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장 옹벽(乘降場 擁壁, retaining wall for platform)
승강장은 선로보다 높은데 궤도와 인접하여 수직으로 옹벽을 쌓는다. 이것을 승강장 옹벽이라 한다.
승강장 유효장(乘降場 有效長, useful length of platform)
열차가 정지하여 승객 또는 화물의 승강할 수 있는 유효길이를 말하며 열차 정지 목표가 있는 경우 열차 정지 목표부터 후단 승강장 끝까지, 출발 신호기가 있는 경우 출발신호기로 부터 후단 승강장 끝까지, 없는 경우는 승강장 전 길이를 의미한다.
승강장 지붕(乘降場 지붕)
여객이 열차에 승차 또는 하차할 때 비, 눈등을 막기위해 승강장 위에 설치한 지붕.
승월분기기(乘越分岐器, runover type turnout)
분기선이 본선에 비하여 중요하지 않은 경우 또는 분기선을 사용하는 회수가 드문 경우에 본선에는 2개의 기본레일을 사용하고 분기선에는 한쪽은 보통 첨단레일을 사용하고 한쪽은 특수 형상의 레일을 사용하여 궤간 외측에 설치한다. 따라서 본선 레일의 강도는 분기부 전후와 같으며 분기선에 진입할 때에는 본선의 레일변과 턱이진 크로싱부에서 본선을 승월하여 분기선에 진입한다.
시가철도(市街鐵道, street railway)
시가지의 도로에 부설된 철도를 말한다.
시공기면(施工基面, formation level)
노반의 윗표면. 궤도를 직접 지지하는 노반은 천연지반의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연의 지반에 흙은 더 돋거나 혹은 깍아서 만드는데 이러한 구조를 각각 성토, 축제, 절취라 한다. 노반표면은 시공기면 이라고도 하며 건설공사의 기준이 되는 높이이다. 노반 표면은 배수를 고려하여 3%를 표준으로 하는 배수 횡구배를 둔다. 시공기면의 폭은 노반 치수중 중요한 것으로 선로등급, 궤도구조, 작업성 및 안전성 등에 따라 결정한다.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tiple Access, TDMA)
일정한 시간간격의 펄스열을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시간측상에 차례로 배열하여 다중전송하는 방식
시사스 크로싱(交線 크로싱, double crossover, scissors crossing)
2조의 건넘선을 교차하여 중복시킨 것으로 4조의 분기기와 1조의 다이야몬드 크로싱을
조합한 구조이다.
신뢰도(Reliability)
열차 실제운행조건하에서 의도된 기간동안 설계조건내에서 고장없이 운행할 수 있는 정도를 확률적인 표기를 통해 표현하는 방법
신축이음매 (伸縮繼目, expansion joint, expansion device)
장대레일 접속에 사용하는 이음매의 일종으로 장대레일의 신축량을 텅레일을 사용한 신축부에서 처리하도록 한 것이다.
신축량(伸縮量, expansion length)
장대레일 단부의 가동구간 신축량은 도상 종저항력이 일정하면 가동 구간길이 ℓe 의 자유신축량 ℓe .β.ㅿt 의 1/2이 된다. 즉, 레일단부의 신축량 ㅿℓ은
A.E.(β.ㅿt)²
ㅿℓ = 1/2 ℓe.β.ㅿt = ────────
2r
이다. 레일 각부의 신축량은, 레일축력이 단부로 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역으로 신축량은 반비례 한다.
신호(信號, signal)
열차의 운행 조건을 기관사에게 지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한다.
신호기(信號機, signal post)
신호를 나타내는 기구를 말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호신호기(掩護信號機, protection signal) (0) | 2008.11.19 |
---|---|
안전가드 레일(安全 護輪 軌條, safety guard rail) (0) | 2008.11.19 |
스랙(擴度, slack) (0) | 2008.11.19 |
속도제한(速度制限, limit speed) (0) | 2008.11.19 |
선로차단(線路遮斷, track blocking) (0) | 2008.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