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제 플로어덕트의 치수(단위 : ㎜)

 

종 류

바깥치수

두 께

높 이

 

F 4

F 5

F 7

FC 6

FC 8

FC 9

FF 5

FF 6

FF 7

 

35 ±0.4

25.4±0.4

35 ±0.4

24 ±1

24 ±1

30 ±1

25.4±1

24.5±1

24.5±1

 

41.3±0.4

50.8±0.4

73 ±0.4

60 ±1

80 ±1

90 ±1

50.8±1

55 ±1

68 ±1

 

1.9이상

1.9이상

1.9이상

1.9이상

1.9이상

1.9이상

1.9이상

1.9이상

1.9이상

 

 

1종 금속제 몰드의 치수 (단위 : ㎜)

 

종 류

바깥치수

조립하였을

때의 높이

두 께

베이스의 폭

캡의 폭

A 형

B 형

23.2±0.2

37.0±0.2

25.4±0.2

40.4±0.2

11.5±0.5

20 ±0.5

1.0이상

1.2이상

 

 

2종 금속제 몰드의 치수 (단위 : ㎜)

 

종 류

베이스의 폭

캡의 폭

두 께

본 체

카 버

A 형

B 형

C 형

D 형

E 형

F 형

40±1.0

40±1.0

40±1.0

45±1.0

45±1.0

45±1.0

30±1.0

40±1.0

45±1.0

30±1.0

40±1.0

45±1.0

1.45이상

1.45이상

1.45이상

1.45이상

1.45이상

1.45이상

1.05이상

1.05이상

1.05이상

1.05이상

1.05이상

1.05이상

 

 

압축강도시험

 

적용전선관의

호 칭(㎜)

압축하중

전선관, 노말 밴드

또는 커넥터인 경우

기타의 것의 경우

22이하

28

36

42

50

54

70

80

82

100

640

1,420

1,910

1,910

2,550

2,550

3,190

3,190

4,750

5,390

490

1,080

1,470

1,470

1,910

1,910

2,400

2,400

3,580

4,050

 

 

 기기 본딩 점퍼의 굵기

 

상전선 최대 굵기(㎟)

접지극 전선(㎟)

 

30이하

38 또는 50

60 또는 80

80 초과 175까지

175 초과 300까지

300 초과 550까지

550 초과

 

8

14

22

30

50

60

80

 

 

아크를 발생하는 기구의 시설

 

기구 등의 구분

이격거리

고압용의 것

1m이상

특별고압용의 것

 

2m이상(사용 전압이 35,000V 이하의 특별고압용의 기구 등으로서 동작할 때에 생기는 아크의 방향과 길이를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제한하는 경우에는 1m 이상)

 

 

 

Multi-Wire-Duct (U.T.Pole) 의 방화구획 통과

 

금속 Multi-Wire-Duct (U.T.Pole) 가 소방법이 정하는 방화구획을 통과하거나 인접 조영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그 방화벽 또는 조영물 벽면 Multi-Wire-Duct (U.T.Pole) 내부를 불연성의 물질로 차폐한다.

 

Multi-Wire-Duct 의 격벽설치

 

같은 Multi-Wire-Duct (U.T.Pole) 내에 저압배선 , 약전류배선 , 통신배선등의 서로 다른 전압선로를 설치하거나, 유도장애 등의 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는 배선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각 선로는 분리된 격벽으로 분리 배선하여 설치하고, 접지공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Multi-Wire-Duct (U.T.Pole) 의 고정식 격벽에 구분하여 시설하고 동제품의 JOINT CONNECTOR로 고정한 경우에는 접속볼트 개소에서 접지선을 BONDING 한다.

 

Multi-Wire-Duct (U.T.Pole) 의 굴곡 및 분기 개소의 시설

 

(1) Multi-Wire-Duct (U.T.Pole) 의 굴곡 및 분기 개소에는 돌기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Multi-Wire-Duct (U.T.Pole) 내부에 설치 되는 전선이나 케이블의 소요 굴곡반경 (설치되는 최대 규격의 전선이나 케이블) 을 확보하여야 한다.

