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 Unbalance (전류 불평형, 電流不平衡)

Curr Unbalance은 배전선로의 상시 전류평형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으로 역상분/정상분으로 계산된 불평값이 일정시간 지속될 경우 발생한다. 불평형 설정값 범위는 0%100%이고 시간은 0.1s 60.0s이다.

 

Volt Unbalance (전압 불평형, 電壓不平衡)

Volt Unbalance은 배전선로의 상시 전압평형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으로 역상분/정상분으로 계산된 불평형값이 일정시간 지속될 경우 발생한다. 불평형 설정값 범위는 0%100%이고 시간은 0.1s 60.0s이다.

 

Under Frequency(저주파수, 低周波數)

Under Frequency는 배전선로의 전력품질을 측정을 위해 주파수를 감시하는 기능으로 60Hz를 기준으로 설정값의 범위를 벗어난 주파수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발생한다. 저주파수 설정범위는 46.00Hz59.98Hz이고, 시간은 0.03s10.00s이다.

 

S/W Count (개폐기 동작회수, 開閉器動作回數)

S/W Count는 제어단말장치에서 개폐기 동작횟수를 본체 동작회수와 일치시켜 배전지능화 주장치에서 본체 동작회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으로 개폐기가 투입상태에서 열림상태가 되었을 때 1회씩 증가한다.

 

VOC (Value Of Change)

VOC는 전류값의 변화분을 감시하기 위한 기능으로 Minimum VOC 설정값 이상에서 VOC 설정값 이상의 변화가 검출 될 때 발생한다. V.O.C 범위는 0~50%이고, Minimum VOC범위는 0~400A이다.

 

Aver Load Current (평균부하전류, 平均負荷電流)

Aver Load Current는 설정시간 동안의 평균부하전류를 저장하여 전류 변화값을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이다.

 

Daily Max I (1일 최대부하전류, 1日最大負荷電流)

Daily Max 1은 제어단말장치에서 1일 동안의 최대부하 전류를 저장하고 주장치로 전송 유무를 판전하는 기능이다.

 

Fault I Report

Fault I Report는 제어단말장치에서 고장전류값을 저장하고 주장치로 전송 시 전송방식을 선택하는 기능이다.

 

SBO(Select Before Operate)

SBO는 배전지능화 주장치에서 배전지능화 기기 투입, 개방 등 제어명령 시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다. , 실제로 제어명령 전 주장치는 제어단말장치에게 제어명령 실행 가능여부에 대한 신호를 보내고, 주장치는 정상적으로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실제 제어명령을 내리는 체계를 말한다.

 

Master Address

Master Address는 주장치에 입력하는 제어단말장치의 주소이며, 제어단말장치에서 발생한 각 종 이벤트를 주장치로 전송할 때 참고로 하는 주소를 말한다. 주소범위는 0~65534까지 설정할 수 있다.

 

Unsolicited Mode

Unsolicited Mode는 주장치에서 정보를 요구하지 않아도 제어단말장치가 자발적으로 발생한 알람, 이벤트를 주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을 말한다.

 

Unsolicited Class

Unsolicited Class는 제어단말장치에 발생한 알람, 이벤트의 중요도에 따라 등급을 나눈 것을 말하여, Class1, 2,3로 구분한다.

 

Relay on Time

Relay on Time은 주장치의 제어명령을 제어단말장치가 수신 후 배전지능화 기기 동작을 위해 기기의 Realy에 신호를 보내는 시간을 말하며, 주장치에서 설정한 시간 동안 제어단말장치는 제어신호를 보내야 한다. 보통 주장치에 설정된 시간은 1000ms이다.

 

File Transfer (파일 전송)

File Transfer는 고장파형, 시간대별 부하전류, 제어단말 장치 운영정보 등 크기가 큰 자료를 파일형태로 주장치로 전송하는 기능이다.

 

경보 (警報, Alarm)

경보는 배전선로 고장발생 등과 같이 배전계통운전원이 즉시 파악하고 조치하여야 할 중요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 및 로그를 말한다.

 

이벤트 (Event)

이벤트는 배전계통운전원이 배전지능화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정보 즉 경보처리 하지 않는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 및 로그를 말한다.

 

TAG

TAG는 배전지능화 기기의 원격제어금지, 통신불량 등의 특수한 상태를 기호를 사용하여 제어창, 계통도에 표시하는 기능을 말한다.

 

 

배전계기(架空計器)

보통 계기라함은 전기요금 계산에 필요한 사용전력량을 계량하는 전력량계와 계량을 위한 부속자재(타임스위치, 시험용단자대, 변류기 등)을 통칭한다

 

유효전력량계 (有效電力量計, Active energy meter)

유효전력 사용량을 계량하여 누적치를 표시하는 계기

 

무효전력량계 (無效電力量計, Reactive energy meter)

무효전력 사용량을 계량하여 누적치를 표시하는 계기로 기간평균 역률요금 적용대상 고객에게 사용한다.

