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T 균압선 단선사고 예방 방법
1. 개 요
MST 균압선은 빔-하스펜선 구간에서 전차선과 조가선의 전위차와 순환전류에 의한 진동방지금구와 암-지지 클램프의 전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설되어 장애예방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런데 온도 변화에 따른 균압선 당겨짐 현상과 MST 균압선이 단선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전차선로 장애의 요인이 되는 원인을 분석하여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 MST 균압선의 설치모습
그림에서
②번 조가선측과 ④번 전차선측을 연결하여 전위차를 보상하고
②번, ③번, ④번 지점을 연결하여 순환전류에 의한 각종 금구류의 전식을 예방하게 된다
[그림 2]와 [그림 3]은 MST 균압선 설치前 진동방지금구를 고정하는 암-지지금구가 전위차와 순환전류에 의하여 전식된 모습이다.
2. 문제점
MST 균압선의 단순 설치 시 발생한 문제점은
첫째 온도변화에 따른 전차선과 조가선의 변동에 대하여 MST 균압선의 당겨짐 현상이다
동절기, 하절기 등 온도 변화가 심한 계절에 MST 균압선이 충분히 변동할 수 있도록 균압선의 여유를 주지 않아 콘넥타 금구가 체결된 전차선 부분이 과도한 장력을 받게 되어 전차선이 위로 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것은 판타그라프의 이선현상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느슨하게 체결된 전차선측 콘넥타 금구의 MST 균압선이 과도한 힘을 받아 빠지면서 전차선 아래로 쳐진다면 판타그라프에 부딪히게 되어 또다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온도변화와 체결상의 문제점은 설치 이후 계속적으로 개량 보수하여야 한다)
둘째 MST 균압선 지지점에서의 단선이다
전동차 운행시 판타그라프의 압상력에 의하여 전차선과 빔-하스펜선의 하-스펜선은 지속적으로 상,하 진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상,하 진동은 MST 균압선을 지지하는 교차 클램프와 콘넥타 금구의 지지점에 기계적인 진동을 발생시켜 균압선이 단선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열차 운행 횟수에 따라 현재 설치된 모든 MST 균압선이 단선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판타그라프의 압상력에 의한 상,하 진동에 대하여 충분히 견디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하지만 경제적으로 불리한 방법이다.
3. 대 책
온도변화에 대한 MST 균압선의 당겨짐 현상과 전차선의 상,하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기계적인 균압선 단선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형태의 MST 균압선 체결방법이 검토된다.
첫째 온도변화에 대한 전차선, 조가선의 신축작용에 대하여 충분한 움직임을 가지도록 MST 균압선에 곡선의 여장을 주어 전선의 신축에 의한 당겨짐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둘째 단선이 많이 발생하는 ①번, ③번, ⑤번 지점을 약 3~5㎝정도의 여유를 두고 수직으로 꺽어 상,하 진동에 의한 기계적 변화가 없도록 하고, ②번, ④번 지점에 커다란 곡선을 만들어 주어 전차선, 조가선, 하스펜선의 상,하 진동을 흡수하도록 한다.
앞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현재 시설된 MST 균압선은 온도변화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여유를 가지지 못하고 전차선, 조가선, 하스펜선의 상,하 진동이 MST 균압선에 직접적으로 움직임을 주어 반복적인 기계적 피로현상으로 단선현상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최근 운행되는 전동차는 VVVF(인버터 제어방식) 차량으로 편성 당 판타그라프의 설치 밀도가 커서 전차선로에 가해지는 기계적 진동은 더욱 증가하므로 MST 균압선의 단선현상은 더 많이 발생할 것이 예상된다.
MST 균압선 단선으로 인한 전차선로 장애예방을 위하여 개량한 MST 균압선 시설방법은 기계적인 상,하 진동에 대하여 안전이 보증되므로 전동차가 가장 많이 운행되는 기지 구내에 지속적으로 시설을 개량할 필요가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류식 전기철도 (0) | 2008.07.21 |
---|---|
절연구분장치 (0) | 2008.07.21 |
접지저항 저감 재료의 특성 (0) | 2008.07.20 |
전차선분야 염해대책 (0) | 2008.07.20 |
몰드 변압기의 비교 (0) | 200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