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전지의 종류 및 특성
1. 종류
1) 연축전지
가. 내부 구조상 분류
① 클래드식 ② 페이트로식 ③ 고율방전용 페이트로식
나. 외부 구조상 분류
밴드형, 시일형 등
방전용은 일반적으로 10시간 방전율
비상용 조명장치 등에 쓰이는 고율방전용 페이스트식 연축전지는 5시간 방전 Cell당 2V 기준
2) 알카리 축전지
가. 내부구조상 분류
포켙식, 소겔식
나. 외부 구조상 분류
밴드형, 시일1종, 2종
방전용은 5시간 율인데 연축전지 보다 급방전에 적합하다.
수명은 연축전지 보다 길어 약12~15시간 정도 Cell당 1.2V
2. Battery의 특징
1) 밧데리응 독립전원
어떠한 곳에서도 안정된 전원으로 사용
전기기차, 선박, 비행기 등, 광범위 하게 운용
2) 가동전원으로 사용가능
3) 상용 무정전 전원으로 사용
4) 통신용, 제어용 전원에 최적
5) 안전하고 소음이 없는 전원
6) 재충전이 가능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7) 유지보수, 점검이 간편, 간단한 구조로 고장이 거의 없고 견고하다.
3. 설페이션 현상과 원인
자기방전이란 배터리에 축적된 화학적 에너지가 자연히 소멸되는 것
전기부하를 걸지 않았는데로 방전되는 것
1) 전해액 중의 불순 금속에 의해 국부전지가 구성
2) 배터리의 표면에 전기회로가 생기는 결과 누설전류가 흐른다.
3) 양극간의 단락에 의한 것이 가장 자기 방전이 심하고 충전해도 곧바로 방전되는 것
4) 가장 주의해야 할점
①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자기방전에 의한 과방전이 일어난다.
② 설페이션이란 – 방전상태 그대로 방치해 두면 극간표면에 백색 결정이 발생하며 이럴 경우 부도체 설비 황산납으로 되며 이와같은 현상을 황화현상이라고도 한다.
③ 충전을 시켜도 극판은 우너래 과산화납 및 해면상납으로 되지않게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호계전기 (0) | 2017.07.14 |
---|---|
계기용 변압기(PT)의 종류 및 변압기 여자돌입 발생원인과 미치는 영향 (0) | 2017.07.10 |
고장전류의 종류별 특징 (0) | 2017.07.07 |
비접지 전로의 지락보호에 사용하는 선택지락 방향계전기의 동작원리 (0) | 2017.07.06 |
접지계의 위험 전압 (0) | 2017.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