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외선 열화상 진단법
탱크 본체의 온도상승을 감지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점검 중 탱크에서의 아지랭이, 냄새, 난간 등의 온도변화, 복사열 등 감각으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인데 통전전류와 일기에 의한 영향이 적지 않으므로 발견이 쉽지 않다. 온도상승이 발생하는 상황은 가령 내부 주회로 도체의 접촉불량 또는 외피 탱크와 통전하는 접속 도체의 접촉불량이 대부분이다.
이때 온도상승의 의심이 가는 경우에는 온도계로 온도분포를 측정하여 발열장소를 탐색한다. 발열부의 온도 상승치를 공장시험의 데이타와 비교하거나 다른 상의 온도 상승치와 비교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내부도체의 접촉불량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정전한 주회로의 저항을 측정하여 접촉저항을 확인한다. 온도상승의 한도에 대해서는 규격상 외피 구조물의 온도 상승한도가 70[℃], 플랜지부의 “O"링(gasket) 절연물의 온도상승 한도는 50[℃]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단, 주위온도는 최대 40[℃]로 한다. 정상전류를 통전할 경우 이같은 값 이하가 되도록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설계되어 있으며 통전 전류치에 따라 온도상승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 도체의 온도상승은 일반적으로 통전전류의 1.7승에 비례하며 외피 구조물도 이에 준하는 것으로 보아 측정치를 환산하여 제작공장에서의 온도시험 자료와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탱크의 표면 온도가 일반적으로 15[℃] 정도의 범위에서 변화 하였을 때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25[℃]이상으로 변화하면 영향을 받는다. 플랜지부에서는 열 용량이 크고 탱크 표면보다 보통 10[℃]정도가 낮다.
온도 상승을 측정하려면 더어미스터(thermistor)나 열전대(thermocouple)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표면 온도계를 사용한다. 조작함 및 제어함에서는 점검시 전자변 코일, 계전기 코일 또는 스페이서 히이터의 발열, 냄새, 변색이 점검 대상이다.
기타
염해, 부식성 가스, 기상 상태(온도, 습도, 적설)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발청의 정도가 크게 달라지는데 발청의 징후가 보일 경우에는 응급으로 녹(rust)의 진행을 막는 처치와 아울러 원인 조사작업을 시행하여야 한다. 탱크 가대 (flame) 등의 구조물에 대해서는 플랜지부, 볼트 조임부, 접지 도체 등의 외부 접속도체가 점검대상이 된다. 문, 패킹(packing)의 실(seal)상태, 환기구에서 침수 유무, 전선관에서의 침수 유무, 결로방지 히이터의 운전 유무가 점검의 포인트가 된다. 특히 조작함 하부의 제어케이블 인입부는 밀봉하지 않으면 습기가 상승하여 조작함 내에서 결로가 발생한다.
① 조작장치의 링크, 레버류의 접속부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링크, 레버류는 통상 연결핀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핀 고정용 고리 또는 분할핀은 동력의 전달에 중요한 열할을 한다. 이같은 부속 기구의 탈락등 이상발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함의 낮은 부분은 항상 잔류물이 없는 상태로 두어야 한다.
② 조작함 내의 침입 형적
조작함의 덮개는 내장기기에 대한 방수, 방진 외에 동작 레버의 보안 커버 역할도 한다. 우수 또는 먼지의 침입은 내장기기의 발청, 절연불량, 동작불량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으므로 침수, 먼지의 형적을 점검 포인트로 들수 있다.
③ 기타
구조물의 변형, 가대의 벗겨짐 외에 가스 압력의 감시를 위한 중요한 부품인 가스 압력계 자체의 발청 손상 유무, 가스계 밸브 배관의 변형, 손상유무 및 절연상태도 매우 중요한 점검항목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압기의종류 (0) | 2008.12.12 |
---|---|
유효접지와 비유효접지 (0) | 2008.12.12 |
초음파 음향 진단법 (0) | 2008.12.11 |
가스 checker법 (0) | 2008.12.11 |
SF6 가스의 특성 (0) | 200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