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푸집 및 동바리의 안전점검표

 

점검항목

점검기준

점검결과

비고

1. 계획

및 준비

조립도

작성

1) 최신승인 시공도를 비치하고 적용

 

 

2) 재료(거푸집재, 동바리재)의 강도 검토는 되어 있으며, 구조계산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의 포함 여부

- 수직하중 : 콘크리트, 작업원, 시공장기 등의 중량 및 충격하중

- 수평하중 : 작업시의 진동, 풍압, 측압

 

 

3) 조립도에 부재의 재질, 치수 및 배치 표시

 

 

4) 목재 및 강재의 응력은 허용응력 이내

 

 

준비

1) 부재의 연결방법, 조임방법 검토

 

 

2) 작업발판, 추락방지용 안전방망 등의 계획

 

 

3) 조립, 해체에 사용하는 기계기구의 점검

 

 

4) 재료하치장, 가공자의 준비

 

 

5) 재료의 운반계획

 

 

6) 악천후 시 작업 중지

 

 

재료

1) 재료, 연결재 등의 품질, 강도 등

- 검정품, KS규격품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 확보

- 조립보, 조립지주에 대해서는 안전하중이 결정되어 있음

- 불량재의 혼입방지를 위한 점검방법 확정

- 사용재료는 시공계획에 명기된 것과 일치

 

 

 

2. 조립

작업

책임자

1) 작업방법의 결정 및 작업자에게 교육

 

 

2) 작업의 직접 지휘

 

 

3) 재료 및 기구ㆍ공구의 점검과 불량품의 제거

 

 

4) 작업자의 안전모, 안전대 사용에 대한 지도 감독

 

 

일반사항

1) 정리정돈

 

 

2) 조립작업은 조립도에 따라 실시

 

 

3) 연락, 신호는 적절하게 실시

 

 

동바리의 변형, 도괴방지

1) 지주의 침하, 활동방지 조치

 

 

2) 거푸집이 곡면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떠오름(부상)조치

 

 

3) 연결상태는 적시에 점검

 

 

파이프

써포트

1) 3본 이상을 이어서 사용

 

 

2) 이음부는 4개 이상의 볼트 또는 전용철물을 사용

 

 

3) 높이 3.5m 이상은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 방향으로 설치

 

 

4) 수평연결재의 변위방지 조치

 

 

5) 수평재에 파이프 등 강재를 사용할 때는 소정의 클램프 등 전용철물을 사용

 

 

6) 철선의 사용은 금지

 

 

7) 전용의 꽂기핀을 사용

 

 

8) 파이프써포트 중심에 하중이 균등한지 여부

 

 

9) 악천후 시 작업 중지

 

 

 

2. 조립

틀비계

1) 틀비계 사이 교차가새 설치

 

 

2)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틀면의 방향 및 교차가새의 방향에서 5개 이내마다 수평연결재 설치

 

 

3)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틀면의 방향에서 양단 및 5개틀 이내 마다의 장소에 교차가새의 방향으로 띠장틀 설치

 

 

4) 보 또는 멍에를 상단에 올릴 때는 강재 단판을 부착하여 고정

 

 

조립강주

1) 높이 4m 이상일 경우 4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가 2방향으로 설치

 

 

2) 수평연결재의 변위방지 조치

 

 

3) 보 또는 멍에를 상단에 올릴 때는 강재 단판을 부착하여 고정

 

 

목재지주

1) 이음부는 2개 이상의 덧댐목을 4개소 이상 견고하게 묶은 후 상단을 보 또는 멍에에 고정

 

 

2)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방향으로 설치

 

 

3) 수평연결재의 변위방지 조치

 

 

가설

강재보

1) 보의 양단은 지지물로 고정시켜 탈락 또는 미끄러짐의 방지 조치

 

 

2) 보와 보 사이에 수평연결재가 설치되어 옆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조치

 

 

동바리

1) 지반다짐상태 적정여부 및 변형 없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기초, 받침목이 설치

 

 

2) H-BEAM등이 도면에 나타난 규격과 간격대로 설치

 

 

3) 작업장 접근은 안전

 

 

4) 강관 및 Pipe Support를 사용할 때 수평, 수직연결 및 설치상태는 설치계획과 일치

 

 

5) 콘크리트 타설 전 침하 여부

 

 

6) 동바리 기초주변 배수시설은 동바리 기초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

 

 

7) 콘크리트 타설 전 우천, 동결, 융해 등으로 인한 지반침하에 의해 동바리 이완

 

 

8) 동바리 붕괴 방지를 위하여 부근에 있는 비탈면 보호

 

 

 

2. 조립

동바리

1) 각 조임 부분은 견고 여부

 

 

2) Camber는 시공도와 일치

 

 

3) 추락 및 낙하물 방지시설을 설치

 

 

거푸집

1) 폼타이 혹은 타이볼트의 간격은 적절히 배치되었고 종· 횡방향으로 정렬 및 조임이 확실

 

 

2) Separator, Spacer 의 규격, 설치간격(종,횡 정렬)은 시공상세도와 일치

 

 

3) 거푸집의 치수는 설계도와 일치

 

 

4) Camber 는 시공도와 일치

 

 

5) 각종이음부(시공,신축,균열유발) 위치는 정확하고 상세도와 일치

 

 

6) 타설구의 설치는 규격이나 위치 등이 시공상세도와 일치

 

 

3.콘크리트

타설

작업전

1) 콘크리트 타설계획 검토 확인

 

 

2) 시공신축이음설치는 상세도와 일치

 

 

3) 콘크리트 에 거푸집 및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 변위 및 지반의 침하유무

 

 

4) 콘크리트 타설순서 적정

 

 

5) 야간작업시 조명 준비

 

 

작업중

1) 거푸집동바리 등의 변형, 변위 및 침하유무 등을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자를 배치

 

 

2) 철근이나 매설물 등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

 

 

3) 콘크리트 타설 한계 위치는 정확히 표시

 

 

4) 콘크리트 한 곳에 집중되도록 타설 여부

 

 

5) 거푸집, 동바리, 철근 등의 변형 발생

 

 

4. 해체

일반사항

1) 현장제작 공시체 강도 확인 후 거푸집 및 동바리 해체시기 결정

 

 

2) 해체순서 준수

 

 

3) 해체시 충격방지 및 안전조치 시행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