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도회로란 : 열차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선로를 신호제어선으로 사용


폐색이란 : 1폐색구간에 1개 열차 이외의 다른 열차를 동시에 운전시키지 않기 위하여

             시행하는 방법


적성검사의 종류 : 신규검사, 등용검사, 지정검사, 정기검사, 특별검사


폐색방식 종류

       ① 상용폐색방식 - 복선구간 : 자동폐색식, 차내신호폐색식, 연동폐색식

                         단선구간 : 자동폐색식, 연동폐색식, 통표폐색식

       ② 대용폐색방식 - 복선구간 : 통신식

                         단선구간 : 지도통신식, 지도식               

고정축거란 무엇인지 설명해 보시요

고정축거란 중심회전이 가능한 대차에 부착된 고정축중 맨 앞부분의 차축과 맨 뒷부분의

차축 중심간 수평거리이며 3.75m이하여야합니다


철도보호구역이란

철도경계선(가장 바깥쪽 레일의 끝선)으로부터 30미터 이내지역

다음과 같은 행위를 제한

1.토지의 형질변경 및 굴착 2.토석, 자갈 및 모래의 채취 3.건축물의 신축, 개축, 증축 또는

공작물의 설치 4.나무의 식재 5.그밖에 철도시설의 손괴 또는 열차의 안전운행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행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행위

                                                                                       2

건널목에 설치되어있는 바와 경보종의 정식명칭이 무엇이며, 어떻게

쓰이는것인지 설명하시오

정식명칭은 전동차단기와 경보종이라고 하며 이것의 설치여부에 따라 건널목의 종류를

나누는데, 1종건널목은 전동차단기, 경보종, 건널목안내표지가 설치된 건널목을 말하며

2종건널목은 전동차단기와 경보종이 설치된 건널목을 말합니다 또 3종건널목은 건널목

안내표지만 설치된 건널목을 말합니다

그리고 경보기는 열차가 800m에서 1200m이내에 진입하게되면 자동으로 두개의 적색등을

교호로 점등시켜주는 장치인데, 30초에 50±10회 동작합니다


캔트란 무엇입니까?

캔트란 철도를 설계할 때 곡선구간에서 열차가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안쪽레일을 기준으로

바깥쪽 레일의 높이를 160mm이내의 범위에서 높이는 것을 말 합니다


근무중 화재발생시 조치방법을 설명해 보세요

열차내 화재발생시와 역사내 화재발생으로 구분할수있는데, 운행중 열차내에 화재가 발생시는 최근정거장에서 조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있으며, 가장 가까운 역에서 승객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킴과 동시에 열차방호 및 소화의 조치를 하여야합니다

이때에는 방연마스크나 양압식 공기호홉기를 활용하여 승객의 부상과 병발사고방지를 위하여 최선의 조치를 취하여야합니다

다만, 상황에 의해 최근정거장까지 운전이 불가할 경우에는 가장먼저 사령에 통보한 후 승객들이

놀라지않도록 차분하게 안내방송을 시행하여 열차의 비상통로문을 사용하여 승객들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 유도해야 합니다

                                                                                       3

역내에 화재가 발생했다는 통보를 받거나 발견시는 진입전이면 비상정차를 하고, 진입중이면 통과를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열차를 조성할 때 몇 량씩 구성하는 것은 어떤 기준으로 하는건지 아는가

동력차(기관사)의 견인력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전시 작업전에 어떠한 조치를 해야하는가요

단전 작업시는 기본적으로 검지기를 이용하여 단전이 확실히 되었는가를 정확하게확인하고 접지장치를 통해 만약에 있을 사고를 대비해 접지를 실시한다


철도차량의 내구년수를 변경시는 어떤 정밀검사를 거쳐야하며 어떤 승인절차가 필요로 하는가요

적합한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건설교통부장관이 실시하는 시험(이하 성능시험"이라 한다)을 받아야 합니다

성능시험을 받은 철도차량의 성능 등을 변경(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경미한 사항의 변경을 제외한다)한 때에도 또한 같습니다


연장급전이 무엇인지 설명해보십시오

연장급전이란 열차가 운행중 고장발생시 스스로 회로를 보호하기위해 해당유니트를 컷트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유니트의 MG나 MA가 구동되지 않아 출력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4

이때 연장급전을 실시하면 정상인 다른 유니트로부터  급전을 받게되어 동력계통의 회로를 구성하여 출력이 정상이됩니다 이런조치방법을 연장급전이라고 합니다


변전실의 구성을 설명해보고 흑상변압기가 무엇인지 말해보세요

한전으로부터 교류 특고압 22900V를 지중전선로를 통해 공급받아 지하철 변전소에서 직류

1500V 및 교류 6600V로 변압하여 전차선로 및 역사 전기실에 공급합니다

그리고 역사내 변전실에서는 6600V를 또다시 380V와 220V로 변압하여 조명이나 동력, 신호,

통신등 부대전력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재해대책 경계를 설명해보세요 

1종경계 (전원근무) 전구간 경계

2종경계 (1/2근무) 지정장소 또는 구간경계

3종경계 (1/3근무) 지정시간에 지정장소와 구간경계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분야 시험항목  (0) 2009.12.18
전기철도의 애자 및 방식   (0) 2009.10.15
DC1500V SWGR TECHNICAL DATA SHEET  (0) 2009.08.12
주요기자재의 검수 및 관리   (0) 2009.08.12
시험절차  (0) 2009.08.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