 

(2) Multi-Wire-Duct (U.T.Pole) 의 굴곡 개소 및 분기 개소는 전선의 굴곡반경에 요구되는 소정의 각도를 얻도록 하여야 한다.

 

(3) 이들 Multi-Wire-Duct (U.T.Pole) 는 제작전 제작도를 작성하여 감독관 (감리원) 의 승인을 얻은 후 제작하여야 한다.

 

Multi-Wire-Duct (U.T.Pole) 의 접지

 

금속 Multi-Wire-Duct (U.T.Pole)배선의 접지는 내선규정 440-5 (접지) 의 규정에 따라 시설한다. JOINT CONNECTOR를 이용한 BONDING 또는 접지단자를 사용하여 접지한다. 단지, 통신 선로는 전기적으로 분리 접지회로를 구성하여야 하며, 해당 규정과 방식에 적합한 접지 공사를 한다.

 

Multi-Wire-Duct (U.T.Pole) 시설방법

 

(1) Multi-Wire-Duct (U.T.Pole) 상호간은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JOINT CONNECTOR 를 사용하여 접속한다.

 

(2)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는 3m 이내의(취급자 이외의 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의 간격으로 견고하게 지지한다.

 

(3) Multi-Wire-Duct (U.T.Pole) 의 뚜껑은 쉽게 열리지 아니하는 조립탈착식으로 시설하고 금속Multi-Wire-Duct (U.T.Pole) 내부에는 먼지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4) 몸체에 배선기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지지기구를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하여야 하며, 필요에 의하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지지기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5) 커버에 배선기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배선기구 접속에 필요한 넓이를 뚫고, 배선기구와 커버를 조립하여 일체형이 되도록 제작한다.

 

(6) 접속할 전열 배선기구가 많은 경우에는 차단기를 부설하여 전기설비기술기준 제196조

    허용기준에 적합하도록 배선하여야 한다.

 

(7)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를 콘크리트 바닥이나 벽체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뚜껑이 노출되도록 시설하여 배선선로의 점검이나 보수가 가능하여야 한다.

 

(8)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내에는 접속단자를 설치하거나 조명기구를 직접부착하거나 방전등용 안정기를 부착하는 등, 전선의 피복을 손상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234조 2항 6호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9)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배선을 수직 또는 경사지게 시설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이동을 막기 위하여 전선을 적당하게 지지한다.

 

(10)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배선이 마루 또는 벽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를 관통부분에서 접속하여서는 아니된다.

 

(11)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내의 전선을 외부로 인출하는 부분은 금속 Multi- Wire-Duct (U.T.Pole) 의 관통부분에서 전선이 손상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고 또한 지지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가) 금속 Multi-Wire-Duct (U.T.Pole) 의 분기점에서 장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

(나) 전선의 분기점에는 장력이 가하여지지 아니하도록 시설 할 것.

(다) 금속 Muiti-Wire-Duct (U.T.Pole) 와 금속관 또는 금속제 가요전선관 , 플로어덕트 ,셀룰러덕트와 접속할 때는 상호 견고하게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

 

(12) 금속 Multi-Wire-Duct (U.T.Pole) 에 배선기구를 부착할 때는 배선기구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배선기구의 상하 양측면이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몸체 외벽내측 삽입홈에 끼운다음 스크류볼트를 사용하여 배선기구와 배선기구 고정구가 상호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여야 한다.

 

(13) 금속 Multi-Wire-Duct (U.T.Pole)의 끝 부분은 몸체와 덥개를 더한 규격의 END-CAP을 사용하여 몸체의 내부가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고정방법은 스크류볼트를 사용하여 몸체내 내부 격벽 끝단의 원형돌기 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단단히 고정 시킨다. 양측면에 동일한 방법으로 시설한다.

