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일 종류
• 전류코일(Current Coil)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로서 일반적으로 코일의 turn수가 전압코일에 비해 매우 적은 것이 특징이다.
• 전압코일(Voltage Coil)
전압이 인가되는 코일로서 전류코일에 비해 turn수가 많다. 즉 코일의 임피던스가 커서 정격전압을 가하였을 때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수십mA∼수백mA 정도이다
• 동작코일(Operating Coil)
동작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며 복수의 전기량을 비교하는 계전기에 사용된다.
• 억제코일(Restraint Coil)
억제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이며 동작력을 발생하는 코일과 상대되는 코일로서 구분하여 명령한다.
• 지지(支持)코일(Holding Coil)
어떤 신호가 순간적으로 주어지나 이 신호의 결과를 계속 유지시킬 필요가 있을때 주어진 신호로 코일을 여자시키고 이 코일에 의해 동작되는 접점으로 코일이 계속 여자가 되도록 하며 이 코일을 지지코일이라 한다.
• 복귀코일(Reset Coil)
계전기가 어떤 원인에 의해서 동작한 후 그 동작 원인이 제거되어도 자동 복귀되지 않고 어떤 코일에 다른 입력을 가하였을 때에 계전기가 복귀되는 경우 이 코일을 복귀코일이라 한다.
• 세이딩코일(Shading Coil) 공극이 있는 철심에서 자극면을 분할하여 자로를 둘로
나누고 한 자로에는 단락된 코일을 감아서 두 자로간에 자속의 위상차가 생기도록 한 이 코일을 세이딩코일이라 한다.
• 저지(沮止)코일(Blocking Coil)
반송설비로써 반송장치에 사용하는 주파수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전력선에 설치된 코일을 말하며 일명 wave trap 이라고도 한다.
• 제어코일(Control Coil)
특성을 가감조절하기 위한 입력이 인가되는 코일이다.
• 극성(極性)코일(Polarizing Coil)
동작방향 또는 극성을 판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입력이 인가되는 코일이다.
• 극코일(極, Pole Coil)
유도원통형 계전기에서 자속을 발생시키는 극에 감겨있는 코일을 극코일이라 하며 극 코일에는 전압억제코일, 전류코일, 극성코일 등이 있다.
접점 종류
• 주접점(主接點, Main Contact)
전력선이나 전력기기 등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에 의해 나타나는 전압, 전류가 변성기를 통해 계전기에 가해진다. 이 전압과 전류에 의해 미리 규정된 전기량이나 물리량의 크기에 따라 계전기가 응동할 때 계전기 본래의 책무를 수행하는 접점을 말한다. 무입력 상태에서 열려 있고 입력에 의해 응동되었을 때 닫히는 “a”접점과 이와는 반대로 무입력 상태에서 닫혀 있고 입력에 의해 응동되었을때 열리는 “b”접점이 있다.
• 보조접점(補助接點, Auxiliary Contact)
주접점 책무의 수행을 돕는 접점을 말하며, 주점점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동작시키는 holding coil(지지coil)은 주접점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주접점 동작에 의해 holding coil에 전류가 흐르면 보조접점이 폐로되어 trip전류가 흐르는 동안 주접점을 단락하여 폐로를 확실히 하는 동시에 주접점이 폐로될 때 접점 보호 역할을 한다.
• a접점(a Contact)
계전기에 입력이 인가 되었을때 닫히고 무입력 상태에서 열려 있는 접점을 말한다.
• b접점(b Contact)
a점점과는 반대로 계전기에 입력이 인가되었을 때 열리고 무입력 상태에서 닫혀 있는 접점을 말한다.
• 양방향접점(兩方向接點)
한 개의 가동부가 계전기 입력이 영인 위치로부터 두개의 방향에 이동할 수 있고 그 각 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는 접점을 말한다. 예를 들면 전류가 어느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가를 한개의 계전기로서 식별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접점기구로서 입력이 영인 경우는 중앙부에 위치하고 전류가 어떤 한 방향으로 흐르면 좌측접점이 닫히고 전과 반대방향으로 흐르면 좌측접점이 닫히도록 하는 즉, 양방향에 대해서 개폐가 가능한 접점을 말한다.
• 잔류접점(殘留接點)
조작스위치(control switch)에 있는 접점인데 switch를 투입 또는 개방한 것을 기억해두는 기계적 접점을 말하는 것으로서 투입한 상태를 기억해두는 투입잔류접점과 개방한 상태를 기억해두는 개방잔류접점이 있으며 이들 접점의 복귀는 switch를 반대 위치로 조작할 때에 복귀된다.
• 기계적접점(機械的接點)
기계적인 동작에 의한 접점으로 a접점과 b접점이 있다.
(예, limit Switch)
• 고정접점(固定接點, Fixed Contact)
계전기가 입력에 의해 응동하는 것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는 접점을 말하며 계전기 가동부분에 고정된 가동접점의 동작에 의해 계전기 본래의 책무를 수행한다.
