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전차선 접속 시 주의개소

   1) 트롤리선의 이동이 많은 개소

   2) 가선금구의 취부위치

   3) 건널선장치의 교차점

   4) 오버랩 교차점

   5) 지지점

(나) 대용 전차선과의 접속

   1) 대용전차선이란

전차선의 접속은 가급적 적은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전차선의 이 여러 경간에 걸치는 경우 외에는 전차선을 그대로 인류 위치까지 설치하는 것을 표준으로 하고 있으나 전차선의 무효부분에는 그 길이가 30[m]이상으로서 접속점이 판타그래프 습동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 한해서 조가선(아연도강연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대용전차선이라고 한다.

 

프리 스트렛치(Pre-Stretch)


일반적으로 동선이나 알루미늄선은 장시간 경과하면 장력, 이도가 고르지 않는 등 전차선이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나서 반년이나 1년 후에는 가선 금구의 취부 위치를 조정하든지 전선의 절단 보강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설 당초에 상시 사용 장력보다 큰장력(인장하중의 50[%]정도)을 단시간 동안 가해서 미리 전선을 늘려 신장시켜 주는 공법을 프리스트렛치 공법 이라한다.

 

설비명

전선종별

과장력

지속시간

표준장력

전차선

Cu 170[㎟]

2,000[kg]

30분

1,500[kg]

Cu 110[㎟]

2,000[kg]

30분

1,000[kg]

조가선

St 135[㎟]

3,000[kg]

10분

1,500[kg]

St 90[㎟]

1,600[kg]

10분

1,000[kg]

 

프리스트렛치의 장력과 시간


예) 전차선 170[㎟]은 항시 1500[kg]의 표준장력을 가해주는데, 가설 전에 미리 2,000[kg]의 장력으로 프리-스트렛치를 하여주면 가설 후의 늘어남이 방지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정식 장력장치   (0) 2009.04.14
급전계통의 구성 및 특성   (0) 2009.04.14
전차선로의 가선방식   (0) 2009.04.13
가공전차선로의 구성  (0) 2009.04.13
전차선   (0) 2009.04.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