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시전압 저하의 영향과 그 대책

 

전압저하의 영향

대책방법

설비

적용개소의 예

영향

무정전형 CVCF 전원장치(배터리 붙이)가 없는 컴퓨터

•공장의 프로세스 제어용 컴퓨터

•10~20% 이상의 전압저하가 0.003~0.02초 계속하면 컴퓨터가 정지한다.

•무정전형 CVCF(배터리 붙이) 전원장치 설치

 

마그넷 스위치를 사용하는 모터

•공장모터의 대부분

•50% 정도 이상의 전압 저하가 0.005~0.02초 계속되면 마그넷 스위치가 동작하여 모터가 정지한다.

•모터정지에 따라 생산이 정지한다.

•마그넷 스위치를 지연석방식이나 래치식등으로 변경하여 제품이나 기기보호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순시전압 저하시의 스위치의 동작을 지연시킨다.

사이리스터 등을 사용한 가변속 모터

•일반 산업용 모터

•엘리베이터

•정수장, 하수처리장의 펌프용 모터

•20% 이상의 전압저하가 0.005초에서 0.03초 계속되면 모터가 정지한다.

•모터 정지 때문에 공장의 조업, 엘리베이터, 수도등이 정지한다.

•모터의 제어방식을 전압저하시, 사이리스터 순변환기(컨버터) 또는 역변환장치(인버터)를 로크 상태로하여 전압이 복귀한 후 자동적으로 정상운전으로 되돌리는 순시전압 저하대책 붙이로 한다.

•마그넷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마그넷 스위치의 대책도 한다.

짧은 시한의 부족전압 릴레이를 설치한 수전설비(분산형, 즉 코.너레이션 장치의 수용가도 해당)

•부족전압릴레이(UVR)의 동작시간이 짧은 경우 정지한다.

•제품 및 기기보호면에서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부족전압릴레이의 동작 정전시간을 연기한다.

•코. 제어 보호용은 순저시간 이상의 한시로 한다.

고압방전램프

•스포츠 시설, 점포, 도로 등의 조명

•20~30% 이상의 전압이0.01초~0.1초 계속하면 소등한다.

•순시 재점등형으로 바꾼다.

•퍼스컴

•워프로

•워크스테이션

•10~30% 이상의 전압이 0.01~0.1초 계속하면 데이터가 소멸된다.

•하드디스크에 기록중, 순시전압저하가 있으면 하드디스크내 전 테이타의 판독, 기록이 불가능해진다.

•소용량 UPS가 염가로 시판되어 있으며, 이것을 사용한다.

•프로그램에 오토 세이브기능이 있는 경우 이것을 사용한다.

•일정기간마다 세이브 하는 기능을 사용한다.

 

 

순시전압 저하에 따른 정지형UPS 장치의 분류

 

배터리

없음

 

 

•전압10~20%, 0.003~0.02초 계속되면 컴퓨터가 정지

(CVCF는 노이즈 및 정전압 제어를 목적으로하여 순시전압 저하대책면에서는 효과가 없다.

배터리

있음

 

 

•순시전압 저하에 따른 영향은 받지 않는다.

•배터리용량에도 따르지만 재폐로 성공정도의 정전이 있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배터리

+엔진

 

 

•순시전압 저하뿐아니라, 비교적 장시간의 정전에도 대응할 수 있다.

(CVCF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의 영향에 따른 엔진발전기의 용량감소에 주의할것)

 

 

전동기 가변속 구동장치

 

가변속 구동장치

전동기

인버터 장치

유도전동기

세르비우스 장치

권선형 유도전동기

레오너드 장치

직류전동기

사이리스터 장치

동기전동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