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시설물 유지보수비 산출방식
1. 유지보수(보전)비 산출
•전력시설물 운용중에 소요되는 유지보수비를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얼마나 합리적인 방법으로 산출하느냐가 중요
•시설물의 보전계획에 따라 소요비용이 달라지므로 보전계획을 수립하여 예상되는 비용 산출
2. 전력시설물 보전방법
•전력시설물이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안전한 것이 되도록 보전작업을 실시
1)보전 구분
구 분 | 내 용 |
사후보전 | •고장이 발생하여 보전작업이 필요하게 될 때 시행 (우발고장보수, 소모품교체, 노후작동 중지된 것 교체) |
예방보전 | •시설물의 성능저하 노후도를 점검하여 고장발생 전에 미리 부품을 교체 |
개량보전 | •시설물의 성능, 안전도를 높이거나 유지보수 자유화를 위하여 설비를 개량 |
2) 보전 실시
•사후보전, 예방보전, 개량보전을 적절하게 실시하여 보전의 효과와 경제성을 추구
•사후보전만을 하면 설비의 고장이 자주 생길 것이며 예방보전만을 하면 비용이 엄청나게 소요되므로 정거장이용, 차량운행에 지장이 별로 없는 것은 사후 보전을 하고 지장이 있는 것은 예방보전, 개량보전을 실시
3. 보전계획
1) 전기설비의 내용수명
•전기설비의 내용수명은 대체적으로 사용조건에 관련된 열화특성에 따라 수명이 결정
•보통 변압기는 정상사용조건에서 절연물의 열화특성상 30년 정도를 수명으로 보고 진공차단기는 정격차단전류를 5회 차단하면 점검이 필요
•정격전류는 5,000회, 기계적개폐는 50,000회를 수명으로 보고있으며, 형광등은 4,000시간, 보조계전기, 배선기구 등은 10년정도, 전선 및 케이블은 최소 30년 이상의 수명 보유
•뚜렷하게 전기설비의 수명을 정할 수는 없으나 전기설비의 수명을 15년으로 보고 이 기간 동안의 보전계획을 수립
2) 보전계획
① 점검 및 보전비 지출계획
1) 점검비용
점검구분 | 내 용 |
일상점검 임시점검 | •자체보유 유지보수 인력으로 실시, 별도비용 없음 •기 간 : 전체기간 |
정기점검 (전기사업법상 기준충족조건) | •기간 : 처음부터 20년간 •예상비용 : 1회당 3,000만원 •점검주기 : 3년 •점검기관 : 한국전기 안전공사, 설비별 점검 전문기관 또는 용역업체 |
특 별 정밀점검 | •기간 : 21년째부터 30년까지 •예상비용 : 1회당 5,000만원 •점검주기 : 2년 •점검기관 : 한국전기 안전공사, 설비별 점검 전문기관 또는 용역업체 |
2) 각종 보전비용
보전구분 | 내 용 |
사후보전 | •사후보전비는 우발고장복구 단수명 부품 소모품 등으로서 전체기간동안 매년 일정하게 소요된다고 봐도 될 것이며 자체 보유 유지보수 인력으로 실시 •예상비용 : 설비별 자재비의 0.2% |
예방보전 및 개량보전 | •예방보전비는 설비의 마모, 열화정도에 따라서 지출되므로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늘어 날 것이므로 초기 5년은 지출이 없을 것으로 보고 6년 뒤부터 5년 단위로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 •교체작업에 외부인력 필요 •예상비용 - 사용 6년째~10년 : 설비별 자재비, 인건비의 0.5% - 사용 11년째~15년 : 설비별 자재비, 인건비의 0.6% - 사용 16년째~20년 : 설비별 자재비, 인건비의 0.8% - 사용 21년째~25년 : 설비별 자재비, 인건비의 12% - 사용 26년째~30년 : 설비별 자재비, 인건비의 15% |
4. 유지보수장비목록
장 비 명 | 규 격 | 대 수 | 배치계획 |
인접접지 연결케이블 | 5m DC PNL용 | 4 | 분 소 별 |
차단기 인출대가 | VCB 및 HSCB용 | 13 | 변전소, 전기실 |
계전기 시험기 |
| 1 | 전 기 계 |
절연저항측정기 | 500V, 100MΩ | 1 | 전 기 계 |
절연저항측정기 | 1000V, 2000MΩ | 1 | 전 기 계 |
혹크온 메타 |
| 2 | 분 소 별 |
특고압 검전기 |
| 2 | 분 소 별 |
저압 검전기 |
| 2 | 분 소 별 |
멀티 테스터 |
| 2 | 분 소 별 |
절연고무장갑 |
| 6 | 분 소 별 |
접지저항측정기 |
| 1 | 전 기 계 |
절연내력시험기 | 10kV | 1 | 전 기 계 |
특고압 조작봉 |
| 13 | 변전소, 전기실 |
특고압 접지용구 |
| 2 | 분 소 별 |
절 연 강 화 |
| 6 | 분 소 별 |
절연 안전모 |
| 6 | 분 소 별 |
공 구 세 트 |
| 4 | 분 소 별 |
Portable Power Factor Meter |
| 2 | 분 소 별 |
Diode Fault Detector |
| 2 | 분 소 별 |
DC Recording Voltmeter | DC 0~200V | 2 | 분 소 별 |
DC Recording Ammeter | -5kA~5kA | 2 | 분 소 별 |
Voltage Detector for DC | 0~11kV | 2 | 분 소 별 |
Voltage Detector for DC | 6kV~300kV | 2 | 분 소 별 |
Decible Meter | 30~130dB | 2 | 분 소 별 |
Pase Rotator | Portable | 2 | 분 소 별 |
Lux Meter | 0~100Lx | 2 | 분 소 별 |
케이블 고장점 탐지기 |
| 1 | 전 기 계 |
케이블 Fault Locator | Portable | 1 | 전 기 계 |
표면 온도계 |
| 2 | 분 소 별 |
•계전기 시험기, 가선전압계, 절연내력 시험기 등은 5년마다 제품가격의 10% 정도의 비용으로 수리하여 계속 사용
•기타 장비들은 5년 주기로 재구매
'법 질의회시(유권해석) > 공사관련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소음․진동의 규제기준 (0) | 2017.07.27 |
---|---|
품질 관리 계획 (0) | 2017.07.19 |
특고압 배전반 주요자재 사양 (0) | 2017.07.19 |
민간투자 사업 시행방식인 BTO, BOY, BTL방식 (0) | 2017.07.04 |
터널공사 용어의 정의 (0) | 2017.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