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지선의 굵기 산정 및 접지 재료의 선택
《 재료의 물리정수 》
전 선 재 료 |
도전율 [%] |
|
|
용융온도 |
|
TCAP |
연동선 |
100.0 |
0.00393 |
243 |
1083 |
1.7241 |
3.422 |
경동선 |
97.0 |
0.0381 |
242 |
1084 |
1.7774 |
3.422 |
# 특히 피뢰 도선은 온도와 뇌 전류의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굵기 산정시 주의.
# 외부 피뢰와 내부 피뢰
피뢰침 등 건물 피뢰를 외부 피뢰, 건물내부 피뢰를 내부 피뢰라 하며 종래는 뇌 피뢰라고 하면 주로 외부 피뢰를 의미했으나 지금은 전자. 통신기기 등을 보호하는 내부 피뢰라는 신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렇게 건물의 뇌 방호에는 외부 피뢰 시스템과 내부 피뢰 시스템의 2가지로 고려되고있다.
IEC(국제전기표준회의)에 의하면 외부 피뢰란 건물에 설치되어있는 피뢰침등 수전부에 뇌격이 있는 경우 뇌 전류를 접지계통을 통해 대지로 흘려보내는 것을 말하며 내부 피뢰란 뇌 전류와 이로 인 한 전자계(電磁界)가 건물내부의 금속제 설비와 각종 전기계통에 미치는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강구하는 수단을 말한다.
외부 피뢰 시스템은 수뢰부(受雷部)의 보호, 인하 도선, 접지 전극 등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부 피뢰 시스템은 전자. 통신기기 등 약전기기의 과 전압 방지를 위해 건물내의 등전위 접지,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er)의 적용, 차폐 등의 대책, 곧 LEMP(Lightning Electromagnetic Pulse) 대책 으로 대응해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계통 (0) | 2009.05.08 |
---|---|
대지 고유 저항 (0) | 2009.05.08 |
단독 접지와 공통 접지의 비교 (0) | 2009.05.08 |
접지의 방식별 특성 (0) | 2009.05.08 |
설계 상 최적의 접지저 항의 산출 및 계산식 (0) | 200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