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통의 접지 방식 비교

 

 

계통의 접지방식은 직접접지(다중접지), 저항접지 및 비접지(GPT접지)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각 방식에 따라 지락전류의 크기 및 계산방식이 상이하므로 지락전류 계산은 각 방식별로 구분 하는게 좋다.

 

우리나라에서 적용되는 접지방식은 다음과 같다.

) 직접접지

765kV, 345kV, 154kV 송전선로(유효접지)

22.9kV 배전선로(다중접지)

저압 계통

 

) 저항접지

공장 구내 배전 설비

발전기 중성점

 

) 비접지

서울시내 일부 22kV 배전선로

공장(빌딩)구내(22kV, 11kV, 6.6kV, 3.3kV)

 

1. 직접접지(Solid Grounding)

이 방식은 변압기의 중성점을 대지에 직접접지하기 때문에 1선 지락 사고시의 건전상 전압상승이 가장 적어 전력기기의 절연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지락전류 검출이 용이하여 지락사고시 보호계전기가 신속하게 동작을 한다. 한편 지락전류가 크기 때문에 지락사고시 설비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으며 통신선에의 유도전압이 높아 장해를 일으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계통은 충분한 절연설계를 하여 심하게 발생시키지 않게 함과 동시에 만일의 사고가 발생하면 선로에 유입되는 지락 사고 전류의 지속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 확실한 고속도 선택차단이 가능한 기능의 보호계전기 및 차단기를 설치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2. 비접지(Ungrounded System)

계통을 접지하지 않고 비접지 상태로 운전하는 방식으로 지락사고시 지락전류는 충전전류와 GPT를 통한 유효전류이며, [A]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반면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위는 3배까지 상승한다.

만약 이 지락사고 전류가 간헐적으로 생기거나 계속 흐르도록 방치하면 심각한 과도 이상 전압이 대지간에 생길 수 있으며 그 크기가 상전압의 6배 내지 8배에 이른다. 이것이 절연을 파괴시키고 동시다발의 전동기 소손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 과도 이상전압은 계통 Capacitance의 반복 충전 때문이거나 계통 Capacitance와 기기의 Inductance간의 공진에 의하여 발생된다.

1선 지락 사고가 난 상태로 방치하여 두면 두 번째 지락사고시 Phase-to-Ground-to-Phase Fault가 되어 대전류가 흐르면서 상 과전류 계전기에 의하여 Trip된다.

3.3kV 계통은 비접지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GPTZCT를 조합하여 SGR(선택 지락계전기)로 지락보호를 하고 있다. 이 방식은 지락사고시 수[A]정도의 적은 전류가 흐르므로 계통에 미치는 영향이 적으며 중요한 부하는 지락 사고시 Trip 시키지 않고도 운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결선 및 극성이 맞지 않으면 오동작하거나 부동작하게 되며 GPT, 한류저항 등의 용량이 작아 소손되는 사례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3. 저항접지(Resistance Grounding)

이 방식은 1선 지락전류를 억제하기 위하여 계통의 중성점에 저항기를 접속하여 접지하는 방식으로 저항기의 크기를 조정하여 지락사고시 계통에 흐르는 지락전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락전류가 100A 정도까지 흐르도록 조정하는 계통을 고저항 접지 방식이라 하고 그 이상의 지락전류가 흐르는 계통을 저저항접지 방식이라 한다.

    

1. 접지방식 비교

 

구 분

직접(다중)접지

비접지

저항접지

결선도

 

 

 

중성점 저항

Z 0

Z ≒ ∞

Z = R

지락전류

수백수천 A

A이하

임의조정(5200A정도)

1선 지락시

건전상 전위상승

1.3E

3E

1.3E~√3E

유도장해

전원공급(Service)

Trip at the first fault

No trip at the first fault

Trip at the first fault

장점

보통의 절연강도

단순한 보호방식

(OCGR)

과도전압 감소

중단없는 전원공급

적은 고장전류

적은 고장전류

중간 수준의 절연강도

과도 전압의 감소

단점

전원공급 중단

큰 고장전류

높은 접촉전압

유도장애

과도 과전압 상승

높은 절연강도 요구

지락보호 난이

(GPT, ZCT, SGR)

전원공급 중단

열적 스트레스 발생

지락보호 난이

-CT300/5A 이하인 경우:

(GPT, CT 잔류회로, DGR)

-CT300/5A 초과인 경우:

(GPT, CT 3차영상분로접속, DGR)

 

    

 

2. 산업플랜트에서 사용가능한 접지방식의 종류 및 특징(저압)

 

접지방식

저압계통(600 Volts 이하)

고저항 접지

(광업 등 연속공정에 사용)


 

Ig = 15A

1. 지락사고 전류 - 일반적으로 15Amps

2. 사고에 의한 피해 - 없음. 첫 지락에 한하여

3. 전력 공급의 신뢰성 - Trip 없음. 모든 기기 정상운전

4. 과도 이상 전압 - 효과적으로 제한

5. Arc 지락 사고 - 없음

6. 사고지점 색출 - Pulse 장치가 있으면 쉬움

노련한 전공에 의하여 사고지점을 빨리 찾는 것이 요구됨

직접접지

(일반적으로 사용)

 

1. 지락사고 전류

- 대단히 큼. 단지 변압기나 전선 굵기, 과전류 보호장치에

의해 제한될 뿐임

2. 사고에 의한 피해

- 일반적으로 매우 크다

3. 전력 공급의 신뢰성

- 일반적으로 없음. 차단기 Trip

4. 과도 이상 전압

- 가장 효과적으로 제한

5. Arc 지락 사고

- 가공할 피해로 연결 가능성 가장 많음. 통상

보호계전기에 의한 보호필요

6. 사고지점 색출 - 스스로 해당회로 차단

비접지

(종전 사용 방식)

 

1. 지락사고 전류 - 없음. 첫지락에 한하여

2. 사고에 의한 피해 - 없음. 첫지락에 한하여

3. 전력 공급의 신뢰성 - Trip 없음

모든기기 정상 운전 - 첫지락에 한하여

4. 과도 이상 전압

- Arc 지락 사고시 정상전압의 600%의 이상전압 유지

5. Arc 지락사고 - 4번 참조. 불꽃 소손피해는 없음.

6. 사고지점 색출 - 매우 어렵다. 노련한 전공이 빨리

찾아내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2번째 지락사고시에는 선간

단락이 되기 때문이다.

저저항 접지

(이동식 장비 이외에는 드물게 사용)

 

 

Ig = 15150A

1. 지락사고 전류 - 일반적으로 15150Amps.

2. 사고에 의한 피해 - 사고시 Trip이 되지 않거나 즉시

찾아내지 못하면 피해가 커질 수 있음.

3. 전력 공급의 신뢰성 - 소규모 회로는 Trip 시키고,

이외에는 경보나 보호계전기 Trip

4. 과도 이상 전압 - 효과적으로 제한

5. Arc 지락사고 - 대규모 피해의 원인이 될 수 있음.

6. 사고지점 색출 - 선택 접지계전기로 감지. 사고지점

색출은 매우 어려움.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항률  (0) 2017.06.22
전력기기 점검표  (0) 2017.05.01
보호계전기  (0) 2017.03.14
축전지 종류별 비교  (0) 2017.03.14
전철전원설비 용어  (0) 2017.03.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