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도 강연선
종류 및 기호
구성에 의한 구분
호 별 |
1 호 |
2 호(a) |
2 호(b) |
3 호(a) |
3 호(b) |
단 면 |
|
|
| ||
구 성 |
3 연선 |
7 연선 |
19 연선 | ||
구성기호 |
1×3 |
1×7(a) |
1×7(b) |
1×19(a) |
1×19(b) |
인장강도에 의한 구분
종 류 |
1 종 |
2 종 |
3 종 |
소선의 표준 인장강도 N/㎟ {㎏f/㎟} |
1230 {125} |
890 {90} |
690 {70} |
아연 부착량에 의한 구분
급 별 |
A 급 |
B 급 |
C 급 |
아연 부착량 |
특히 두꺼운 도금 |
두꺼운 도금 |
얇은 도금 |
강연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접속
호 별 |
이 음 |
1호, 2호(a) 3호(a) |
접속을 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신선 가공전에 있어서의 업세트 용접은 좋다. |
2호(b), 3호(b) |
강연선의 길이 50m당 1개소 이내에 아연도금 후의 업세트 용접 또는 꼬아이음은 좋다. 다만, 이 경우 용접 부분에는 충분히 아연도금을 한다. |
강연선을 구성하는 소선의 표준선 지름 및 그 허용차
호 별 |
꼬임의 길이 |
1 호 |
표준소선 지름의 30± 5배 |
2 호(a, b) |
표준소선 지름의 40± 5배 |
연선 시험
1 강연선 인장 시험
2 꼬임 길이 시험
소선 시험
이 시험은 연선 후의 소선에 대해 다음 항목에 대하여 실시한다.
1) 지름의 측정
2) 인장 시험
3) 비틀림 시험
4) 아연도금 시험
보 기 : 아연도 강연선 3.5㎜ 1×7(a) 1종 A급
구성 소선수/표준 소선지름 강연선의 계산 바깥지름 및 계산 단면적과 인장하중
호 별 |
구성 표준소선 소선수 지름 본수 ㎜ |
강연선 계산바깥 지름 ㎜ |
강연선계산 단면적 ㎟ |
강연선 인장하중 kN{t} |
(참고치) 표준무게 ㎏/㎞ | |||||
1 종 |
2 종 |
3 종 | ||||||||
1호 |
3 / 2.90 |
6.2 |
19.8 |
22.4 |
{2.28} |
16.1 |
{1.64} |
12.6 |
{1.28} |
156 |
3 / 3.20 |
6.9 |
24.1 |
27.4 |
{2.79} |
19.6 |
{2.00} |
15.2 |
{1.55} |
190 | |
3 / 3.50 |
7.5 |
28.9 |
32.5 |
{3.31} |
23.4 |
{2.39} |
18.2 |
{1.86} |
228 | |
3 / 4.00 |
8.6 |
37.7 |
42.5 |
{4.33} |
30.6 |
{3.12} |
23.8 |
{2.43} |
297 | |
3 / 4.30 |
9.3 |
43.6 |
49.2 |
{5.02} |
35.5 |
{3.62} |
27.7 |
{2.82} |
344 | |
3 / 4.50 |
9.7 |
47.7 |
53.8 |
{5.49} |
38.7 |
{3.95} |
30.0 |
{3.06} |
376 | |
2호 |
7 / 1.00 |
3.0 |
5.50 |
6.19 |
{0.631} |
4.48 |
{0.457} |
3.47 |
{0.354} |
43.5 |
7 / 1.20 |
3.6 |
7.92 |
8.90 |
{0.908} |
6.44 |
{0.657} |
4.99 |
{0.509} |
62.7 | |
7 / 1.40 |
4.2 |
10.8 |
12.2 |
{1.24} |
8.78 |
{0.895} |
6.83 |
{0.696} |
85.3 | |
7 / 1.60 |
4.8 |
14.1 |
15.9 |
{1.62} |
11.5 |
{1.17} |
8.90 |
{0.908} |
111 | |
7 / 1.80 |
5.4 |
17.8 |
