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류전기철도방식(DC1500V) 에서의 절연협조

 

1. 개요

. 급전선 전차선과 동일 지지물에 신호 고압 또는 고압배전선이 첨가되어 있다.

. 전선로와 변전소 기기 등 다른 설비와의 절연 협조를 도모하기 위하여 급전선 전차선 공아 배전선 의 지지는 현수 애자련(180 mm, 2개련)으로 구성되고 과선교 교상 역사 등에서는 터널용 애자련(250 mm, 2개련)으로 구성된다.

 

2. 뇌격에 의한 사고 현상

. 원격제어반, 제어반 등의 회로 및 계전기의 소곤과 퓨즈 용단 등이 있다.

. 급전선은 애자 파손, 연면 섬락 및 급전 케이블 의 지락

. 조가선은 단선 일부 용손 및 애자의 연면 섬락

. 고압배전선의 단선, 조명용 변압기의 소손 절연 전선의 핀 홀(Pin Hole)등이 일어난다.


3. 뇌해 대책

. 급전선에 직류용 피뢰기(산화 아연형 : ZnO)를 선로에 평형되게 일정간격(250m)으로 설치하고 급전선에 유기되는 뇌격 서지를 대지로 방류시켜서 애자의 연면 섬락을 방지한다.

. 급전선 및 전차선의 상부에 가공지선을 설치 전선을 보호한다.

. 가선에 유기되는 뇌격 서지 전압은 유도뢰에서는 100~150[kV], 직격뢰에서는 300-500[kV] 정도로 알려져 있다.

. 고압배전선로 뇌해 대책으로 가공지선을 차폐각, 45 위치로 가선 직격뢰를 방지 유도뢰 서지를 억제한다.

. 피뢰기를 일정간격(500m)으로 설치하여 뇌격 서지를 대지로 방류한다.

. 직류 전차선로의 뇌해 대책으로 현수애자용 한류 아크혼(arc horn)장치가 있다.

. 산화 아연(ZnO) 소자를 내장한 한류 소자는 뇌격 서지 만을 대지로 방류시키고 속류를 차단하므로 단선 및 애자의 소손을 방지한다.

. 그리고 방전 클램프형 핀 애자가 사용되고 있다.




교류전기철도 급전회로의 절연협조

 

 

1. 개요

. 교류급전회로는 1선접지의 회로이고 대지 전압과 동일한 공칭전압의 3상 상간 전압이 그대로 가해진다.

. 대지 절연은 3상 전력 계통에 비해서 3배의 전압을 부담한다.

. 전기차의 피뢰기 보호 범위는 직접접지 방식이므로 충분히 보호 효과를 기대 할수 있다.

. 공칭전압의 3상 송전선(고저항 접지)과 동일한 정도의 절연레벨을 갖고 사용전압 20[kV]에 대해서 변전소 및 전기차의 기기는 20호 절연을 채용하고 있다.



2. 교류 20[kv] 전기철도용 피뢰기의 특성

전기차, 변전소, 전차선로의 피뢰기에 대한 특성을 다음의 표 1과 같이 비교한다

구분

변전소

전차선로

차량

정격전압[kV]

28

28

28

상용주파 방전 개시 전압[kV]

48 이상

48 이상

48 이상

충격(100%)개시전압[kV]

90 이하

105 이하

80 이하

제한전압

[kV]

2.5[kA]

 

105 이하

 

10[kA]

94 이하

 

84 이하

교류 20[kv] 전기철도용 피뢰기의 특성

 

 

3. 직류 및 교류 절연강도

교류 및 직류구간의 변전소와 전차선로의 충격절연강도(표준파 건조)와 피뢰기 충격방전 개시전압의 예를 다음의 그림 1과 같이 나타낸다


직류 및 교류 절연강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