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 관련 시스템
철도 – 정해진 선로 위에서 종합적인 시스템에 따라 대량 수송이 가능하도록 되어잔 교통수단.
전기차의 특성 – 선로의 구배, 곡선 상태에 따라 변동. 선로는 특히 전차선의 귀선으로 이용.
전차선로의 가선과 편위에 중요한 영향.
전기차의 운행속도, 운행시격, 운행 회수 등의 열차 운전 특성에 의하여 전기 공급 설비의 용량을 결정하는 등 전기철도 방식의 선정과 운용 등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영향
1. 선로
열차를 운전하기 위한 수송로로서 궤도와 궤도를 지지하는 노반 및 각종 선로 구조물을 총칭. 외측 레일을 내측 레일 보다 높게 부설 – 캔트
1) 궤도
레일과 그 부속품
① 레일 : 차량을 지지하고 차량의 운행을 유도 고탄소 강으로 제작.
30(kg), 37(kg), 50(kg), 60(kg)
한국철도는 25(m) 길이의 정격 레일을 주로 사용
레일 여러개를 용접하여 200(m) 이상되는 장대레일
② 침목 : 레일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고 차량으로부터 하중을 받아 도상에 전달.
목침목, PC침목
PC침목 : 탄성체결, 보수 비용이 절감. 장대레일 부설이 쉽다.
무게가 무거워 취급이 어렵고 도상을 보수할 때 파괴 되기 쉬우며 전기절연이 목침목에 비해 떨어 진다.
③ 도상 : 레일, 침목을 경유하여 전달된 하중을 넓게 분포시켜 노반에 전달
승차감을 좋게, 빗물 배수를 용이하게, 잔디가 자라는 것을 막는 역할 – 자갈도상
콘크리트 도상 – 도상의 진동과 차량의 동요가 적은 장점.
충격이 크고 소음도 자갈도상에 비해 크다.
건설비가 높고, 레일의 파상마모, 레일 이음개소 손상의 우려, 침목강관, 도상 파손시 보수의 어려움
2. 노반
궤도 하부에서 궤도를 지지하는 흙 구조물.
적당한 배수설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