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 전차선로에서 흐름방지 장치 설치방법

 

 

1. 서론

전차선은 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차선 인류 구간의 양측에 자동 장력조정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풍압, 팬터그래프의 접동, 전차선 자신의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 등에 의하여 선로의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 전차선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를 전차선의

흐름 방지 장치라고 한다.

 

2. 전차선의 흐름 요인

전차선의 흐름을 조장하는 요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활차식 밸런서의 중량차에 의한 중력추 불균형

선로의 경사나 곡선의 조건

가동 브래켓이 O형 또는 I형이 연속되는 경우

풍향, 풍압에 의한 기상 조건

 

3. 흐름 방지 장치 설치 방법

인류 구간의 중앙점에 전선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흐름 방지 장치를 시설한다.

인류 구간의 중앙점에 전선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흐름 방지 장치를 시설 한다.

흐름 방지 장치는 전선의 처짐, 강하 등으로 열차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전선의 이도, 가고 등을 조정하고, 급전선과의 이격 거리는 충분히 고려한다.

강체 가선 구간에서는 인류 구간의 중앙점에 흐름 방지 장치를 시설 한다.

곡선, 구배 등의 선로 조건에 따라 전차선의 흐름이 특히 크게 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800[m] 이하의 인류 구간을 만들어 한쪽에서 조정한다.


4. 흐름 방지 장치 설치도

1) 역간 개소



2) 빔 개소


5. 전차선 흐름에 대한 문제점 및 대책

1) 선로 구배 개소



위의 그림과 같이 선로 구배에 외력 ag 가 있는 경우 A쪽 장력의 추는 T+ag[kgf]로 설치하고, B점의 장력 장치의 추는 T-ag[kgf]로 설치하여 전차선의 흐름을 방지 한다.

 

2) 선로 곡선부

곡선 부분이 한쪽으로 치우쳐 있고 다른 쪽이 직선인 경우, 직선 쪽 중추가 너무 내려오던가 또는 너무 올라가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조정 구간을 표준보다 짧게 하여야 한다.

 

6. 결론

전차선의 가선 길이는 최대 1,600[m]까지 시설할 수 있고, 또한 가선 길이가 800[m] 이상일 경우 양측 인류점에는 자동 장력 조정 장치가 설치되며 대략 그 중앙점에 흐름 방지 장치를 설치하여 전차선의 흐름을 방지하고 있다. 곡선 개소에서 곡선이 인류점의 한쪽에 치우쳐 있고 다른 쪽이 직선인 경우에는 중추의 이동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곡선이 심한 개소는 인류 구간을 적게 잡는 것이 바람직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