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 방지, 곡선 당김 장치의 설치 목적 및 시설 방법
Ⅰ. 진동 방지 장치의 목적
전차선, 보조 조가선이 횡으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를 진동 방지 장치라고 한다. 진동 방지 장치는 직선로 및 곡선 반경 1,600[m] 이상의 곡선로의 전차선을 항상 일정한 곳에 유지하는 것이지만, 팬터그래프의 집전판 중앙 부분만 마모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편위로 궤도 중심면에서의 수평 거리를 정해진 편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곡선 당김 장치를 설치한다.
Ⅱ. 곡선 당김 장치의 목적
곡선로에 있어서 전차선은 곡선 횡장력에 의해 곡선의 내측으로 장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전차선을 외측으로 끌어 당겨서 전차선의 궤도 중심면에서의 수평 거리를 정해진 편위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곡선 당김 장치를 설치한다.
Ⅲ. 진동 방지 및 곡선 당김 장치 시설 방법
① 합성 전차선의 가동 브래킷, 고정 브래킷 등 각 지지점에는 다음 각 호에 의한 곡선 당김 장치를 시설한다.
㉮ 곡선 당김 철물의 설치 각도는 레일에 대하여 궁형은 11°, 직선형은 15°를 표준으로 한다.
㉯ 궁형 곡선 당김 철물의 설치는 궤도 중심면에서 1[m] 이상 이격한다.
㉰ 자동 장력 조정 장치를 설치한 합성 전차선은 장력 조정에 대한 곡선 당김 장치의 억제 저항이 될 수 있는 한 적게 되도록 시설한다.
㉱ 각 선로별로 전차선로 지지물에 설치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전용주에 붙일 수 있다.
㉲ 곡선로에서 조가선의 가선 위치는 될 수 있는 한 전차선과 수직이 되도록 지지한다.
㉳ 빔하 스팬선에 취부하는 경우 2종 금속의 접촉 등에 의한 부식, 소손, 단선이 없도록 설치하고, 동일 스팬선에 2조 이상 병설하는 경우에는 순환 전류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설비한다.
② 분기기 부근 등에서 주곡선 당김 장치만으로 중간 편위의 규정치 확보가 곤란한 지점에는 합성 전차선 또는 조가선에 별도의 보조 곡선 당김 장치를 시설한다.
③ 곡선 당김 장치를 취부할 수 없는 경우는 직접 조가 방식 등 적당한 방법으로 합성 전차선을 지지할 수 있다.
Ⅳ. 곡선 당김, 진동 방지 금구의 종별
(1) 궁형(L=900[mm], L=1,200[mm])
가동 브래킷, 빔하 스팬선 등에 사용한다.
(2) 직선형(L=425[mm])
정차장 구내에서 설비가 많아 여유가 없는 개소에 사용한다.
Ⅴ. 곡선 당김 장치 설치도
빔하 스팬선 개소
2. 브래킷 설치 개소
Ⅵ. 결론
진동 방지 및 곡선 당김 장치는 전차선을 일정한 범위 이내에 시설하기 위하여 설치하며, 지금까지는 L=900[mm]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속도가 점차 상승되면서 곡선 반경이 적은 개소 및 고속 운전 구간에는 L=1,200[mm]로 곡선 당김 장치의 길이를 크게하고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류, 교류 급전 방식의 회로 구성 (0) | 2017.03.30 |
---|---|
직류식 전기철도에서 전선로에 발생한 사고 전류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방법 (0) | 2017.03.30 |
흡상 변압기 급전 방식의 흡상 변압기 사용 목적 (0) | 2017.03.30 |
훜크의 법칙 (0) | 2017.03.30 |
강 구조물 재료의 항복(yielding) 현상 (0) | 2017.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