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나리 전차선로의 설치기준
1. 전차선
가. Trolly wire의 높이는 5,000mm을 표준으로 한다.
나. Trolly wire의 구배는 3/1,000이하로 한다.
다. Trolly wire의 경사각은 지지점에 있어서 조가선 Trolly wirie의 궤도 중심면에 대한 각으로 10°이하로 한다.
라. Trolly wire의 Zig-zag 편위는 직선 구간에 있어서 Track Center로 부터 좌,우 200mm를 원칙으로 하고 최대 250mm로 한다.
마. Trolly wire의 선정 : Trolly wire는 110mm2 경동 Trolly 선을 사용한다.
바. 조가선의 선정 : 조가선은 90mm2의 아연도금 강연선을 사용한다.
사. 조가선 및 Trolly wire의 표준장력
Messenger wire | Trolly wire | ||
규격 (mm2) | 장력 (KG) | 규격 (mm2) | 장력 (KG) |
90 90 × 2 | 1,000 2,000 | 110 110 × 2 | 1,000 2,000 |
아. 전차선의 허용전류
전차선의 종별 | 허용전류(A) | 허용잔존직경 |
CU 110mm2(67.6mm2) | 365 | 7.5mm |
2. Hanger Ear
Hanger Ear 표준 간격은 5M, 최소길이는 150mm로 한다.
가. Hanger Protector
Messenger Wire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지점에서 좌우첫번째 Hanger 개소에는 Hanger Protector를 취부 한다.
3. Messenger wire 및 Trolley wire 접속
Messenger wire 및 Trolley wire의 접속은 Pantograph의 통과에 지장이 없는 설비이어야 하며 접속 형태는 다음과 같다.
접 속 전 선 | 중 간 접 속 | 인 지 개 소 |
Messenger wire | Wire Connecting Fitting | Compre ssion Fitting |
Trolly wire | Double Ear × 3 | Trolly wire Terminal (end Fitting) |
4. Trolly Wire의 무효부분
Trolly wire의 무효부분과 유효부분과의 고저차는 300mm을 원칙으로 하며 경간이 적당하지 않은 것은 증감 한다.
5. 접지설비
가. 철주의 접지 저항치는 100Ω 이하로써 동전극봉을 사용 접지선을 포설 철주에 접지한다.
나. 피뢰기의 접지 저항치는 30Ω 이하로 접지 한다.
6. 경 간
전차선의 표준 경간은 차량기지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분기 장치및 곡율반경에 따라 조정하고 인접한 경간의 차는 20m 이내로 하며 표준경간은 다음과 같다.
표준경간
곡 율 반 경 (M) | 경 간 (M) |
800m 이상 | 50m |
500m - 800m | 40m - 45m |
300m - 500m | 30m - 40m |
200m - 300m | 20m - 30m |
90m - 200m | 10m - 20m |
7. 지 선
수평하중에 가해지는 인류 전주에는 지선을 설치하고 전주와의 취부 각도는 45°를 표준으로 하고 최저 30°로 한다.
8. 지지물
가. 지지물의 구성
가공전차선 및 그 부속물을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구조물은 전차선을 조가하는 것과 그것을 지지하는 지지주로 구성한다. 전자는 Bracket, 하수강 기타 금구로 하며 후자는 전주 자체와 기초, 지선, Beam 등으로 한다.
나. 지지물의 형식
(1) 전차선로의 지지물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2) A형은 지상부 일반구간에 사용
(3) B형은 본선구간 및 U-type 구간에 사용
(4) C, D형은 차량기지 구내선로에 사용
다. 지지물의 종류
(1) 지지물은 주로 Concrete pole과 철주로 하며 철주의 주재는 앵글75×75×9t 보조재 50×50×6t을 사용한다.
(2) 교차구간 및 이행구간의 인류부분은 충분한 강도를 갖는 강재 조립 고정 Beam으로 한다.
라. 가동 Bracket의 건식 Gauge
일반구간에 있어서 Bracket주의 건식 Gauge는 3m을 표준으로 하며, 최소 2.1M로 한다.