20.1 |
{2.05} |
14.4 |
{1.47} |
11.3 |
{1.15} |
141 | |
7 / 2.00 |
6.0 |
22.0 |
24.8 |
{2.53} |
17.8 |
{1.82} |
13.9 |
{1.42} |
174 | |
7 / 2.30 |
6.9 |
29.1 |
32.8 |
{3.34} |
23.6 |
{2.41} |
18.3 |
{1.87} |
230 | |
7 / 2.60 |
7.8 |
37.2 |
42.0 |
{4.28} |
30.2 |
{3.08} |
23.5 |
{2.40} |
294 | |
7 / 2.90 |
8.7 |
46.2 |
52.2 |
{5.32} |
37.6 |
{3.83} |
29.2 |
{2.98} |
366 | |
7 / 3.20 |
9.6 |
56.3 |
63.7 |
{6.50} |
45.7 |
{4.66} |
35.6 |
{3.63} |
446 | |
7 / 3.50 |
10.5 |
67.3 |
75.8 |
{7.73} |
54.7 |
{5.58} |
42.5 |
{4.33} |
533 | |
7 / 3.80 |
11.4 |
79.3 |
89.6 |
{9.14} |
64.4 |
{6.57} |
50.1 |
{5.11} |
628 | |
7 / 4.00 |
12.0 |
88.0 |
99.1 |
{10.1} |
71.4 |
{7.28} |
55.6 |
{5.67} |
696 | |
7 / 4.30 |
12.9 |
102 |
115 |
{11.7} |
82.8 |
{8.44} |
64.4 |
{6.57} |
805 | |
7 / 4.50 |
13.5 |
111 |
126 |
{12.8} |
90.3 |
{9.21} |
70.1 |
{7.15} |
881 | |
7 / 5.00 |
15.0 |
137 |
155 |
{15.8} |
112 |
{11.4} |
86.5 |
{8.82} |
1090 | |
3호 |
19 / 1.60 |
8.0 |
38.2 |
42.1 |
{4.29} |
30.4 |
{3.10} |
23.6 |
{2.41} |
304 |
19 / 1.80 |
9.0 |
48.3 |
53.3 |
{5.44} |
38.4 |
{3.92} |
29.8 |
{3.04} |
384 | |
19 / 2.00 |
10.0 |
59.7 |
65.9 |
{6.72} |
47.5 |
{4.84} |
36.8 |
{3.76} |
474 | |
19 / 2.30 |
11.5 |
78.9 |
87.0 |
{8.87} |
62.8 |
{6.40} |
48.8 |
{4.98} |
627 | |
19 / 2.60 |
13.0 |
102 |
112 |
{11.4} |
80.1 |
{8.17} |
62.4 |
{6.36} |
802 | |
19 / 2.90 |
14.5 |
125 |
138 |
{14.1} |
100 |
{10.2} |
77.5 |
{7.90} |
997 | |
19 / 3.20 |
16.0 |
153 |
170 |
{17.3} |
122 |
{12.4} |
94.4 |
{9.63} |
1210 | |
19 / 3.50 |
17.5 |
183 |
201 |
{20.5} |
145 |
{14.8} |
113 |
{11.5} |
1450 | |
19 / 4.00 |
20.0 |
239 |
263 |
{26.8} |
189 |
{19.3} |
147 |
{15.0} |
1900 |
비 고 1. 강연선의 인장하중은 꼬임 감량을 1호 8%, 2호 8%, 3호 10%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2. 표준무게는 아연도금 층을 고려하여 1㎤의 강을 7.83g으로 하여 계산한 값이다. 또한, 이 규격에서 사용하는 무게란, 질량을 뜻한다.
3. 강연선 계산 바깥지름이란, 외접원의 지름을 말한다.
4. 강연선 계산 단면적은 표준소선의 축에 직각인 단면적의 총합이다.