 

(14) 금속 Multi-Wire-Duct (U.T.Pole) 가 상호 접속되는 부분에서는 JOINT CONNECTOR (EARTH BONDING)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JOINT CONNECTOR 는 접속저항을 낮추기 위해 동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탶을 만들어 볼트로 고정 시킬 수 있어야 한다. 길이는 60mm 이상으로 4개의 탶을 사용하여 양측의 몸체에 각각 2개씩 물릴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접속 개소마다 2개 이상의 JOINT CONNECTOR 를 사용하여야 한다.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배선공사 시방서

 

1. 기기 및 재료

 

1.1 전선의 종류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배선에는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 특기가 없는 경우에는KSC 3302(600V 비닐 절연 전선) 를 적용한다.

 

1.2 금속 Multi-Wire-Duct (U.T.Pole) 의 규격.

 

(가)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압출형재의 것으로 제작한다.

(나) 내면은 전선의 피복을 손상시키는 돌기가 없어야한다.

(다) 내면 및 외면에는 산화 방지를 위하여 도장피막으로 처리한다.

(라) 금속 Multi-Wire-Duct (U.T.Pole) 의 구조 및 형태는 도면과 같이 제작하여야 하며, 배선기구를 부착이 용이한 구조로서 강전류전선과 약전류전선이 상호 이격 되어 정렬이되는 구조의 배선이어야한다.

(마) 외부면제는 분체도장 지정색으로 도장한다.

 

금속 Multi-Wire-Duct (U.T.Pole) 에 넣는 전선의 단면적 (절연피복의 단면적을 포함한다) 의합계는 Multi-Wire-Duct (U.T.Pole) 의 내부 단면적의 20% (전광표시장치, 출퇴표시등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에는 50%) 이하가 되도록 선정한다.

 

동일 Multi-Wire-Duct (U.T.Pole) 내에 넣는 전선은 30본 이하로 한다.

 

2.시설공사

 

Multi-Wire-Duct 의 배선방법

 

(1)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내에서는 전선을 접속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로서, 그 접속점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는 경우나, 단자대를 사용하거나 또는 차단기를 부설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교류회로에서는 1회로의 전선 전부를 동일관내에 넣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설치되는 전선류는 유지, 보수, 관리등을 고려하고, 사고파급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각 회로별로 구분하고, 섞이거나 꼬여서는 아니되며, 최하단의 전선등이 상부에 시설되는 전선등에 의하여 압력을 받지 아니하도록 균등하게 시설하여야 한다.

 

(4) 전선류의 배치는 수평배열방식 또는 삼각배열방식 등을 택할 수 있으나 도면에 명기된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야 하며, 이들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곤란할 경우에는 소정의 전체 체감률을 고려하여 전선류의 규격을 변경하여야 한다.

 

(5) IV 등의 전선이나 단심케이블은 각 회로별로 밴드등에 의하여 묶어서 설치하여야 하며, 묶는 재료는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6) Multi-Wire-Duct (U.T.Pole) 내의 전선류는 가능한한 중첩되게 설치하여서는 아니되고, 가능한한 열별로 전선류의 지지장치를 시설하여 설치하고 통풍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간을 두도록 하여야 한다.

 

(7) Multi-Wire-Duct (U.T.Pole) 내에 설치되는 전선류는 유지, 보수시 각 회로를 판별하기 편리하도록 각 굴곡개소 및 수평거리 20m 이내마다 소정의 회로망을 (번호 또는 기호) 표시한 꼬리표를 설치하여야 한다.

 

Multi-Wire-Duct (U.T.Pole) 시설장소의 제한

 

금속 Multi-Wire-Duct (U.T.Pole) 배선은 옥내의 건조한 장소로서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나 노출공사에 한하여 시설할 수 있다.

 

검사 및 시험

 

시험 항목

공인 기관 성능 시험

ROUTINE 시험

       - 단락 강도

       

       - 수평하중 강도

       - 구조외관 검사

       - 수직하중 강도

       - 절연 저항

      - 충격 강도

       - 내전압

      - 온도 상승

 

 

명판

 

BUS DUCT 명판

PLUG-IN BOX 명판

      - UNIT NO (SERIAL NO)  

      - 형식(명칭)과 극수

      - 형식(명칭)과 극수

      - 정격 전압과 전류

      - 정격 전압과 전류

      - 제조자명

      - 최고 허용 온도

      - 제조년월

      - 제조자명

      - 취부 방법

      - 제조년월

      - BREAKER TYPE

 

 

타기기와 접속부

 

1)  변압기 접속부

BUS DUCT 와 도체 또는 변압기 단자와의 접속은 FLANGE END BOX 를 사용하여 진동 등에 의한 BUSHING 의 파손 및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용량에 맞는 FLEXIBLE BUS BAR 를 제작 공급해야 한다.

