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전한 행동 방지활동
1. 불안전한 행동의 정의
○근로자가 현장에서 근로활동 중에 안전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므로써 자신 또는 타인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는 행동을 일컬음
2. 최근 사고발생 직접원인
○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의 원인에 의해 전체사고의 90%내외 발생
3. 불안전행동의 유발요인
○ 현장안전관리의 결함
-. 불안전행동은 근로자 개인의 잘못보다는 지속적인 안전관리의 결함에서 오는 누수
현상으로 발생함
-. 안전조직 활동 미흡
○ 현장의 안전 분위기와 공감대 형성 활동 부족
-.각종안전교육과 안전행사, 안전공감대활동 미흡
○ 불안전한 작업장 상태
-.안전시설물 미설치, 작업환경 열악
4. 불안전행동 사고유형(원인)
○ 위험장소에 접근
○ 안전방호장치의 제거 사용
○ 기계.기구의 잘못사용
○ 작업방법 및 자세 불량
○ 안전보호구 잘못사용(미사용)
○ 불안전한 작업장 상태(안전시설물 미설치)방치
○ 감독 및 관리 소홀 등
5.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의 원인
1)원인1 : 「안전행동을 알지 못해서 」
-. 작업방법,순서, 안전활동 방법 등을 알지 못해 재해발생
2)원인2 : 「알고 있으나, 안전행동을 할 수 없어서」
-. 무리한 작업수행, 안전교육을 받았으나 잊은 경우, 망각, 안전시설물 미설치
3)원인3 : 「알고 있고, 할 수 있는데도 하지 않아서」
-. 자신과잉, 현장의 분위기 영향, 과거경험, 생략행위
6. 방지대책
1) 위험예지활동 내실화 및 강화
-.TBM(Tool Box Meeting) 내실화
-.잠재재해 발굴 및 앗차사고 요인 제거활동 강화
2) 안전활동 분위기 및 공감대 고양을 위해 노력
-.작업에 대한 기준 및 안전수칙 준수를 위한 활동
°10대안전수칙 준수
°공종별 안전수칙 제정 시행 등
-.안전교육 내실화
-.안전행사 및 활동을 통한 공감대 형성
°본사 안전시행제도 준수
°자체활동(공감대 유지 활동) 실시
3) 직원 및 협력사 직원의 관리감독자로써 역할 시행
-.관리감독자가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
7. 한단계 UP-GRADE 된 안전관리 제언
8. 근로자의 불안전 행동방지의 지름길은 안전공감대와 분위기 형성
'안전관리 > 안전수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전재해 방지 수칙 (0) | 2010.01.19 |
---|---|
추락재해 방지 수칙 (0) | 2010.01.19 |
현장 관리 수칙 (0) | 2010.01.16 |
장비의 안전수칙 (0) | 2010.01.16 |
터널작업 안전수칙 (0) | 201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