표준 소선지름, 허용차, 인장하중, 연신율, 비틀림 횟수, 아연 부착량 및 감기 시험
표준소선 지름 ㎜ |
허 용 차 ㎜ |
인 장 하 중 | |||||
1 종 |
2 종 |
3 종 | |||||
㎏f |
{kN} |
㎏f |
{kN} |
㎏f |
{kN} | ||
1.00 |
± 0.05 |
98 |
{0.961} |
71 |
{0.696} |
55 |
{0.539} |
1.20 |
± 0.05 |
141 |
{1.383} |
102 |
{1.000} |
79 |
{0.775} |
1.40 |
± 0.05 |
192 |
{1.883} |
139 |
{1.363} |
108 |
{1.059} |
1.60 |
± 0.05 |
251 |
{2.461} |
181 |
{1.775} |
141 |
{1.383} |
1.80 |
± 0.06 |
318 |
{3.119} |
229 |
{2.246} |
178 |
{1.746} |
2.00 |
± 0.06 |
393 |
{3.854} |
283 |
{2.775} |
220 |
{2.157} |
2.30 |
± 0.06 |
519 |
{5.090} |
374 |
{3.668} |
291 |
{2.854} |
2.60 |
± 0.08 |
664 |
{6.512} |
478 |
{4.688} |
372 |
{3.648} |
2.90 |
± 0.08 |
826 |
{8.100} |
594 |
{5.825} |
462 |
{4.531} |
3.20 |
± 0.08 |
1010 |
{9.905} |
724 |
{7.100} |
563 |
{5.521} |
3.50 |
± 0.10 |
1200 |
{11.77} |
866 |
{8.493} |
673 |
{6.600} |
3.80 |
± 0.10 |
1420 |
{13.93} |
1020 |
{10.00} |
794 |
{7.786} |
4.00 |
± 0.10 |
1570 |
{15.40} |
1130 |
{11.08} |
880 |
{8.630} |
4.30 |
± 0.10 |
1820 |
{17.85} |
1310 |
{12.85} |
1020 |
{10.00} |
4.50 |
± 0.10 |
1990 |
{19.52} |
1430 |
{14.02} |
1110 |
{10.89} |
5.00 |
± 0.10 |
2450 |
{24.03} |
1770 |
{17.36} |
1370 |
{13.44} |
표준소선 지름 ㎜ |
연 신 율 |
비틀림횟수 |
아연 부착량 |
감기시험의 원통지름 (표선소선 지름의 배수) | |||||
1종 % |
2종 % |
3종 % |
1종 회 |
2종 회 |
A급 g/㎡ |
B급 g/㎡ |
C급 g/㎡ | ||
1.00 |
2.0 |
2.0 |
2.0 |
18 |
14 |
160 |
110 |
80 |
용융아연 도금은 6배
전기아연 도금은 3배
|
1.20 |
2.0 |
2.0 |
2.0 |
18 |
14 |
160 |
110 |
80 | |
1.40 |
2.0 |
2.0 |
2.0 |
18 |
14 |
160 |
130 |
90 | |
1.60 |
2.0 |
2.0 |
2.0 |
18 |
14 |
180 |
130 |
90 | |
1.80 |
3.0 |
3.0 |
3.0 |
16 |
12 |
180 |
160 |
110 | |
2.00 |
3.0 |
4.0 |
4.0 |
16 |
12 |
200 |
160 |
110 | |
2.30 |
3.0 |
4.0 |
4.0 |
16 |
12 |
220 |
200 |
140 | |
2.60 |
3.0 |
4.0 |
4.0 |
16 |
12 |
220 |
200 |
140 | |
2.90 |
3.0 |
4.0 |
4.0 |
14 |
10 |
- |
230 |
160 | |
3.20 |
4.0 |
5.0 |
5.0 |
14 |
10 |
- |
230 |
160 | |
3.50 |
4.0 |
5.0 |
5.0 |
14 |
10 |
- |
250 |
175 | |
3.80 |
4.0 |
5.0 |
5.0 |
14 |
10 |
- |
250 |
175 | |
4.00 |
4.0 |
5.0 |
5.0 |
14 |
10 |
- |
250 |
175 | |
4.30 |
4.0 |
5.0 |
5.0 |
12 |
10 |
- |
270 |
190 | |
4.50 |
4.0 |
5.0 |
5.0 |
12 |
10 |
- |
270 |
190 | |
5.00 |
4.0 |
5.0 |
5.0 |
12 |
10 |
- |
270 |
190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전선 특성 비교 (0) | 2009.04.13 |
---|---|
비상복구용 전기용자재 (0) | 2009.04.10 |
가요연동연선 (0) | 2009.04.09 |
조 가 선 (Bz 65.4㎟) (0) | 2009.04.09 |
케이블 접속재 (0) | 200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