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구조물
1. 지지물
1) 전철주
① 콘크리트주
프리텐션 콘크리트주 _ 모멘트가 크므로 취급, 운반, 건식 중에 균열 되는 것이 적으며 수평주에 대하여 전주의 구부려짐이 적은 이점이 있다.
전주의 형상에 의한 구분 : T형, N형
전주의 사용목적에 의한 구분
A형 : 보통 빔식, 브래킷식 등에서 사용
곡선로나 전선의 인류개소에 사용 – 지선취부
B, C형 : 트러스식 등의 라멘 구조 개소에서 사용
곡선로에서 지름 30cm 미만을 사용 – 지선 취부
D형 : 스팬선식, 보통빔식, 브래킷식 등에서 사용
충분한 강도, 지선을 취부하지 않는다.
E형 : 브래킷식 등에서 전주 앞 부분에 A형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사용
좌판식 콘크리트 전주
특수 형상의 콘크리트주로서 고가교 등
2) 철주
전선의 수평장력이나 빔의 중량이 큰개소, 기타 풍압에 따라 강도가 약한개소, 선로와 선로 사이가 협소하여 건축한계에 지장을 주는 장소, 교량, 난간 등에 건식
① 조합철주
② 강관주
③ H형강주
3) 목주
2. 전철주 건식
1) 전철주의 경간
전차선을 지지하는 인접 전철주간 중심간격 거리를 경간이라 한다.
① 표준경간
곡선반지름(R) | 경간 |
R=1,000(m)이상 | 50(m) |
R=500(m)이상 | 40(m) |
R=300(m)이상 | 30(m) |
R=200(m)이상 | 20(m) |
② 경간조정
기울기에 대하여 집전장치가 집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차선에 발생한 기율기의 요소
㉠ 풍압에 의한 기울기
㉡ 곡선로에 의한 기울기
㉢ 지지물의 변형에 의한 기울기
㉣ 차량동요에 의한 집전장치의 기울기
㉤ 온도변화에 의한 가동브래킷의 회전 기울기 등
곡선로의 경우 전차선의 기울기
㉠ 지지물의 굽힘에 따른 기울기
㉡ 차량동요에 따른 집전장치 기울기
㉢ 온도 변화에 따른 가동브래킷 회전에 따른 기울기
3. 특수기초
1) 앵커볼트 기초
2) 우물통 기초
3) 푸싱 기초
4) 중력형 플롯기초
5) Z형 기초
6) 투입식 기초
7) H주기초
8) 항기초 – 항타에 따라서 재내력을 보강하는 특수기초
지지항 : 연약한 토종을 다져서 하부를 견고한 지반으로 만들어 하중을 모은 것
마찰항 : 흙과 항주간의 미찰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것
압축항 : 연약한 모래 등을 항으로 압축해서 지지력을 증가 시키는 것
4. 철주 다리의 구조
1) 직매입
철주 본체를 그대로 기초 콘크리트에 매입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
2) 근계매입
주체를 기초부와 상부에 부결하여 기초부 완료후 자재부분에 상부주체를 볼트로 체결해서 접속하는 방식
3) 앵커볼트 매입
기초콘크리트 또는 교량구조물에 기초 볼트를 매입해 넣고 철주를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
4) 핀구조
철주다리 부분의 회전 가능 하도록 만들어진 특수기초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0) | 2017.07.12 |
---|---|
안전 및 보호 구조물 (0) | 2017.07.12 |
힘의 합성과 분해 (0) | 2017.07.11 |
전차선로 절연구간 자동통과 장치 (0) | 2017.07.10 |
GIS 특징과 유지보수에 대한 일반적인 성능 (0) | 2017.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