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력보호(逆電力保護, Reverse Power Protection)

교류전력이 상시와 반대로 흐를 경우에 대한 보호다. 발전기 보호방식에서 모터링 보호를 말하는 경우도 있다

 

동기탈조 보호(同期脫調保護, Out of Step Protection)

동기탈조 보호는 송전선 보호 또는 동기기 보호에 적용된다. 송전계통에서 동기탈조가 발생하여 어느 선로의 양단 전압 위상차가 180도가 되면 계통의 전압, 전류는 전기적 중성점에서 3상 단락고장이 발생한 경우와 같게 되므로 그 점을 동작범위로 하는 송전선 보호계전기가 오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동기탈조시에는 거리계전기에 의한 차단을 저지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우리 계통에서 는 일반적으로 송전선 주보호와 Zone-1,2 차단을 저지시 키고 최종 후비보호인 Zone-3의 차단은 허용한다.

동기기에서 보면, 부하상태로 기동되는 동기전동기의 경우 동기탈조보호가 반드시 필요하지만 동기발전기는 계자상실이 되지 않는 한 동기탈조의 가능성은 희박하며, 발전소간의 동기탈조는 송전선 보호에 포함된 탈조 보호장치로 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발전기에는 계자상실 계전기 이외에 별도의 동기탈조계전기는 생략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전력계통의 대형화에 따라 선로 임피던스가 감소하는 반면 발전기의 임피던스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동기탈조시 전기적 중성점이 발전기에 근접되는 경우가 나타나므로 동기발전기에 동기탈조보호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계전기의 특성은 블라인더형의 거리계전기가 주로 사용된다.

 

선로가압시 고장검출(SOFT, Switch on to Fault Trip)

송전선 보호용 거리계전기의 전압 입력으로 선로측 PT를 사용하는 보호계전기는 유지 보수 후 접지장치를 제거하지 않거나 고장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기를 투입하면 3상이 접지된 상태에서는 고장 전압이 거의 0이고 기억 작용이 되지 않으므로 거리계전기는 동작할 수 없다. 이 경우에 계전기 고장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SOFT기능이다. 통상 차단기 투입후 일정시간(500ms 정도)까지 기능이 동작하며 이 목적을 위해 CB 보조계전기 접점 신호가 사용된다.

 

Stub Protection

거리계전기의 전압 입력으로 선로측 PT를 사용한 경우에 사용되는 보호방법이다. 선로용 DS가 열리고 차단기 CB1, CB2가 닫힌 상태에서는 선로 전압은 0이며 거리계전기는 동작할수 없다. 따라서 이 맹점구간 보호를 위하여 선로 조건(선로용 CB 투입 및 DS 개방)이 만족되고 과전류 계전기로써 차단기를 차단시키는 방식이다.

 

VT 이상검출 (VTF, VT Failure Detection)

VT(Voltage Transformer)회로의 불량(단락, 지락 등)이 발생될 경우 거리계전기는 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VT(Voltage Transformer) 불량이 발생될 경우 거리계전기 동작을 저지시켜야 한다. 제작사별로 여러 종류의 검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VT 이상시에는 영상 전압이 발생되고 영상전류는 발생되지 않는 원리를 이용하여 VT의 이상을 검출하고 있다

 

시동(始動, Start)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향으로 입력이 변했을 때 최초의 위치에서 가동부가 움직이기 시작하여 최초 위치에서 의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시동이라 하며, 시동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시동치라 한다.

 

동작(動作, Operation)

계전기가 소정의 책무를 수행하는 것을 동작이라 하며, 동작에 필요한 한계입력을 동작치, 입력이 동작치를 넘는 순간부터 계전기가 동작한 때까지의 시간을 동작시간이라 한다.

 

지지(支持, Holding)

계전기에 입력이 가해지면 계전기의 가동부가 동작 후 동작상태 그대로 동작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지지라 하며 계전기의 접점이 동작기능 상태로 유지되는 최소의 입력치를 지지치라 하며, 최초의 지지상태에서 지지가 해제되는 상태까지의 시간을 지지시간이라 한다.

 

석방(釋放, Release)

계전기의 가동부가 동작상태에서 복귀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하여 동작상태에서 기능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말하며, 석방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석방치, 가동부가 원래의 위치로 움직이기 시작하여 최초의 무입력 상태에 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석방시간이라 한다.

 

복귀(復歸, Drop Out or Reset)

계전기가 pick up후의 위치에서 입력이 영(0)인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말하며, 복귀에 필요한 한계 입력치를 복귀치, 입력이 복귀치를 넘는 순간부터 계전기가 복귀한 때까지의 시간을 복귀시간이라 한다.

 

자기복귀 (Self Reset)

동작 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면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을 말한다.

 

수동복귀 (Manual Reset)

동작 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어도 자동복귀 되지 않고 계전기를 수동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말한다.

 

전기복귀 (Electrical Reset)

동작 후 입력이 복귀치 이하가 되어도 자동 복귀되지 않고 복귀를 목적으로 외부에서 다른 전기입력에 의하여 계전기를 복귀시키는 것을 말한다.

 

한시복귀 (Time Delayed Reset)

계전기가 동작후 입력치를 영으로 하여 원위치로 복귀 할 때 시간 지연으로 복귀하는 것을 말한다.

 

픽업(Pick Up)

계전기의 가동부가 입력이 영인 위치에서 입력을 가했을 때 최종 동작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부동(浮動, Floating)

계전기의 가동부가 동작 또는 복귀행정의 도중에서 정지하여 계전기의 기능이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잠동(潛動, Creeping)

두 개의 입력이 곱으로 구동력이 생기는 계전기에서 그중 한 쪽만의 입력으로 가동부가 구동되어 진동하는 현상이다.

 

관성동작(慣性動作)

동작행정의 도중에서 입력이 부동작하는 값으로 급변해도 가동부가 관성으로 운동을 계속해서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반도(反跳, Rebound)

접점의 폐로 또는 개로시 접점이 불필요하게 개폐를 반복하는 현상을 말한다.

 

Chattering

그 원인이 주로 국부적인 접촉부의 진동에 기인하는 비교적 짧은 주기로 개폐를 반복하는 현상을 chattering이라 한다.

 

Bouncing

전반적인 가동부의 진동에 기인하는 비교적 긴 주기로 접점개폐를 반복하는 현상을 bouncing이라 한다.

 

억제(抑制, Restraint)

계전기의 동작 방향과 반대 방향의 힘 또는 전기량을 작용시키는 것을 말한다.

 

저지(沮止, Blocking)

계전기가 동작 입력의 여하에 관계없이 어떤 계전기나 system의 일부가 동작되어도 전체 기능을 발휘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자기지지(自己支持, Self Holding)

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특정 기구 또는 다른 입력에 의해 동작 기능을 스스로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기억작용(記憶作用, Memory Action)

계전기의 입력이 급변했을 때 변화 전의 전기량을 계전기에 일시적으로 잔류시키게 하는 것을 말하며 주로 Mho형 거리계전기에 사용한다.

 

접점협조(接點協助, Contact Coordination)

계전기 접점의 동작 및 복귀시간을 잘 조합, 상호간에 협조하여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예로서 C/R수신 relay와 내부고장 검출 relay간의 접점협조가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류형 HVDC  (0) 2017.02.22
동작시간특성  (0) 2017.02.21
단락보호  (0) 2017.02.21
고조파 필터 (Harmonic Filter)  (0) 2017.02.20
컨버터의 동작원리  (0) 2017.0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