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상계전기 (逆相繼電器, Negative Sequence Relay)
역상분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응동하는 계전기로 역상분만을 통과시키는 filter회로를 가지며 동작부분은 일반의 전압 또는 전류계전기와 같은 것으로 각각 역상과 전압계전기 및 역상과전류계전기라 하며 전력설비의 불평형 운전 또는 결상운전 방지를 위한 보호계전기로 사용된다.
주파수계전기 (周波數繼電器, Frequency Relay)
교류의 주파수에 따라 응동하는 계전기이며 주파수가 일정치 보다 높을 경우 동작하는 것을 과주파수계전기(Over Frequency Relay)라 하며, 낮을 때 동작하는 것을 저주파수계전기(Under Frequency Relay)라 하고 전력계통보호용으로는 후자가 많이 사용되고 전자는 주로 회전기기의 과속도 운전에 대한 보호용으로 사용된다.
속도계전기 (速度繼電器, Speed Relay)
회전 기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응동하는 계전기로 주로 과속도운전 방지나 속도조정용으로 사용된다.
온도계전기 (溫度繼電器, Temperature Relay)
온도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동작하는 계전기로 기기의 과부하 또는 과열방지, 절연물의 과열방지등에 이용되며 발전소, 공장 등에서는 보호목적 이외에 system 조정용으로도 널리 사용된다.
압력계전기 (壓力繼電器, Pressure Relay)
전압의 크기에 따라 응동하는 계전기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고장시 절연매체의 압력상승을 이용하여 동작되며 유체로 절연된 기기들의 보호에 이용되며, 발전소, 공장 등에서는 system제어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도 많다.
층간단락계전기 (層間短絡繼電器)
권선 층간의 단락고장을 검출 보호할 목적으로 하는 계전기이며 대용량발전기, 변압기, 전동기등 권선층을 갖는 기기보호에 이용되고 과전류계전기 또는 차동계전기등이 있다.
계자상실계전기 (界磁喪失繼電器, Loss of Field Relay)
동기기의 계자회로에 이상(단락, 단선등)이 발생되어 계자자속이 상실되었을때 동작되어 기기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계전기를 말하며 종전에는 계자회로에 부족전류 계전기를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전기자권선이 연결된 주회로에 오프set 모오형 거리계전기를 이용하고 있다
동기탈조계전기 (同期脫調繼電器, Out of Step Relay)
동기탈조란 발전기의 탈락등 공급과 수요의 급격한 불균형으로 인하여 양단전원의 위상차가 0~180줩사이에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을 말하며 양단의 전원 위상차가 180줩근처가 되면 계통의 전기적 중성점에서 3φ단락 고장이 발생한 것처럼 된다.
이러한 병렬교류전원들 또는 계통들간의 동기탈조현상 발생시 동작되어 전력계통의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계전기를 말하며, 임피던스궤적형, 전력반전형 전압계전기 조합형 등이 있으나 임피던스 궤적형이 주로 많고 이것은 동기 탈조시 전압과 전류가 서서히 변하므로 그 임피던스 궤적도 서서히 변하는 현상을 거리계전기로 검출하는 것이다.
계통분리계전기 (系統分離繼電器)
일부계통에 발생된 이상현상(고장포함)이 타 계통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계통을 서로 분리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계전기이며 실제에는 이상현상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이 이용된다.
1) 고장지속 또는 과부하시 과전류계전기
2) 동기탈조현상 발생시 동기탈조계전기
3) 주파수 저하 고장시 저주파수계전기
동기검출계전기 (同期檢出繼電器, Synchronism Check Relay)
분리된 2계통의 전압크기 및 전압간의 위상차를 검출 비교하여, 이들의 값이 규정치 내에 있는가를 판단하는 계전기를 동기검출 계전기라 한다. 송전선로에 설치 운전하는 자동 재폐로 계전기에 의한 차단기 투입시 동기검정후 투입하므로 일반적으로 재폐로 계전기와 조합 사용한다.
동기투입계전기 (同期投入繼電器, Synchronizing Relay)
두 개로 분리된 회로 또는 회로 등에서 양 전원의 전압 크기 및 위상차를 비교하여 임의로 조정된 규정치 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규정치내에 있으면 해당 차단기에 투입지령을 주는 계전기를 말한다. 투입조건으로는 ㉮ 양전원의 전압의 크기가 같을 것 ㉯ 양전원의 위상이 같을 것 ㉰ 주파수가 같을 것 그러나 실제로는 정격전압의 80% 이상, 위상25°이내일때 재폐로를 허용하고 있다.
회선선택계전기 (回線選擇繼電器)
병행 2회선 송전선로의 고장회선을 선택하여 고장회선만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목적에 사용하는 무방향성의 과 전류 계전기로서, 양 회선의 CT 2차회로를 회선선택계전기를 차동접속하여 상시 부하전류는 양쪽 CT회로에 순환하여 계전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나 어느 회선 한쪽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전류는 CT에 순환하지 못하므로 계전기에 흐르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때 계전기에 흐르는 CT 2차전류는 고장선로에 따라 방향이 바뀌게 되고 계전기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좌,우측 접점중 하나가 동작하여 관련 고장선로를 차단시키도록 한다.
