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의 속도제어와 브레이크
1. 다단식 제어 방식의 채용
기동 가속을 순조롭게 수행하고 동시에 기동견인력을 크게함과 더불어 고점착 운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 방식을 다 단화 하고 버니아(Vernier)제어도 채용한다.
2. 자기증폭기 또는 사이리스터를 사용한 제어방식의 채용
수은 정류기의 교류 전기차는 격자 위상제어에 의한 연속 전압 제어, 정 전압 제어 등도 많이 채용한다.
3. 발전 브레이크와 전자 직통 브레이크의 채용
정지 브레이크로 발전 브레이크와 전자 직통 공기 브레이크가 상용된다.
4. 자동제어의 응용
자동열차운전, 자동열차제어 등 속도제어 기술의 응용이 도모되고 있다.
5. 제어 방식의 속응화
열차운전의 고속화에 따라 안전을 확보하기위하여 속도제어 브레이크제어의 빠른 응동이 용구되며 제어 방식도 속응화가 도모된다.
6. 단상교류 전력 회생 브레이크의 채용
전 사이리스터식 전기차에 의한 단상 교류 전력 회생 브레이크도 최근 실용화.
7. 직류초퍼제어의 채용
직류전기차에 사이리스터에 의한 초퍼제어를 응용하여 회생제어가 채용되고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하중장치 (0) | 2017.04.12 |
---|---|
VVVF 인버터제어 (0) | 2017.04.12 |
전기차의 전력 회생 (0) | 2017.04.12 |
전기차의 집전 장치인 팬터그래프 (0) | 2017.04.12 |
전기철도 방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제반요소 (0) | 2017.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