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전용 변압기

 

(변압기 용량 및 위치의 선정)

유지보수관리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 공급범위가 서로 교차되지 아니하도록 명확히 구분한다.

유사한 부하밀도에 있어서는 현저한 공급범위의 대소를 각각 적정한 범위로 평균화한다.

공급범위의 부하설비용량에 대하여는 사용상태에 따라 수용률부하율부하증가율 등의 제반조건을 정하여 그 최대부하에 따른 적정용량을 선정한다.

변압기의 위치는 가능한 한 부하의 중심에 설치하고 또한 보수 관리상의 제반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되 다음 각호의 전주에는 시설을 피한다.

1. 각도주

2. 구분용 개폐기 설치주

3. 다수의 전선을 가설하여 장주가 복잡한 전주

 

(변압기의 시설)

고압 및 특고배전반의 가선위치를 분리하여 그 회선구간에 전송하는 변압기는 설치위치를 분리한다.

고압 2회선구간의 상용과 예비의 변압기는 각각 단독으로 시설하고 저압 자동절체방식으로 한다.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고압 절체방식으로 할 수 있다.

고압인하선의 시설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고압부분의 인하선은 8[] 이상의 고압인하선을 사용하고 지지점간의 거리는 약 3[m] 이하로 하여 혼촉되지 아니하도록 지지한다.

2. 고압인하선의 지지는 라인포스트애자 또는 현수애자 180[] 2연으로 한다.

변압기의 설치는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변압기의 설치에는 현수식거치식 또는 큐비클형으로 한다.

2. 변압기의 2차측과 저압배전선과의 접속선은 600[V] 전력케이블로 한다.

3. 변압기에는 진동 등에 의한 낙하 또는 전도방지시설을 한다.

 

(변압기대의 시설)

지상 변압기대의 시설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지상에 변압기를 설치하는 경우는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울타리를 설치하고 또한 위험을 알리는 표시를 하며, 특히, 일반 공중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울타리와 울타리에서 충전부분까지의 거리의 합이 5[m] 이상으로 한다. 다만, 큐비클형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2. 지상 변압기대의 기초는 강우시 등의 배수 및 적설을 고려하여 시설한다.

3. 지상 변압기대의 크기는 변압기의 설비 대수 및 보수작업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4. 지상 변압기대의 울타리는 공용접지와 연결한다. 다만, 비공용접지구간은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변압기의 접지)

변압기 2차측의 접지는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변압기에는 특고압, 고압전로와 저압전로의 전기적 접촉에 의하여 생기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저압측의 1단을 공용접지에 연결하되, 비공용접지구간은 제2종 접지공사를 한다. 다만, 변압기의 구조 또는 배전방식에 의하여 그 중성점에 접지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저압측의 1단을 접지할 수 있다.

2. 혼촉방지판 부착 변압기(신호용 등)의 경우에는 혼촉방지판을 공용접지에 연결한다. 다만, 비공용접지구간은 제1종 접지공사를 한다.

3. 누전차단기 등 보호장치 동작의 확보를 위하여 특히 필요한 경우에는 절연변압기의 2차측을 공용접지에 연결한다. 다만, 비공용접지구간은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변압기 외함의 접지는 변압기 2차측 접지를 공동으로 하여 접지한다. 다만, 변압기를 철주 또는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공용접지와 연결하되, 비공용접지구간은 제1종 접지공사를 한다.

공용접지는 접지극을 2대 이상의 변압기에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으로서 그 시설은 다음 각호에 의한다.

1. 가공지선에는 22[] 이상의 경동연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및 굵기를 가진 전선을 사용하여 저압 가공전선에 준하여 시설한다.

2. 가공지선의 접지공사는 변압기를 중심으로 하여 직경 400[m] 이내의 지역에서 변압기의 양측 2개소 이상에 시설하며 그 합성저항치는 1[]를 직경으로 하는 지역마다 제2종 접지공사의 저항치를 갖도록 하고 또한 각 접지선과 대지와의 저항치는 300[] 이하로 한다.

3. 저압배전선의 1선을 가공공동지선에 병용하는 경우의 가공지선은 1[]를 직경으로 하는 지역마다에 제2호의 시설을 한다.

 

(변압기의 보호장치)

변압기의 1차측에는 변압기 용량과 사용환경에 적합한 보호장치를 시설한다.

변압기의 2차측에는 변압기 용량에 적합한 퓨즈(전력퓨즈배선용차단기켓치홀더 등)를 시설하고 변압기 인출선과의 접속부분에는 커넥터 또는 단자 등을 사용한다.

뱅크 용량이 5,000[A] 이상 10,000[A] 미만인 특별고압용변압기에 대하여 그 내부에 생긴 고장을 경보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내부에 고장이 생겼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이를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중 전선로  (0) 2017.04.24
터널 내 전선로  (0) 2017.04.24
고압용개폐기  (0) 2017.04.24
지락 차단장치  (0) 2017.04.24
진상용 콘덴서  (0) 2017.04.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