결상계전기 (缺相繼電器)
3상회로에 설치된 기기에 평형 3상입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3상중 1상의 입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기기 또는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결상상태를 검출하여 차단 또는 경보토록 하는 계전기를 말한다.
표시선계전기 (表示線繼電器, Pilot Wire Relay)
송전선로의 주보호 용으로 주로 사용하는 계전기로서 송전선 양단에 설치된 CT의 전류를 표시선(pilot wire)이라 하는 계전기 특성에 맞도록 고려된 통신선을 통하여 서로 비교하여 보호구간내의 고장 시에는 계전기 내부에 있는 동작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하여 동작토록 하고, 부하전류나 외부고장시는 계전기 내부 억제코일에만 전류가 흐르게 하여 동작치 못하도록 한다. 표시선 계전기의 특징은 계전기 동작특성 차제가 비율 특성으로 억제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동작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일정비율(약 15%)이상에서 동작하게 되어 서 CT 오차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토록 되여 있고, 동작특성이 표시선의 저항값 및 정전용량에 많은 영향을 받게되므로 표시선의 최대 사용 긍장이 제한되어 있으며 선로 긍장이 길게되면 표시선 시설로 인한 경비문제로 5~12㎞와 같은 단거리 선로보호에 많이 사용된다.
표시선감시계전기 (表示線監視繼電器, Pilot Wire Monitoring Relay)
표시선계전기와 조합 사용되는 표시선의 고장을 감시하여 표시선 고장시에는 적절한 조치를 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계전기이며 일반적으로 송신측(sending side)과 수신측(receiving side)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계전기의 동작원리는 평상시 표시선에 일정한 직류전류를 순환시키고 있다가 단선이나 단락고장시는 직류 순환전류가 영(zero) 또는 증가하는 현상과 표시선 지락고장시는 직류전원이 접지단자로 전류가 흐르는 원리를 이용하여 직류 저전류 검출계전기 및 직류 과전류 검출계전기를 동작시켜 경보를 내도록 한다.
한편 최근의 표시선 감시계전기는 직류전류의 통로에 다이오드(diode)를 설치하고 표시선 극성의 오결선시에 직류전류의 흐름을 저지 경보하여 표시선 오결선에 의한 표시선 계전기의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토록 한다.
수신계전기 (受信繼電器, Receiving Relay)
보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호배전반 또는 어떤 회로의 감시 및 제어를 위한 특정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에 신호를 받는 쪽 계전기를 수신계전기라 하며, 적용 예로서는 반송보호배전반의 반송신호 수신계전기(carrier signal receiving relay)가 속한다.
수신계전기는 특정신호를 받아 제어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여야 하므로 동작 신뢰도 관계상 대부분 고속도 동작 및 고속도 복귀특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특성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 전자형 계전기에서는 유극형을 많이 사용한다.
송신계전기 (送信繼電器, Sending Relay)
수신계전기와 반대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계전기이며 적용 예로서는 방향비교 반송계전방식 배전반의 carrier신호 송출용 외부방향 거리계전기 등이 속하는데, 이러한 송신 계전기도 고속도 동작이 요구되므로 실제 적용시는 별도 고려를 하여야 한다.
한시계전기 (限時繼電器, Timing Relay)
계전기에 입력을 가했을 때 또는 입력을 제거하였을 때 계전기의 동작시간을 지연시키는 계전기를 말한다.
저지계전기 (沮止繼電器, Blocking Relay)
어떤 보호계전기 동작으로 연관된 다른 계전기를 동작시키고 그 결과로 또 다른 계전기를 동작시켜 나가는 순차적인 동작회로를 구성하는 회로에서 특정한 계전기의 동작시 다른 계전기의 동작을 저지하도록 사용할 때 특정한 계전기를 저지계전기라 한다. 그 종류로는 사용목적에 따라 trip저지계전기, 재폐로 저지계전기, 투입 저지계전기 등과 같이 구분할 수 있고 대부분은 일반적인 보조계전기가 사용되어 진다.
록 아웃 계전기 (Lock Out Relay)
보조접점 계전기의 입력이 제거되어도 계전기가 원상복귀하지 않고 외부에서 어떠한 힘(또는 별도의 복귀용 입력)을 가하여야만 원상 복귀되는 계전기이고, 어떠한 힘으로는 수동복귀형과 전자복귀형으로 구분된다. 한편 록아웃 계전기는 계전기의 접점이 다수 설치된 경우가 보통이므로 고속동작을 위해 큰 전자흡인력이 필요하므로 동작코일은 저 저항으로 큰 전류가 흐르도록 고려되어 있고 큰 동작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주계전기의 접점 통전용량에 문제가 있으므로 일단 록 아웃 계전기가 동작하게 되면 즉시 동작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록 아웃 계전기의 동작코일 회로에 록아웃 계전기의 “b”접점을 직렬로 연결하여 동작후 전류를 차단토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