마. 가공 Bracket 설비
(1) 선로의 곡선반경, 철주의 건식 위치, 지지물의 형식, 가선등을 고려한다.
(2) 하부 Band 취부 위치는 다음표에 의하여 선로와 직각 방향으로 한다.
Bracket의 하부 건식 위치(mm)
형 법 | 상부위치와의 거리 | |
가 고 | 건식 Gauge | |
960mm | 3,000 이하 | 1,000mm |
3,500 이하 | 1,200mm | |
2,100 이하 | 900mm |
바. 철주의 방식
(1) 아연도금
옥외에 사용하는 강재는 용융 아연도금으로 한다.
도금의 적용구분은 다음과 같다.
부착량 (g/m2) | 유산동 시험 회수 | 적 용 구 분 |
350 이상 | 4회 이상 | 볼트, 너트, 와샤류 |
450 이상 | 5회 이상 | 애자금구, 평판형류 |
500 이상 | 5회 이상 | 가선금구, 밴드, 터널금구류 |
550 이상 | 6회 이상 | 철주, Rod, 완철, 물이나 땅에 접하는 강재 |
사. 애자설비
애자는 전기적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다음 기준에 따라 사용한다.
현수애자
전차선 인류 ․․․․․․․․․․․․․․․․․․․250mm
조가선 인류 ․․․․․․․․․․․․․․․․․․․250mm
급전선 인류 ․․․․․․․․․․․․․․․․․․․250mm
급전선 현수 ․․․․․․․․․․․․․․․․․․․180mm
조가선 현수 ․․․․․․․․․․․․․․․․․․․180mm
장 간 애 자 ․․․․․․․․․․․․․․․․․․․467mm
Free Bracket용 ․․․․․․․․․․․․․․․․․ 467mm
앙카링 개소 ․․․․․․․․․․․․․․․․180mm, 102mm
아. 곡선당김장치 및 진동방지장치
(1) 곡선당김 장치
곡선반경 1,600m미만의 곡선로의 Trolly Wire는 다음과 같다.
(가) Pull of Fitting은 일반구간에는 Bowed Type을 사용하며 평행 구간 무효부분에는 Straight Type를 사용한다.
(나) Bowed Type의 지지금구와 궤도중심까지는 1m이상 이격하고 판타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다) Messenger Wire 및 Trolly wire의 무효부분은 곡율에 따라 곡선당김 장치를 사용한다.
(라) 곡선당김 장치의 인지선은 HDCC 38mm2 사용한다.
(2) 전차선의 교차
(가) 교차선장치는 다음에 따라 시설한다.
1) 본선의 Trolly wire를 밑으로 한다.
2) Trolly wire가 교차하는 위치는 교차금구를 사용한다.
3) 교차금구의 길이는 1,200mm를 표준으로 한다.
4) Messenger wire 상호간 및 Trolly wire 상호간은 Connector로 균압한다.
5) 교차부근의 Trolley wire 접속개소는 전차선의 통과에 지장이 없고 상호간 궤도 중심면에서 1m이상 이격한다.
자. Prestretch
(1) Messenger wire 및 Trolley wire는 Prestretch를 한다.
(2) Prestretch를 행하는 경우 장력과 시간은 다음 표에 의한다.
전 선 | 종 별 | 장력 (KG) | 시간(분) |
Messenger Wire | st 90mm2 | 1,600 | 10 |
st 135mm2 | 3,000 | 10 | |
Trolly Wire | Cu 110mm2 | 2,000 | 30 |
Cu 170mm2 | 2,000 | 30 |
차. 장력조정장치의 종별 및 사용구분
장력조정장치는 중추를 이용한 활차식 장력조정장치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스프링 장력조정장치로 하며 보조용 수동조정 장치는 턴버클과 조정용 Strap으로 하고 구간길이별 장력조정장치의 설치개소 및 장력은 다음과 같다.
카. Trolly Wire의 흐름방지
인류구간의 양단에 활차식 자동장력조정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인류구간의 중심점에 전선의 이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한다.
