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保護, protection)
전력선, 전력기기등에 단락, 지락등의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피해를 경감시키고 그 파급을 저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가. 정상부분과 이상부분을 분리하여 정상부분이 이상부분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고,
나. 이상부분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다. 이상운전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것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을 보호라 한다.
계전기(繼電器,relay)
미리 규정한 전기량이나 물리량에 응동하여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를 계전기라고 하며, 기능별로는 5가지로 분류된다.
가. 보호계전기(protective relays)
나. 감시계전기(Monitoring Relays) : 보호계통의 상태(Condition)를 판별 하는 것으로 사고검출기(Detectors), 경보기(Alarm), 동기검정, 회로망, 상(Phase)검정 등의 역할을 한다.
다. 프로그래밍 계전기(Programing Re lays): 전기적인 시퀀스(Sequence)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재폐로(Reclo- sing)나 동기검정(Synchronizing)등에 사용된다.
라. 조정계전기(Regulating Relays) : 동작요소가 미리 정해놓은 값에 도달 할때 동작하는 계전기
마. 보조계전기(Auxiliary Relays)
보호계전기( 保護繼電器, protective relay)
전력선, 전력기기등의 보호대상물에 발생한 이상상태에 응동하여 피해의 감소를 도모하고, 그 파급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지령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계전기를 보호계전기라 한다.
보조계전기( 補助繼電器, auxiliary relay)
다른 계전기나 보호장치의 동작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동작회로의 개폐지령에 응해 동작하는 것으로서 Timer, Seal in Unit, 수신릴레이(Receiver Relay), Lock-out Relay, Closing Relay, Trip Relay등을 포함한다.
전자기계형 계전기( 電磁機械形 繼電器, Electro-mechanical Relay)
계전기내 가동부의 자속이 작용하여 기계적인 힘을 발생시키고 그 힘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는 계전기를 전자기계형 계전기라 하며 동작 원리에 따라 가동철심형과 전자유도형으로 구분된다.
정지형 계전기( 停止形繼電器, Static Relay)
기계적인 움직임 없이 트란지스터, IC 회로에 의해 입력전기량의 크기 또는 위상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출력을 발생시기는 계전기를 말한다. 정지형 계전기의 출력은 전기적 출력이지만 이것을 가동철심형 보조계전기에 주어 최종 출력을 접점의 개폐로 얻는 것이 일반적이다.
디지털형 계전기(Digital Relay)
전압,전류등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sampling)하여 디지털양으로 변화하고 이 데이터를 마이크로 프로세서(μ-processor)등으로 구성된 연산처리부에서 미리 준비한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처리하여 계전기 특성을 실현시키는 계전기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장점저항( 故障点抵抗, fault resistance) (0) | 2009.07.09 |
---|---|
준공시험(竣工試驗) (0) | 2009.07.09 |
배선(wiring) (0) | 2009.07.09 |
케이블 트레이 공사 (0) | 2009.07.09 |
분기회로의 시설 (0) | 2009.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