2) 배전반 BUS 와 접속부

배전반의 BUS 와 접속시 상부 OPEN 부위는 배전반 MAKER 와 승인권자가 협의하여 원활한 CONNECTION 이 될 수 있도록 FLANGE END BOX 형 또는 FLANGED END 형을 적용한다.

3) 발전기와  변압기 외함 접속부는 상기 1), 2)항에 적합한 구조를 적용해야 한다.

 

 

기타사항

 

1) EXPANSION BUS DUCT 의 신축부는 도체, DUCT 와 함께 온도 변화에 대하여 용이 하게 변화를 흡수하는 구조로 한다.

2) END CLOSURE 는 DUCT 종단을 폐쇠하고 향후 BUS DUCT 연장을 행할 때 DUCT 를 취부하여 연장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한다.

3) WALL 및 FLOOR 관통부는 해당규격의 FLANGE 를 설치해야 한다.

4) 승인 도면상의 필요 충분한 개소에 실측부를 둠으로써 현장 여건의 다소 변경에 대하여 신축성 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 반영해야 한다.

5) 제작자는 본 시방 및 도면에 기능, 성능, 설치 사용상 필요한 사항이 누락되었다 하더라도 일체의 기자재를 제작 공급하여야 하며 설치기간 중 기술 지원을 하여야 한다.

 

 

조립 및 보수용 공구

 

BUS DUCT 의 조립 설치 및 보수를 위하여 아래 품목 등의 자재를 계약 물량에 의거 공급 해야 한다.

1) HANGER 용 금구

2) 접속부의 BOLT, NUT, WASHER 류

3) 보수용 도료

 

 

제출서류

1) 치수가 표시된 승인용 도면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2) 설치가 완료된 최종 도면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3) 각 부품의 상세도

4) 시험 성적서

 

BUS DUCT SYSTEM 사양

 

구조

1) BUS DUCT 의 형태는 완전 밀폐형(MOLD)으로 설치에 용이한 PLUG-IN 구조를 가지는 절연 BUS DUCT 형 이어야 한다.

2) 절연 피복은 자기 소화성이 있고 DUCT 에 공간이 없어야 하며 화재시 DUCT 가 연통 역할을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3) 3 상 4 선식의 경우 중선선은 다른 도체와 동일한 규격, 재질로 해야 한다.

4) 전기적, 기계적 단락강도에 안전한 구조이며 이동, 취급 설치작업시 변형이 없어야 한다.

5) 수직, 수평, 종배치, 횡배치 등 설치 형태에 따른 온도의 불균형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6) 도체와 DUCT 를 완전히 일체로하여 통전시 소음이 없어야 하고 통신 선로에 유도 장해가 없어야 한다.

7) DUCT 재질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내식성이 뚜렷한 규정의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해야 한다.

8) DUCT 와 PLUG-IN BOX 는 설치후 조화가 되도록 동일 지정색(MUNSELL NO) 으로 정전 분체도장을 해야 한다.

 

연결부(접속)

 

1) 도체 접속 표면에는 별도의 BOLT 관통 구멍이 없는 방식의 구조일 것.

2) 연결부는 도체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도체 전체표면에 접촉 응력이 균등하게 분포되는 FLAT SPRING 방식 구조이어야 한다.

3) 접속 BOLT 가 도체를 관통하여 절연 및 단락사고에 발생요인이 없는 구조일 것.

4) BUS DUCT 상호의 접지는 접속 연결부 CASE 에 내장되어 연결시 자동 접지가 되도록 해야 한다.

5) 도체의 접속부는 은도금 또는 주석 도금을 실시하고 기계적, 전기적으로 접속이 완전한 구조일 것.