• 가동접점(可動接點, Moving Contact)
계전기가 미리 규정된 전기량이나 물리양의 크기에 따라 응동할 때 가동부분과 같이 행동하는 접점을 말한다.
접점용량 (接點容量, Contact Capacity)
접점이 기계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이상없이 유지할 수 있는 부담의 한도를 말하는 것으로써 접점용량은 폐로용량, 개로용량 및 통전용량 등을 총칭하여 말한다.
• 폐로용량(閉路容量, Current Closing Capacity)
접점이 폐로할 수 있는 부담의 한도이며 보정하는 조건과 전압에서 폐로할 수 있는 전류 또는 VA로 표시한다.
• 개로용량(開路容量, Current Opening Capacity)
접점이 개로할 수 있는 부담의 한도이며 보정하는 조건과 전압에서 개로할 수 있는 전류 또는 VA로 표시한다.
• 통전용량(通電容量, Current Carrying Capacity)
보정하는 조건에서 폐로된 접점의 통전부가 정해진 온도상승한도를 초과하지 않는 전류의 한도이며 통전허용시간에 따라 연속통전용량 및 단시간통전용량이 있다.
보호계전방식 (保護繼電方式, Protective Relaying)
각종의 보호계전기를 적절히 사용하여 전력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때 기기손상을 방지하고 고장범위를 최소한으로 축소시켜 공급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보호 계전방식이라 한다.
과전류계전방식 (過電流繼電方式, Over Current Relaying)
과전류계전기를 이용하여 전기회로의 전류가 일정치 이상이 될 경우 이를 검출, 보호하는 계전방식으로서 방사상계통의 송배전선로, 주변압기 및 Motor보호 등에 적용된다. 보호대상이 되는 고장의 종류에 따라 단락보호용과 지락보호용이 있으며 동작시간 특성에 따라 순시형, 정한 시형 및 반한시형으로 분류된다. 최소고장전류와 최대부하전류의 크기가 비슷한 계통에서는 고장시 관련 계통의 전압이 낮아지는 점을 이용하여 저전압에서는 동작전류치가 낮아지는 특성의 전압억제부 과전류계전기(Voltage rest -rained O.C.R) 또는 어느 일정전압 이하에서만 동작가능한 전압제어부 과전류계전기(Voltage controlled O.C.R)
등의 변형된 과전류계전방식이 적용되며 실제로는 발전기의 후비보호 또는 방사상 송전선로 보호에 주로 사용된다.
방향과전류계전방식 (方向過電流繼電方式, Directional Over Current Relaying)
Loop화된 전력계통에서는 고장전류가 양전원단으로부터 유입되어 방향성이 없는 과전류계전방식으로는 보호설비간 협조가 불가능한 경우가 생기므로 과전류계전기에 방향성을 주어 어느 한 방향의 고장에만 동작토록 하는 방향 과전류계전방식이 적용된다. 고장의 종류에 따라 단락보호용과 지락보호용이 있으며 단락보호용의 경우, 전류와 방향성을 주기 위한 전압과의 조합 방법에 따라 30°진전류방식(예: a상전류와 ac상 전압, b상 전류와 ba상 전압, c상 전류와 cb상 전압을 조합하여 결선), 60°진전류방식(예a상 전류와 c상 전압, b상 전류와 a상 전압, c상 전류와 b상 전압을 조합하여 결선) 및 90°진전류방식(예 a상 전류와 bc상, b상 전류와 ca상 전압, c상 전류와 ab상 전압을 조합하여 결선)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고장시 극성전압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90°진전류방식이 널리 적용된다.
지락보호용의 방향요소에는 영상전압을 이용하는 전압극성요소(Voltage polarizing unit)와 주변압기 중성점의 영상전류를 이용하는 전류극성요소(Current polarizing unit)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전압극성요소는 계통의 중성점 접지방식에 따라 적합한 최대감도 위상각(Maximum torque angle: M.T.A)의 것을 선택 사용하여야 한다.(예:저항접지 계통에서는 M.T.A=0 , 직접접지 계통에서는 M.T.A=피보호 송전선의 Impedance 각) 한편 직접접지 계통에서는 고장점이 계전기 설치점으로 부터 멀어질수록 영상전압이 점점 작아지며 전류극성 요소는 주변압기가 운휴중에는 사용할 수가 없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직접접지 계통에서는 위의 두 가지 극성요소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Dual polarizing unit)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송 계전방식 (0) | 2017.02.24 |
---|---|
전송차단 계전방식 (0) | 2017.02.24 |
배전반 구성에 따른 분류 (0) | 2017.02.24 |
배전반 (配電盤, Switchboard)종류 (0) | 2017.02.24 |
보호배전반 스위치류 (0) | 2017.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