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정격(連續定格, Continuous Rating)
계전기에 정격치가 연속적으로 인가되어도 그 특성 및 성능이 규정한도를 넘지 않는 경우를 연속정격이라 한다.
단시간정격(短時間定格, Short Time Rating)
연속정격과 비교되는 용어로서, 계전기에 정격치가 정해진 한도시간으로 인가 되었을 때 그 특성 및 성능이 규정치 한도를 넘는 경우를 말하며, 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단시간의 한도시간을 설비특성을 반영하여 규정한다.
부담 (Burden)
계전기 입력회로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말하며, 소비부담, 소비전력, 부담 임피던스 중의 하나로 표시한다. 부담을 나타낼 때에 변류기(CT)를 사용하는 전류회로와 계기용변압기(PT)를 사용하는 전압회로의 부담은 정격VA로, 직류회로의 부담은 정격치 소비전력으로 그 외의 회로부담은 부담 임피던스로 표시함을 원칙으로 한다.
소비부담(消費負擔)
계전기의 부담을 소비되는 VA로 나타낸 것이다. 소비VA는 보통 정격치 소비 VA와 동작치 소비VA 중 하나로 표시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그 조건을 명기하여야 한다.
1) 정격치 소비부담
계전기의 정격입력에 대한 소비VA이다. 단, 그 값이 정격치나 다른 입력 등에 따라 변하는 경우에는 특히 조건을 명시하지 않는 한 최대가 되는 조건하에서의 값을 나타낸다.
2) 동작치 소비부담
계전기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공칭동작치에 대한 소비VA를 말한다. 이 값이 정격치, 다른 입력 등에 따라 변하는 경우에는 특히 조건을 명시하지 않는 한 최소가 되는 조건에서의 값을 나타낸다.
부담 임피던스
부담을 오음(ohm)으로 나타낸 것이다. 단, 이 값이 입력의 크기, 정정치, 다른 입력의 영향 등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관계가 있다.
VA(I)=I2Z, VA(P)=V2/Z
Z(ohm) : 특히 명시하지 않는 한 최대 조건하의 부담
VA(I) : 전류계전기의 VA
VA(P) : 전압계전기의 VA
공칭치 (公稱値, Norminal Value)
제작자가 표시한 계전기 특성의 기준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동작을 나타내는 용어와 조합 사용된다. (예; 공칭동작치, 공칭동작시간)
오차 (誤差, Error)
어떤 량의 측정에 있어 그 참값(True Value)을 찾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로서 측정치는 참값보다 다소의 차가 포함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이 차를 오차라고 한다.
그러므로 측정할 때 그 측정치에서 가능한 한 모든 오차를 제거하고 그 결과에 의하여 가장 확실한 값을 찾아서 참값에 사용한다.
정정 (整定, Setting)
보호계전기가 보호할 구간에서 어떠한 이상상태가 발생 했을 때 이에 적절히 동작하도록 조정장치(Tap, Lever 등)에 의해 동작기준치를 정하는 것을 말하며, 조정장치 (Tap, Lever등)로 정정(Setting) 된 동작기준치를 정정치 (Setting Value)라고 한다.
정정범위 (整定範圍, Setting Range)
정정할 수 있는 동작 기준치의 범위를 말하는 것으로써, 예를들면 전자기계식 과전류계전기에서는 통상 4~12의 정정범위를 가지고 있다.(Tap Range 4,5,6,7,8,10,12)
정동작(正動作)
계전기가 동작하여야 할 경우에 동작한 것이 정동작이다.
정부동작(正不動作)
계전기가 동작하지 말아야 할 경우에 동작하지 않는 것을 정부동작이라 한다.
오동작(誤動作)
계전기가 동작하지 말아야 할 경우에 동작한 것이 오동작이다.
부동작(不動作)
계전기가 동작하여야 할 경우에 동작하지 않는 것이 부동작이다.
Fail Safe
별도의 접점 또는 Hardware 구성을 통해 차단기 Trip 회로에 직렬로 구성되어 주요소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Fault Detection
주요소의 동작을 특정한 시스템 조건에서 동작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최종차단 (最終遮斷, Final Trip)
재폐로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선로의 보호에서는 자동재폐로가 가능한 경우가 있고, 재폐로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후자인 경우와 같이 재폐로가 불가능한 경우에 차단되는 것을 최종차단(Final Trip)이라 한다. 즉 선로의 고장이 영구고장인 경우 자동재폐로 시도 후 재차단되어 재폐로가 “Lock out”되는 경우를 말한다.