 

최대수요전력계 (最大需要 電力計, Demandmeter)

15분 단위 전력사용량을 환산하여 평균 최대사용전력량을 최대수요전력이라고 하고 이 최대수요전력량을 측정, 표시하는 전력량계

 

기계식전력량계 (機械式電力 量計, Mechanical meter)

전력량을 측정하고 표시하는 장치가 전자유도작용에 의한 원판회전 등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동작하는 계기를 말한다.

 

전자식전력량계 (電子式電力量計, Electricity meter)

입력된 전압과 전류의 적(전력)에 비례하는 출력펄스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반도체(전자)소자에 의해 동작하는 계기를 말하며 계량실적자료의 기록기능 보유유무에 의하여 기록형전자식전력량계 (실적자료 기록, 보관가능)와 일반형전자식전력량계(단순 계량기능만 보유)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보통전력량계 (普通電力量計, Watt-hour meter)

정밀계기, 특별정밀계기 이외의 계기로 정밀등급이 2.0급인 계기를 말한다.

 

정밀전력량계 (精密電力量計, 1.0Class accuracy meter)

계기용 변성기와 조합하여 주로 고압 및 특별고압에서의 대용량 전력수요의 전력량 계량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비교적 높은 정밀도로 계량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어 정밀등급이 1.0급인 계기를 말한다.

 

특별정밀전력량계 (特別精密電力量計, 0.2,0.5 Class accuracy meter)

계기용 변성기와 조합하여 주로 특별고압에서의 초대용량 전력수요의 전력량 계량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별히 정밀하게 계량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어 정밀 등급이 0.2, 0.5급인 계기를 말한다.

 

형 계기 (形計器, Type meter)

정격전류로부터 정격전류의 1.65%까지의 전류에 대해 정밀도를 보증한 계기를 말한다.

 

형 계기(形計器, Type meter)

정격전류로부터 정격전류의 1.25%까지의 전류에 대해 정밀도를 보증한 계기를 말한다

 

단독계기 (單獨計器, Single meter)

계기용 변성기와 조합하지 아니하고 단독으로 사용되는 계기를 말한다.

 

변성기부계기 (變成器附計器)

계기용 변성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계기를 말하며 계기용 변성기는 포함하지 아니한다.

 

1종 계기 (1種計器, Single tariff meter)

계량시간대를 구분하지 아니하고 단일시간대의 전기사용량만 표시되는 계기를 말한다.

 

2종 계기 (2種計器, Double tariff meter)

계량시간대를 2개 시간대로 구분하여 전기사용량이 표시되는 계기를 말한다.

 

3종 계기 (3種計器, Triple tariff meter)

계량시간대를 3개 시간대로 구분하여 전기사용량이 표시되는 계기를 말한다.

 

보통 내후형 계기 (普通耐朽型計器)

옥외의 우선(雨線)내 또는 옥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후 구조로 된 계기를 말한다.

 

강화 내후형 계기 (强化耐朽型計器)

우선(雨線)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내후 구조로 된 계기를 말한다.

우선내 : 옥측의 처마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선단에서 연직선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그은 선내의 옥측부분으로 통상 강우상태에서 비를 맞지 않는 부분을 말한다.

우선외 : 옥측에서 우선내 이외의 부분을 말한다.

 

표준형 계기 (標準型計器, General type meter)

계약전력 20kW 이상의 일반용, 산업용, 농사용, 심야전력(), 임시전력()의 역률관리 대상고객에 부설되는 전자식전력량계

 

E-Type 계기 (E-Type 計器, E-type meter)

저압 단상 2선식 교류회로에 부설하여 유효전력을 계량할 수 있는 계기로서, 주택용 고객으로 월사용량 최대 400kWh 미만(, 신규부설 등 사용량 확인이 곤란할 경우 계약전력 5kW 이하 사용 가능), 농사용 고객으로 계약전력 5kW 이하에서 사용한다. 이 계기는 유효전력량계 (1.0)의 정밀도를 가진 보통내후형 계기로 밑면 접속방식과 상하접속방식이 있다.

 

G-Type 계기 (G-type 計器, G-type meter)

저압 단상 2선식 및 34선식 교류회로에 부설하여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계량할 수 있는 계기로서, 유효전력량계 (1.0)와 무효전력량계(2.0)의 정밀도를 가진 보통 내후형 계기다.

 

CT일체형 계기 (CT一體型計器)

이 계기는 유효전력량계 (1.0)와 무효전력량계(2.0)의 정밀도를 가진 보통내후형 계기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동 (潛動, Creeping)  (0) 2017.02.25
역률 (力率, Power Factor)  (0) 2017.02.25
광 케이블 (Optic Cable)  (0) 2017.02.25
Hub (허브)  (0) 2017.02.25
단선도 프로그램  (0) 2017.02.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