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측기의 사용요령에 대하여

 

1) 휴대 및 설치

가) 휴대용 계측기

- 측정자 개인이 손이나 목에 걸고 이동하면서 측정하는 계측기로서 절연 저항계, 훅크온 메터, 접지

   저항계 등과 같이 비교적 소형, 경량이다.

- 휴대용 계측기의 고장 발생 중 대부분이 충격에 의한 것이므로 휴대 시 항시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외피 및 끈이 튼튼한가를 확인하고 휴대용 끈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은 휴대에 편하도록 조정하여

   손목이나 목 등에 단단히 걸어 만일의 경우 몸의 균형을 잃더라도 떨어뜨리는 일이 없도록 항시 충

   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휴대하여야 한다.

나) 설치용 계측기

- 비교적 크고 무거운 장비로서 계전기 시험기, 비파괴 절연진단장치 등과 같이 주로 시험용 기기가

   많다.

- 설치장소의 바닥은 전기적으로 절연이 좋고 수평이며 진동 등이 없는 곳으로서 조작 및 판독이 용이

   하도록 안정되게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바닥은 습기나 오물 등이 없어야 하며 피시험체가 한눈에

   보이는 장소에 설치한다.

- 접지단자가 있는 계측기나 고전압의 측정 및 발생계측기, 상용전원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계측기 등

  은 반드시 외함을 양호하게 접지하여야 한다.

 

2) 측정 렌지의 선택

가) 측정용 계측기

  과전압이나 과전류 등과 같이 과대한 입력으로부터 계측기 내부의 소손이나 파괴 및 가동부의 무리

  한 동작에 의한 충격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전압, 전류, 저항(접지저항), 전력 등의 측정 시에 측정

  치가 미지수일 때에는 제일 높은 렌지에서 측정하여야 하며 단계적으로 렌지를 절환하여 가장 판독

  이 용이한 렌지를 선택한다.

나) 시험용 계측기

- 피 시험기기의 시험에 필요한 전압 및 전류의 용량을 확인하고 시험 계측기의 정격 및 특성을 고려

  하여 장시간 시험하여도 시험용 계측기에 무리가 없는 렌지를 선택한다.

- 계전기 시험기 및 위상 특성 시험기의 경우 렌지의 선택 잘못으로 인한 내부 가열 또는 내부부품의

  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3) 측정치 및 시험치의 판독

가) 지침 가동부의 위치 표시가 있는 것은 그 표시를 준수하고 표시가 없는 것은 지침가동부가 수평으

   로 되게 유지하면서 판독 시 진동이나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나) 훅크온메터는 측정 여건상 수평으로 유지하기 어려우나 가급적 수평으로 유지하며 측정 선로에

   인접하여 대전류의 도선이 있을 시는 오차가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4) 과전압 유입 방지

가) 전압 및 전류 측정 시 측정선로의 전압 및 전류가 측정 계측기의 최대측정보다 높지 않는지 저압

     선로에 고압이 유도되지 않는지 사전에 충분히 검토한다.

나) 피 시험기기 및 피 시험물이 전원 및 다른 설비와 전기적으로 완전히 격리되었는지 확인한다.

다) 고압케이블, 변압기, 고압 콘덴서 등의 측정이나 시험 시에는 고압 충전 여부 확인과 충전된 잔류

     전하의 완전한 방전 등을 실시하고 측정 및 시험한다.

라) 설비를 정전시키고 시험할 경우 시험 중에 전원이 투입되지 않도록 안전 조치를 취한다.

마) 상용전원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계측기에 직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계전기 시험기, 위상특성 시험기, 비파괴 절연진단 장치)

(바) 누설 전류계의 출력단자는 측정 전류에 비례한 DC전압(최대 눈금이 0.2V)이 출력되므로 전압을

   가하여 소손시키지 않도록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훅크온 메터 사용법  (0) 2008.12.12
계측기 측정시 주의 사항  (0) 2008.12.12
심야용 전력기기  (0) 2008.12.12
전동기  (0) 2008.12.12
페란티 현상  (0) 2008.1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