2차 임피던스 (Secondary Impedance)
전력설비(송전선, 변압기, 동기기 등)의 Impedance를 계기용변성기(CT, PT)의 2차측으로 환산한 Impedance를 2차 Impedance라 말하며, 이것은 거리계전기의 정정에 사용되는 Impedance로서 계전기 임피던스(Relay Impedance)라고도 한다.
즉 ZL : 전력설비의 임피던스
Z : 2차 임피던스라고 하면
Z = (V/PT비)/(I/CT비)
= V/I⊥(CT비/PT비)
∴ Z = ZL⊥(CT비/PT비)
주파수변조 (周波數變調, Frequency Modulation)
반송통신에 있어서 전자파를 전파시킬 때 이 전자파에 어떤 방법으로 전달하려고 하는 정보를 실려보내게 된다. 이것을 위해서는 보통 Single로서 전자파가 되는 고주파전류 즉 반송파(Carrier)에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는데 이때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정보에 따라 주파수만 변화시키는 방법을 주파수변조(Frequency Modulation)이라 한다.
직류트립방식(DC Trip Device)
배전선상에 고장발생시 보호계전기가 동작하여 차단기를 Trip시키는 방식의 일종으로서 ․변전소의 제어전류인 직류를 차단기의 Trip coil에 흘려 차단시키는 것을 직류 Trip방식이라고 하며, 동작의 확실성의 면에서 볼 때 이 직류 Trip 방식이 가장 좋다.
교류트립방식(AC Trip Device)
배전선상에 고장발생시 보호계전기가 동작하여 차단기를 Trip시키는 방식의 일종으로서 발․변전소에 설비비등의 면에서 제어용 직류전원(Battery)을 설치할 수 없을 때 고장전류, 즉 교류전류자체로서 계전기도 동작시키고, 한편 차단기도 Trip시키는 것을 교류 Trip방식이라고 한다.
CTD 트립방식(Condenser Trip Device)
배전선상에 고장발생시 차단기를 Trip시키는 방식의 일종 (200μF정도)에 충전하여 놓고, 고장이 발생하면 보호계전기의 동작에 의해서 Condenser가 방전된다. 이때의 방전전류가 차단기의 Trip Coil을 동작시켜 Trip시키는 방식을 Condenser Trip방식이라고 하며, 직류 Trip방식 보다는 못하나 교류Trip방식 보다는 더 효과적인 방법이다.
기능 시험(Functional Test)
1) 정특성 시험 (Steady-State Test)
보호계전기 시험장비를 통한 각 계전요소의 동작치, 복귀치, 동작시간, 복귀시간, 위상특성의 정확도 등을 측정하여 성능을 검증하는 시험을 정특성 시험이라 한다.
2) 동특성 시험 (Dynamic Test)
과도현상을 비롯한 계통 특수현상에 대하여 실제 고장이 발생한 때와 같이 전압, 전류의 급변하는 신호를 주어 그때의 각 계전요소의 동작을 확인하는 시험을 동특성시 험이라 한다.
실계통모의시험
각종 계전기 보호대상물의 특성을 실제와 동일하도록 축소 또는 조작이 용이하게 모형을 만들거나, RTDS(Real Time Digital Simulator)를 이용하여 모델링 하고, 여기에 각종 고장 및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때를 가상하여 이에 대응하는 입력을 인가하였을 때 계전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시험을 말한다. 실계통모의시험은 동특성시험의 하나이다.
연동시험(連動試驗)
보호계전기와 모든 설비가 정상적인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전기를 인위적으로 동작시켜 관련 보조계전기 및 기기 등의 동작상태의 정상 유무를 확인하는 시험을 연동시험이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전기 보호 (0) | 2017.02.22 |
---|---|
보호범위 (0) | 2017.02.22 |
상호(相互)임피던스 (0) | 2017.02.22 |
SCADA설비(SCADA設備) (0) | 2017.02.22 |
열병합발전 (0) | 2017.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