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섹숀)

일반철도 에어섹숀(Air Section)은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1. 평행부분에서 전차선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300[]를 표준으로 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교류에 있어서는 250[], 직류에 있어서는 200[]까지 단축할 수 있다.

2. 구분용 애자의 하단은 본선의 전차선 높이에서 200[] 이상 올린다.

3. 평행부분은 경간 50[m] 이상의 곳에 시설한다. 다만, 50[m] 미만인 경우는 2경간 이상으로 하던가 애자섹숀을 사용해서 전차선의 인상 높이를 저감할 수 있다.

4. 계통이 다른 가압부분 상호는 가동브래키트 등의 이동을 고려하고 제1호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시설한다

5. 평행부분의 동일 급전계통에 속하는 전차선과 조가선의 사이는 상호 균압한다

6. 평행부분에 있어서 양방향의 전차선의 레일면 높이의 등고 부분이 500[] 이상 되도록 시설한다.

7. 무가압 부분의 전차선과 조가선 및 이에 근접하는 가압부분의 조가선도 상호 균압한다.

고속철도 에어섹숀(Air Section)은 다음 각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1. 평행구간의 전선 상호간 0.50[m] 이격거리를 확보하여야 한다.

2. 경간과 편위, 가고는 기본도대로 설치하여야 하며 중심전주의 쌍브래키트개소 전후에서 평행등고구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3. 평행구분개소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절연애자는 양 중간전주에 0.55[m] 상승되는 전차선과 조가선을 지지하는 브래키트로부터 3.0[m] 이격된 위치에 삽입 설치하여야 한다.

4. 평행구간 전주의 평행틀에 설치된 두 브래키트의 간격은 중심전주에는 1.6[m], 양 중간전주에는 1.0[m] 이격되게 설치하되 간격의 허용오차 이내로 한다.

6. 에어섹숀 평행구간의 양 중간전주에는 가압된 전차선과 인류되는 무가압 부분에 균압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7. 중심전주에서 6[m] 이격된 위치에 단로기 단독주를 설치하여 평행개소의 양 전차선 사이에 단로기를 설치하여 필요시 두 전차선간을 급단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8. 에어섹숀구간의 일반개소(직선개소)에는 4경간으로 구성하나, 곡선이 심한 개소나 강풍구간에서는 5경간으로 구성한다.

 

(애자구분장치)

애자구분장치(Section Insulator)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1. 건널선 및 측선에 설치하는 애자구분장치는 본선을 통과하는 열차 팬터그래프에 지장이 없도록 본선 궤도중심으로부터 가급적 멀리 이격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2. 고속철도용 애자구분장치의 설치위치는 전차선 지지점으로부터 4.5[m]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3. 애자구분장치의 팬터그래프 접촉동작부인 슬라이더부와 전차선접속부는 열차통과에 지장이 없도록 수평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애자구분장치는 인류점으로부터 가급적 가까운 곳에(200[m] 이내) 설치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변형되지 않는 구조로 한다.

5. 팬터그래프 통과시 동요가 적고 아크가 완전히 끊어져 아크로 인해 절연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6. 애자섹숀은 합성전차선 또는 전차선의 장력을 자동조정할 경우에 변형되지 않도록 시설한다.

7. 애자구분장치가 설치된 개소에는 구분장치 앞뒤의 전차선과 조가선을 균압선으로 균압하여야 한다.

 

(절연구분장치)

일반철도 전차선로의 절연구분장치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설치하여 한다.

1. 구분장치(Neutral Section)의 길이는 당해선구를 운행하는 전기열차의 속도팬터그래프의 성능 및 설치간격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2. 절연구분장치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 시설한다.

. 절연구간을 갖는 인류구간의 길이는 600[m] 이하로 하며 활차식 자동장력조정장치에 의한 일단 조정을 시행한다.

. 강체구간의 절연구분장치는 에어갭(Air Gap)식 또는 FRP식으로 할 수 있으며 강체는 고정한다.

. 절연구분장치 양단의 전차선과 조가선은 상호 균압한다.

. 절연구분장치구간의 조가선은 팬터그래프 통과로 생기는 아크(Arc)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시설한다.

고속철도 전차선로의 절연구분장치는 다음 각 호에 의하여 설치하여 한다.

1. 절연구분장치는 기본도에 따라 각 경간, 편위, 가고를 정확하고 차질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 절연구분장치는 상이 다른 두 개의 전원 사이에 무가압의 중성구간을 만들기 위해 2중의 에어섹숀으로 구성되며, 에어섹숀의 평행구간을 정확하게 설치하여 두 전원이 완전이 절연 구분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중성구간 양측에 설치된 에어섹숀의 인류주 앞쪽 중간전주 중심에서 절연구간측으로 2.5[m] 이상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합성수지 애자 사이와 또한 두 전원의 에어섹숀개소인 평행구간 조가선(중성구간 측 중간전주 쪽은 전주중심에서 2.5[m], 반대측 즉, 절연구간 끝 쪽의 중간전주의 중심으로부터 1.5[m] 이격된 위치간)은 보호조가선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중성구간측 중간전주의 브래키트에는 보조전차선과 인류되는 전원선의 무가압 부분의 전차선을 서로 균압하고 절연구간 양 끝에 있는 중간전주의 브래키트에서는 본선 전원선의 전차선과 보조전차선의 인류측 무가압구간의 전차선과 균압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에어조인트)

일반철도 전차선로의 에어조인트(Air Joint)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평행부분에서 전차선의 상호간격은 150[]를 표준으로 하며, 부득이한 경우 100[]까지 할 수 있다.

2. 평행부분 양단에서 조가선 상호간전차선 상호간 및 조가선과 전차선간을 일괄 균압한다.

3. 균압선의 리드선은 적당한 여유를 두고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하며 연동연선 100[] 이상으로 한다.

4. 지지점에 있어서 전차선의 인상 높이는 300[]로 하고 접속철물 등은 팬터그래프의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한다.

5. 평행부분의 경간은 40[m] 이상으로 하고 40[m] 미만인 경우는 2경간으로 한다.

6. 평행부분에서는 단독주에 평행틀 설치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복주를 설치할 수 있다.

고속철도 전차선로의 에어조인트(Air Joint)는 다음 각호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1. 에어조인트의 구성은 경간, 편위, 가고 등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설치하여 고속 열차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2. 에어조인트의 평행구간의 두 전차선의 상호 이격거리는 200[]를 유지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3. 평행틀, 브래키트 설치와 가고는 에어섹숀 설비와 같다.

4. 에어조인트개소의 두 전차선이 교차되는 중간전주의 브래키트에는 균압설비를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비상용섹숀)

비상용섹숀은 재해 또는 사고시에 합성전차선을 전기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예상되는 곳에 설치한다.

정거장간의 비상용섹숀은 부스타섹숀(Booster Section) 또는 에어섹숀(Air Section)에 준하여 시설한다.

정거장구내의 비상용섹숀은 애자섹숀(Section Insulator)에 준하여 시설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로 편위 결정요소  (0) 2017.06.28
급전방식 비교  (0) 2017.06.22
전차선 및 조가선의 표준장력  (0) 2017.05.25
인류구간과 장력구간  (0) 2017.05.25
곡선당김장치  (0) 2017.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