 다시 부동충전으로의 복귀는 설정시간 (0~장시간 조정)이 지난 후 자동으로 되도록 한다
•출력단자의 전압을 설정하기 위한 전압조정 장치를 구비
•직류계통은 접지하지 않고, AC 입력과 DC 출력은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도록 하며 외함 접지와도 분리
•충전기반에는 원방제어에 필요한 감시 및 경보를 위한 보조 계전기와 접점 등을 설치
•축전지는 장수명 무보수 밀폐형으로 한다
•축전지의 각 부품은 재질이 우수하고 내부식성이 강하며 안정된 특성이 유지되도록 충분한 기계적인 강도를 갖는 것을 사용
•축전지는 외부에서 극판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고 축전지의 적절한 곳에 전해액면 표시를 하여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외관시험(구조 및 치수검사) •절연내압시험
•회로 동작시험 •무부하 시험
•최대 출력시험 •전압 변동율 시험
•4시간 운전시험 •절연저항 시험
•전류제한시험 •효율측정 시험
•역률시험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방제어감시 설비 (0) | 2008.05.28 |
---|---|
기술시방 요약(충전기) (0) | 2008.05.28 |
자동절환 스위치(ATS) (0) | 2008.05.28 |
제3궤조 접촉방식 비교검토 (0) | 2008.05.28 |
설비별 제어감시 범위 (0) | 2008.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