6)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한 onE TOUCH JOINT 방식이며 연결부 변경에 따른 접속 자재는 재사용 가능 부품의 구조이어야 한다.

7) 도체 접속부 이극간 절연 SEPARATOR 는 난연성, 내열성, 내습성이 있는 충분한 기계적, 전기적 강도를 갖고 이극간의 연면 거리를 확보해야 한다.

 

도체의 재질 및 형상

 

1) KDS 5530(동 BUS BAR)에 규정된것 또는 동등 이상의 조건을 만족한는 도전율 98% 이상의 KS 규격 도체를 사용해야 한다.

2) KDS 6762(AL BUS BAR)에 규정된것 또는 동등 이상의 조건을 만족한는 도전율 61% 이상의 KS 규격 도체를 사용해야 한다.

3) 도체의 양끝 형상은 전기적으로 정전기가 밀집되지 않은 ROUND 형의 BUS BAR 구조이어야 하며 SQUARE 형상인 BUS PLATE 를 사용해선 안된다.

 

절연피복

 

1) 절연 피복 방식은 연속 압축에 의한 COATING 방식으로 하여 표면을 균일하게 하고 외부의 습기 및 물의 침투를 방지하며 절연처리의 연결 부위가 없어 유지, 보수가 가능한 방식이어야 한다.

2) FILM 으로 하는 접착 TAPE 에 의한 TAPPING 처리 방식은 배제한다.

3) 도체를 피복한 절연물의 두께는 1.0mm이상으로 절연의 특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4) 도체 절연물은 KSC 8450에서 요구하는 난연성,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충분한 기계적, 전기적 특성의 재질을 사용해야한다.

 

외함(HOUSING)

 

1) 외함은 기계적, 전기적 단락 강도에 안전하고 도체를 전체적으로 감싸주는 밀착 구조이어야 한다.

2) 기계적으로 강한 강도를 가지는 구조로 이동, 취급, 설치 작업시 변형이 없어야 한다.

3) DUCT 외함에 사용되는 재료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내식성이 뚜렷한 방식처리된 KSD 3528(전기아연 도금 강판)에 규정된 강도를 가지고 있는 KS 규정품 강판을 사용해야 한다.

 

PLUG-IN 기구와 PLUG-IN BOX 

 

1) PLUG-IN BOX(NFB 내장)는 BUS DUCT 에 정착된 PLUG-IN 기구에 삽입하고 기계적, 전기적 접촉이 완전해야 하며 착탈이 용이한 구조이어야 한다.

2) CLIP 응 도체에 확실히 접촉되어야 하고 도체의 온도상승, 진동 또는 PLUG-IN BOX 의 착탈에 의한 지지력이 변화되지 않아야 한다.

3) CLIP 에는 전체 은도금 또는 주석 도금의 표면 처리를 하여야 한다.

4) PLUG-IN BOX 의 재질은 3-5 3)항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야 한다.

5) DOOR 를 개폐하지 않고 BREAKER 를 on-OFF 할 수 있는 구조이고 SWITCH 가 on상태에서는 DOOR의 개폐와 탈락이 되지 아니하는 구조의 SAFETY LOCK 장치를 가지는 구조이어야 한다.

6) PLUG-IN BOX 에 내장된 차단기의 전원이 on상태에서는 PLUG-IN 기구로부터 임의적으로 강제 착탈이 불가능한 구조이어야 하며 반드시 전원이 OFF 상태에서 만 착탈이 될수 있어야 한다.

7) PLUG-IN BOX 구조는 BUS DUCT 의 용량에 관계없이 동일 구조로 하여 설치 및 교체에따른 호환성이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8) PLUG-IN 기구에는 보호 COVER 를 취부하여야 한다.

9) 내장되는 차단기는 발주내역에 준한다.

 

지지금구 (HANGER)

 

1) BUS DUCT 의 천정고정은 STRONG ANCHOR 를 사용 고정한다.

2) 지지용 연결 ROD 봉은 아연 도금 처리된 제품을 사용하고 규격은 M12mm 를 적용한다.