장력조정장치의 종별
구 간 길 이 | 설치개소 | 조 정 장 치 | 장 력 | 비 고 | |
Simple | Double | ||||
800m 이상 | 양 단 | 활 차 식 장력조정장치 | 2Ton | 4Ton | 일괄조정 |
800m 이하 | 일단 (일단정지) | 활 차 식 장력조정장치 | 2Ton | 4Ton | 일괄조정 |
300m 이하 전차선 | 일단 (일단정지) | 스 프 링 조 정 장 치 | 1Ton | 2Ton | 개별조정 |
300m 이하 조가선 | 일단 (일단정지) | 수 동 조 정 장 치 | 1Ton | 2Ton | 개별조정 |
타. 구분장치
전차선로가 전구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전차선로 일부에 단선등의 전기적 고장이 발생할 경우 또는 정전작업의 필요가 생길 경우에는 전구간이 정전되므로 운전이 정지되는 결과가 되므로 급전계통에 의하여 일정한 규정으로 전차선로로 절연 구분하고 고장이나 작업상의 정전시에도 그 영향을 고장구간 또는 작업구간에만 한정 시키고 타구간의 송전은 가능토록 하는 절연체인 F.R.P 제 Section Insulator을 사용하여 유치선군을 구분하고, 검사고입구에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급전계통 별로 구분한다.
구분장치의 종별 및 사용구분
구 분 | 종 별 | 세 목 | 사 용 구 분 | 비 고 |
전기적 구 분 | Air Section |
| 본선구분용 |
|
Section Insulater | 애자(FRP) | 기지 옥외선로와 검사고 및 본선 차량기지 구분용 |
| |
기계적 구 분 | Air Joint |
| 본선 전차선의 기계적 구분 |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
전기적으로 구분장치의 설치위치는 전동차가 상시 정차하지 않는 구역으로 한다.
(1) Air Section
전차선의 급전구간을 구분하기 위하여 기계적, 전기적으로 분리 하여 상호 전차선간 표준간격은 300㎜이고 부득이한 경우 200㎜까지 한다
(2) Air Joint
더블심플카테나리와 심플카테나리 구간에 다음과 같이 시설한다.
(가) 평행부분에 있어서 전차선 상호이격거리는 150mm로 한다.
(나) 평행부분의 양단은 Messenger Wire 상호간 및 Trolly Wire와 Messenger Wire를 일괄 균압한다.
(다) 지지점에서 Trolley Wire 인상높이는 300mm로 한다.
(3) 급전선의 접속
(가) 급전선의 접속은 압축 접속한다.
(나) 급전선의 직선 압축접속의 위치는 지지점에서 2m이상 이격한다.
(다) HAL선의 접속은 2.5이상의 안전율을 가진다.
(4) 급전분기선 및 균압선
(가) 급전분기는 동일 기능선별 250m 이내로 한다.
(나) 급전분기는 200mm2이상 동연선 전선을 사용한다.
(다) 급전분기 장치 접속은 자동장력 조정장치의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구조로 설치한다.
(라) 급전선분기개소는 Connector로 Trolly Wire와 Messenger Wire로 균압한다.
(5) 정․부급전선
(가) 정급전선은 3.3KV급 400mm2을 사용한다.
(나) 부급전선은 IV 500mm2를 사용한다.
(다) 주공장 및 검사고내 케이블 Line 및 단로기를 설치하여 보수 수리가 가능하게 한다.
(라) 부급전선의 시설범위는 변전소의 부급전선 단자에서 임피던스 본드까지로 한다.
(마) 정급전선의 시설 범위는 변전소의 고속도 차단기용 단로기 2차측으로 한다.
(6) 구분 개폐기
(가) 전차선의 급전 및 단전을 위하여 검사고의 선로별 주공장 등 기능별로 시설한다.
(나) 단로기의 개.폐에 따라 급전.단전 표시등을 검사고의 앞과 중앙 그리고 뒷 부분에 설치한다.
(7) 피뢰기 설비
(가) 피뢰기는 500m 간격으로 한다.
(나) 피뢰기는 검사고,변전소의 급전 인출개소, 터널의 입구부 등에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