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선 가선



. 가선순서

전차선을 개신하거나 신설시는 우선 작업차에 전선드럼을 설치할 수 있는 장물차와 작업공구를 정돈할 수 있는 작업차로 편성한다.

(1) 가선순서는 사고 현황에 따라 결정하지만 원칙은 역구내에서는 측선에서 본선순으로 시작한다.

(2) 가선작업은 조가선을 먼저 연선한 다음 전차선 순으로 한다.

(3) 조가선 연선시 장력조정장치 활차 한쪽은 전주에 고정시키고 다른 반대측 활차는 개방한 채로 둔다.

(4) 장력콘크리트 추는 고정측에는 전수량을 올려놓고 다른 반대 개방측은 추 전 수량에 절반만 올려 놓는다.

(5) 조가선을 가선한 다음 2철선으로 가행가를 5m 간격으로 취부한 후 전차선을 가선한다.

 

. 조정

(1) 가선이 끝난후 모든 조정은 다음 순서에 따라 작업을 한다.

(2) 흐름방지장치 및 지선설치

(3) 브래키트 온도변화에 따른 각도조정

(4) 편위와 가고를 조정하여 행가 길이 선정

 

. 행거제작

(1) 지지점 가동브래키트 위치에 조가선과 전차선 가고 960가 되도록 조정한다.

(2) 전차선 높이를 5.0 m로 일정하게 가행거로 전차선을 조가선에 묶는다.

(3) 가행거 길이를 재서 본 행거 길이를 만들어 전차선에 취부한다.

 

. 곡선구간(R구간) 에서의 편위 조정방법(포설시 가설방법)

전주 건식

브라켓트 취부

조가선 포설(브라켓 위 조가선 지지금구에 고정)

전차선 포설(조가선에 5m 단위 가행거 설치 고정)

(1) 전주에 브라켓트 설치

(2) 전주에 장력 조정장치 설치

(3) A길이 및 B점 각도(온도에 맞추어)를 조정한 다음 장력추의 위치를 고정한다.

(4) 조가선의 스트랩과 전차선의 자리를 철선으로 3각형을 만들어 조가선의 연선시의 요크가 경사 되는 것을 방지한다. (요크가 수직되게 철선으로 고정하는 것임)

(5) 조간선을 인류측과 접속한다.

(6) 조가선을 연선하면서 전주위치에서 브라켓트 상부 조가선지지 금구에 올려 놓으면서 장력추측으로 연선을 한다.

(7) 연선이 끝난 조가선을 장력추 요크부와 가접속을 한다.

(8) 전차선을 인류측에 접속한다.

(9) 전차선을 연선하면서 5m마다 가행거로 조가선에 붙들어 놓는다.

(10) 연선이 끝난 전차선을 장력추 요크부(전차선)와 가접속을 한다.

(11) 전차선 편위조정 및 행가취부를 한다.

(12) 장선기를 사용하여 전차선, 조가선의 길이를 조정하여 접속한다.(작업구멍 이용, 장력추 고정을 풀어 선에 장력이 걸리도록 한다.)

(13) 장력추의 높이와 인류부의 길이를 조정 및 확인

 

장애의 원인

장애의 원인을 조사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부실한 작업과 철저한 검사(확인)를 하지 않은 경우

(2) 철저한 작업지시를 하지 않았으며 작업책임자가 작업원을 장악하지 못한 경우

(3) 사용한 공구가 불량하거나 부적당한 경우

(4) 사용재료가 부실하거나 규격품이 아닌 경우

(5) 기술이 미숙한 경우

위와 같이 그 원인을 분류해 보았으나 이 밖에도 다른 원인이 있을 것이다.

장애원인 분석

(1) 책임자의 정신자세, 책임감 및 근무의욕이 허술할 때

(2) 명령계통 및 기강확립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3) 직원의 개성과 소질을 파악치 못하고 부적당한 직무를 맡겼을 때

(4) 직원 상호간의 인화조성이 되지 못하고 상호 협조가 결여되었을 때

(5) 타부서와 서로 협조가 되지 않고 의견이 상반될 때

(6) 직원의 건의를 이유없이 거부하였을 때

(7) 규정을 위반하였을 때

 

사전예방

(1) 순회점검 강화로 취약개소 파악 사전조치 이행

(2) 평상시 직무훈련을 통하여 장애시 빠른 동작으로 익숙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반복훈련

(3) 기동성 있는 복구용 장비의 준비와 점검철저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의 마모(Wear)  (0) 2017.05.18
이선의 종류  (0) 2017.05.18
흐름방지 설비  (0) 2017.05.18
가동브라켓의 설치  (0) 2017.05.18
구분장치의 종별과 사용구분  (0) 2017.05.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