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상과 접지선의 누전
○ 질의 요지
Y결선된 변압기(3상 4선식, 1000[kVA])에서 N상과 접지와의 전압은 0[V]가 정상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회사에서는 20[V]정도가 측정 되는데, 혹시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는지 궁금해서 문의 드립니다.
또한 N상에 대하여 설명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회신내용
국내에서는 3상 4선식의 전원은 440 -254[V], 380-220[V], 208-120[V] 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 전압은 선간전압, 상전압, 대지전압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선간전압과 상전압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대지전압의 경우는 부하 측의 운전조건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이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① 정상상태
중성선에는 부하 불평형 전류와 영상분인 제3고조파 전류가 흐르며, 이때 중성선의 길이에 대한
임피던스와 영상분(제3고조파 전류)의 관계로 전압강하가 발생하며 이 전압강하는 결국 중성선과
접지선간에서 측정되는 것입니다.
② 1선지락 사고시
1선지락 사고시는 건전상의 대지전위 상승과 함께 중성점과 대지간에 전압이 발생합니다.
특히 지락사고가 아닌 정상상태에서 중성선과 접지선의 전압 발생은 3[V]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5[V]를 초과하는 경우 정밀급 전자기기들은 트러블이 발생하게 됩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선중 S상 접지 (0) | 2015.01.21 |
---|---|
N상과 접지선의 차이 (0) | 2015.01.21 |
접지선의 굵기 선정 (0) | 2015.01.21 |
외함접지시 누전발생 (0) | 2015.01.21 |
CT에 접지하는 이유 (0) | 201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