3) 수평구간의 지지점은 1.5m 이하마다 1 개소 고정하고 ELBOW 부분은 2EA 씩 고정한다.

4) 수직구간은 고정지지 금구와 SPRING 지지금구를 FLOOR에 사용 공급해야 한다.

5) 건물 층고가 5M 를 넘는 경우의 입상 BUS DUCT 는 중간 흔들림 방지 HANGER 를 조건에 따라 적용해야 한다.

6) 모든 지지금구는 계약 물량에 의한 부품을 공급해야 한다.

 

기술시방서

 

적용범위

    

본 시방은 교류 600V 이하, 직류 750V 이하의 전압에 사용되는 정격전류 600~ 5000A 이하의 절연 BUS DUCT 및 그 부속품의 일반 요구사항에 대하여 적용한다.

여기서 말하는 부속품은 ELBOW, EXPANSION UNIT, END CLOSURE, FLEXIBLE BUS, HANGER, PLUG-IN BOX 등을 말한다.

 

적용규격

 

각 부속기기는 아래에 명시한 규격의 최근 기준에 준하여 설계, 제작 및 시험을  하여야 한다. 

 

1) KSC 8450 : 부스 관료 (BUS WAYS)

2) KSD 5530 : 동 BUS BAR

3) KSD 6762 : 알미늄 BUS BAR

4) KSD 3528 : 전기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

5) KSD 3501 : 열간(냉간)압연 강판 및 강대

6) 상기 규격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JIS 8364 및 본 시방서 및 도면에 준한다.

 

SYSTEM 구성 

 

도면 및 발주내역에 준한다.(부속 자재 포함)

1) NUMBER OF PHASE AND WIRE. (P,W)

2) RATED OPERATION VOLTAGE (V)

3) FREQUENCY (HZ)

4) AMPERE RATING (A)

5) SERVICE CONDITION (IN/OUT DOOR)

 

성능

 

절연 BUS DUCT 는 하기 항목에 대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성능을 보장해야 한다.

    

1) 구조외관

BUS DUCT 의 UNIT LIST 와 SERAL NO(도면)에 표시한 제품구조 형상 및 치수가 일치해야 한다.

 

2) 온도상승

도체의 중앙부와 접속부의 온도상승은 KSC 8450 에 의한 시험을 했을 때 다음 값 이하여야 한다.

   (1) 절연 BUS DUCT 의 최고 허용 온도 : 95℃

   (2) 온도 상승 한도 : 55℃

     * 주 : BUS DUCT 의 최고 허용 온도는 연속 사용할 수 있는 최고 온도를 말하며 기준 주위온도는 40℃로 한다.

  

3) 절연저항

절연 저항은 직류 500V 의 절연 저항계로 도체상호간, 도체와 DUCT 간의 절연 저항을 측정한 값이 5MΩ 이상이어야 한다.

        

4) 내전압

내전압은 상기 3)항의 시험 부분에 주파수 60HZ 와 AC 전압 3000V 을 가해서 1 분간 견디어야 한다.

 

5) 수평하중 강도

직선상의 수평하중 강도는 KSC 8450 에 의한 시험을 하였을 때 BUS DUCT 의 도체 절연물에 실용상 유해한 영구 뒤틀림이나 접속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6) 단락 강도

단락 강도는 KSC 8450 의 시험을 하였을 때 시험 후의 인접 도체 상호간 또는 DUCT 와 인접 도체간의 최대 영구 변위량이 시험 전 간격의 25% 이하에서 도체 절연물, 도체 지지물에 유해한 손상, 균열 및 DUCT 를 구성하는 각 부에 실용상 유해한 변형, 절손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7) 수직하중 강도

수직으로 사용하는 BUS DUCT 의 수직하중 강도는 KSC 8450 에 의한 시험을 하였을때 도체를 지지하는 각 부에 실용상 유해한 영구 뒤틀림 또는 파손이 생기거나 도체가 이동되지 않아야 한다.

 

8) 충격 강도

직선상 BUS DUCT 의 충격 강도는 KSC 8450 에 의한 시험을 하였을때 DUCT 와 도체가 접촉하여 절연물이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