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설비의 고장율과 전력설비의 수명과의 관계

 

1. 신설전력 설비

1) 고장전류 계산, 전력조류 계산, 고조파 분석, 대형전동기 기동검토 등을 반복

가장 합리적인 계통 구성 및 각 기기의 정격 용량을 결정, 가장 합리적인 설계

2) 전력 계통분석 프로그램의 개발로 문제점을 사전에 최소화

 

2. 기준설비

1) 설비의 사고 잠재요인을 사전에 발견하여 제거하고 만약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파급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사전에 전기 설비의 상태를 진단, 분석하여 가장 합리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

2) 합선 진단장비 개발, 정확한 판단 및 분석을 통하여 미연에 사고를 방지. 고품질 전력 사용과 설비의 효율적인 관리

 

3. 전력기기 고장율 패턴

1) 초기 고장시기

외부적인 환경에 어울리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 또는 설계, 제작의 잘못

2) 우발 고장시기

고장율이 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기간 계속, 조작 잘못 등 우발적인 고장에 의해서 발생

3) 마모/열화 고장시기

구성품의 열화나 마모 등에 의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고장율이 증가

 

4. 전력설비의 열화 요인

1) 전선, 케이블, 애자 및 기기 등은 그 사용 환경, 사용조건 또는 사용회로에 생기는 당락, 지락 등에 의한 영향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열화가 진행되어 사고의 원인

2) 환경적 요인

먼지, 오손, 염분, 습기, 고온, 부식, 자외선, 그리브 경화, 절연물 변질, 금속부식(접촉불량)

3) 전기적 요인

외뢰, 내뢰에 의한 써지 전압과 과전압에 의한 요인과 과전류 개폐(아크) 등에 의한 요인

4) 열적 요인

과부하, 단락, 고조파, 히트사이클(팽창, 수축, 변형) 등에 의한 요인

5) 기계적 요인

동작의 반복, 외부응력, 진동, 충격, 과전류, 단락(균열파손, 마모)에 의한 요인

6) 화학적 요인

절연저하, 부분방전 등에 의한 요인

7) 기타 요인

외상, 조류의 침입 등에 의한 요인과 설계, 제작, 시공 및 보수 용량 등에 의한 요인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차량의 전기제동  (0) 2017.07.05
동축케이블의 급전방식 장단점  (0) 2017.07.05
스콧트 결선 변압기  (0) 2017.07.05
경량전철 유도급전 방식  (0) 2017.07.04
진상용 콘덴서  (0) 2017.07.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