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한계와 차량한계
1. 차량 한계
가. 개요 : 차량을 안전하게 운행하기 위하여 선로에 부수되는 건조물 및 시설물과 차량의 사이 에 적당한 여유 간격이 있어야한다 이를 위해 운전하고 있는 차량의 단면적 크기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여 이 범위로부터 차량의 일부가 돌출되는 일이 없도록 차량의 크기를 규정한 것을 차량한계라 한다.
나. 차량 한계
차량한계는 차량 단면의 최대 치수를 제한 한 것으로 차량의 어떠한 부분도 이 한계에 저촉되면 안된다. 철도의 궤도 중심에서의 차량한계는 좌우 1700[mm]이며 열차 표시에 대한 한계는 1,800[mm]이다. 궤도면상 높이의 차량한계는 일반차량의 경우 4,800[mm]이며 전차량의 집전장치를 편경우에 있어서 6,000[mm]이다.
2. 건축한계
가. 개요 : 선로변에 건조물을 설치한 경우 차량 운전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차량한계 외에 확보해야 할 최소 공간을 건축 한계라 한다. 건축과 구조물은 이 한계를 침범할 수 없으며 외부로부터 침범할 수 없는 한계를 말한다.
나. 직선로에 대한 건축한계 : 직선로에 대한 건축한계는 궤도중심에서 2100[mm]이며 레일면상 높이는 비전철 구간에서 5,150[mm], 전철구간에서는 6,450[mm]이다
다. 곡선로에 대한 건축한계 : 곡선로에 있어서 차량의 중앙부는 곡선 안쪽으로 편위되므로 곡선 부군의 건조물과 차량의 간격을 차량의 편위 만큼 곡선로의 건축한계 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확대치수는 철도공사의 경우 W=5,000/R 부산지하철은 W=20,000/R 을 적용한다 또한 곡선에서는 내측에 캔트에 의한 차량 경사량 및 슬랙량을 더하여 확대한다.
1) 내곡선의 건축한계.
E=2,100+5,000/R+3,100C/1,435+S+S/2[mm]
2) 외곡선의 건축한계.
E=2,100+5,000/R+3,100C/1,435+S-S/2[mm]
단, R = 곡선반경[m]
C =캔트량[mm]
S = 슬랙[mm]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 절연 개폐장치(GIS) (0) | 2017.04.15 |
---|---|
강색차선 시설방법과 절연저항값의 기준 (0) | 2017.04.15 |
경전철 중 선형 유도 전동기 추진 방식 (0) | 2017.04.15 |
경전철의 종류 (0) | 2017.04.15 |
고분자애자에서 발생하는 트래킹 현상 (0) | 2017.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