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로시험기(멀티테스타)사용법에 대하여
테스터기를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확인을 하는 것이다. 전압을 측정하는데 저항 레벨로 위치로 설정하면 바로 테스터에 무리한 영향을 주곤 한다. 또한 테스터는 가동 코일형의 전류계를 사용하여 직류전압 & 전류계, 교류전압․전류계 및 저항계 등으로 구성이 되며 측정범위도 넓은 계기이다. 측정정도는 2.5급 정도로 측정값의 정확도는 떨어지나 각 측정 회로별 모두 많은 렌지로 되어 있어서 취급도 간단하고, 소형이며 전기․전자기기의 고장발견이나 수리 등에 없어서는 안될 계기이다.
가) 구조 및 명칭
- 메타 보호 및 저항 소손 방지(휴즈 단락)
- 축전지 양부 체크(1.5V)
- 도통 시험(부저)
- 트렌지스터 극성 및 양부 검사(TR 소켓을 이용하며 LED 발광)
- 눈금판, 지침(바늘)
- 영위 조정, 영[Ω]조정
- 측정 단자 +,-
- 변환 스위치
나) 회로계의 취급에 관한 설명
- 계기를 수평으로 놓고, 계기 지침을 영의 위치에 조정한다.
- 측정 단자에 리드선의 플러그를 꽂고 접속한다.
- 측정 대상에 맞는 항목을 레인지 교체 스위치로 선택한다.
- 저항 측정 때는 측정 전에 영[Ω]으로 조정한다.
- 지침의 흔들림을 파악한다.
- 측정이 끝나면 교체 스위치를 전류계의 최소 레인지로 둔다.
다) 측정 방법
- 직류전압 측정
직류전압계는 DC (V)로 나타낸다. 전압계에 직렬로 배율기가 부착된 것이다. 배율기의 저항이 크게 될수록 큰 전압이 측정된다. 테스터기로 전지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환 스위치를 DC 3V 렌지에 놓고 측정하고 있다. 이때 테스터봉은 전지의 +극에 “적색 봉”을 -극에는“흑색 봉”을 접속하도록 한다.
- 직류전류 측정
테스터는 직류전류 측정회로를 DC(A) 또는 DC(mA)로 나타낸다.
- 교류전압 측정
교류전압계는 AC(V)로 나타낸다. 교류전압 측정회로은 직류전압 측정 회로에 다이오드 2개와 저항의 전파 정류회로가 가해진 것이다. 콘센트의 상용전원의 전압을 측정전압으로 AC100V 이므로 AC120V 렌지로 하여측정하면 된다. 그러나 실제의 측정에서는 교류전압의 값을 모르는 경우에는 AC(V)의 최대렌지에서 지침의 흔들림을 보면서 작은 렌지 범위로 내려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라) 저항의 측정
테스터의 저항 측정은 오옴계[Ω]으로 나타낸다.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으며 저항측정 단자를 단락하여 전류가 최대가 되도록 0점 조정 저항을 가변한다. 최대전류를 가리키는 곳을 0[Ω]에, 전류 0의 곳을 ∞[Ω]으로 하여 눈금을 대수적으로 눈금한 것이다.
만약에 500[Ω]의 저항을 측정하는 경우, 저항계 렌지를 X10에 놓고 0점 조정을 한다. 다음에 테스터 봉으로 저항을 접속하여 저항의 눈금을 10배로 하여 읽은 값이 저항의 측정치이다.
테스터의 저항계는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가 정상인가 어떤가를 체크도 할 수가 있다. 저항계 내부에는 건전지가 들어 있으므로 테스터기의 극성은 +극은 적색 봉, -극은 흑색봉이 사용된다.
다이오드를 접속하고 다이오드가 정상이면 저항계의 +에 대하여 역방향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를 가리킨다. 이 접속으로 다이오드가 불량이면 전류가 흘러버려 ∞를 가리키지 않아 불량이라고 판정할 수가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전차단기 (질의회신) (0) | 2008.08.02 |
---|---|
누전차단기 설치장소 (0) | 2008.08.02 |
심야용 전력기기에 대하여 (0) | 2008.08.01 |
디지털 훅크온 메터 사용법 (0) | 2008.08.01 |
정전기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하여 (0) | 2008.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