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설비의 접지
① 병원접지의 특수성
ME(Medical Electronics)기기의 급속한 보급증가로 다양한 ME기기가 사용 되게 됨으로서 안전성, 신뢰도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즉 병원 에서의 접지는 기본적인 접지 외에 보호접지와 등 전위 접지를 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병원에는 한 명의 환자에 여러대의 ME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각각의 ME기기가 완전히 보호접지 되어 있어도 접지점의 전위가 다르면 전위차가 생기고 기기간의 전류가 흐르게된다. 이때 ME기기에 의한 Micro shock가 발생한다. 이는 기기에 국한되지 않고 환자 주위에 있는 도전성부분 (침대 등)과 전위차가 생기기 쉬운 환경이 많기 때문에 위험하며 이 때문에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등 전위 접지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일반전기에서 감전보호 측면에서 취급되는 누설전류는 수 mA인데 반해 의료용 설비에서는 0.1mA이하급의 작은 전류에도 일어날수 있는 사고에 대비하여 접지를 하여야 한다. 특히 ICU(집중 치료실), CCU(관상동맥질환 집중치료실), 흉부 수술실과 검사실에는 의료용 접지 센타를 설치, 저 저항 접지배선을 포설하고 있다.
◎ Macro Shock - 통상의 감전에서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수 10mA라고 하지만 사람들에게는 심리적
영향이나 2차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쇼크를 말하며 보통 0.1mA를 채용한다.
◎ Micro Shock - 전류의 유입점, 유출점의 어느 한 쪽에 심근을 접하고 있거나 가까이 있을 때 일어
날 수 있는 쇼크이며 의료설비에서는 Micro-Shock대책으로 10[μA]를 목표로 한다.
◎ 심실세동전류 - 인체 통과전류가 100 mA에 달하면 심실에 경련을 일으켜 체내 각 부에 신선한 혈
액공급이 정지되어 사망할 우려가 있다.
② NOISE 방지용 Shied접지
가. 내부의 강한 전계 침입으로 인한 NOISE로 인하여 기록측정, 검사장애, 통신기기 장애로 인한 기능
저하를 막기 위한 접지를 말한다. 병원에서는 뇌파검사실, 심전도실 등, 주로 정밀측정을 요하는
검사부에 주로 시설하며 Shield Room이라 한다.
나. 재료 : 실제적으로 Fe, Cu가 쓰이며 방사선 차페는 Pb를 사용한다.
(현재 전기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개체수가 아주 조밀한 Mesh망이나 전자파 흡수에 이용되는 도전
성 접착제(Cupper tape)로써 벽체를 마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차폐효과의 측정은 시공후 주파
수의 감쇄효과로써 측정 가능하다-고비용의 문제점 발생
다. Shield 방법
- Shield 효과는 보통 100dB 정도가 목표치이다.
- 전원 필터 설치
- 금속관 Shield를 하지 않을 경우 Shield Cable 사용
- Shield Room조명 : 형광등 설치시 안정기는 분리 설치해야 하고 백열 등 설치시 Shield Cover를
해야 한다.
- 철골접지와 단독접지를 절제 할 수 있어야 하고 접지저항치를 감시할 수 있어야한다.
(병원Shield Room)
③ 의료설비는 누설전류를 신속히 충전하기 위해 충분한 메쉬전극과 연결해야 하며 인체를 통과하는 전류를 억제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준치 이상으로 누전될 경우 의료실용 전원회로에는 고감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 신속히 차단해야만 한다.
■ 의료용 접지방식, 비 접지 배선방식 및 비상전원의 적용
의 료 실 |
의료용 접지 방식 |
비접지 배선방식 |
비 상 전 원 | |||
보호접지 |
등전위접지 |
일반 |
특별 |
순간특별 | ||
흉부 수술실 |
○ |
○ |
○ |
○ |
△ |
○ |
흉부 수술실 외 수술실 |
○ |
△ |
○ |
○ |
△ |
○ |
회 복 실 |
○ |
△ |
△ |
○ |
△ |
- |
ICU(집중 치료실) |
○ |
○ |
△ |
○ |
△ |
- |
CCU(관상동맥 집중치료실) |
○ |
○ |
△ |
○ |
△ |
- |
중 환 자 실 |
○ |
△ |
△ |
○ |
△ |
- |
심혈관 X선 촬영실 |
○ |
○ |
○ |
○ |
△ |
△ |
분 만 실 |
○ |
△ |
△ |
○ |
× |
△ |
생 리 검 사 실 |
○ |
△ |
× |
△ |
× |
- |
X 선 검 사 실 |
○ |
× |
× |
△ |
× |
- |
진 통 실 |
○ |
× |
× |
△ |
× |
- |
일 반 병 실 |
○ |
× |
× |
△ |
× |
- |
진 찰 실 |
○ |
- |
- |
△ |
- |
- |
전 체 검 사 실 |
○ |
- |
- |
△ |
- |
- |
※ ○ : 설치 해야한다. △ : 설치하는 것이 좋다. × :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 : 해당사항 없음
( KS C 0913 - 1986 한국 산업 규격, 병원 설비의 안전기준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계 상 최적의 접지저 항의 산출 및 계산식 (0) | 2009.05.08 |
---|---|
부식과 전식 (0) | 2009.05.08 |
접지 저항을 낮출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 (0) | 2009.05.08 |
접지에 관련된 대표적인 국내외 규정 (0) | 2009.05.08 |
노이즈( NOISE ) (0) | 200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