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감리 공통사항


. 배 관

설계도에서의 배관은

- 천장 및 벽매입 배관 실 선 ( -------- )

- 바닥매입 배관 사슬선 ( -- -- -- )

- 노출배관 점 선 ( -------- )  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그러나 시공단계에서는 똑같은 천장배관이라도

- 콘크리트 슬라브내에 은폐하는 부분

- 이중천장내에 은폐하는 부분

- 천장에 노출하는 부분

등으로 구분된다. 시공도에서는 콘크리트 슬라브 매입배관에서 이중천장내 은폐배관으로 어느 위치에서 이행되는지를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시공도에서는 배관의 포설장소, 종류, 용도, 주변상황에 따라 다른 시공방법을 시공시기적인 것을 포함

해서 시공관계자들이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각각 도면기호를 정해서 표시하고 있다.

기본적인 도면기호는 KS에 정해져 있는데 KS만 가지고는 시공관계자에게 도면작성자의 의도를 명확하게 알리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래서 시공도에서는 구체적인 도면기호를 정해서 기입하고 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슬라브에서 이중천장내 은폐배관으로 이행하는 경우는 슬라브에서 나온 돌출부분을 ( )

같은 두꺼운 실선에서 가는 실선으로 바꾸어 표시하고 있다. 도면과 실제의 배관과의 관계는 케이블 배선의 보호관으로 전선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표기방식도 마찬가지이다.

배관이 슬라브에서 이중천장으로 이행되는 위치는 건축도면과 다른설비의 도면을 상세하게 검토해서 시공도에 명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관을 돌출한 위치에 공조덕트가 있으면 배관접속 작업이나 케이블 입선작업에 지장을 초래해 새로운 배관이 필요해지는등 많은 재료와 노동의 손실을 입게 된다.

또한 전선관에는 재료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므로 사용할 전선관을 도면기호나 주기(注記)등으로 도면에 명시해야 한다. 전선관 종류의 문자기호에 대한 예


문 자 기 호

적 요

E(19)E(25)E(31)……

나사없는 전선관

(16) (22) (28)……

두꺼운 강제 전선관(후강) (( )내 숫자사이즈가 짝수)

VE(16)VE(22)VE(28)……

경질비닐 전선관

CD(16)CD(22)CD(28)……

CD

합성수지제 가요관

 

PF1(16)PF(22)PF(28)……

 



*얇은 강철 전선관(박강)은 우리나라에서 이미 생산중단 되었고, 사용되지 않고 있음.

 

배관의 설계도를 검토할 때에 특히 주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안이하게 설계도대로 따르지 말고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해서 검토한다.

(2) 매입, 은폐, 노출과 같은 시공방법을 선택할 때에는 배관의 용도, 주변상황, 시공시기 등 을 고려해서

검토한다.

(3) 배관의 경로, 시작, 마무리 장소에 대한 부분을 명확히 검토

(4) 배관이 굽어진 부분을 허용치내로 억제한다.

(5) 콘크리트 슬라브의 매입배관에서는 배관의 교차 및 기둥내의 배관을 절대로 피한다.

(6) 후속 공정인 입선(入線) 작업을 고려한다.

(7) 다른 도면으로 이어지는 배관은 그 위치를 검토한다.


. 배 선

전선 및 케이블류의 배선시공방법에는 전선을 전선관에 넣는 방법, 케이블을 전선관에 넣어 전선관을 보호관으로 사용하는 방법, 또한 오늘날 현대화 및 경제적 공법으로 정착해서 각종 설비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케이블 배선, 그리고 새로 인정된 평형보호층 배선(이하. 통신과 정보설비를 포함해서 언더카펫 배선이나

언더카펫 시스템으로 한다)등이 있다.

(1) 전선관내의 전선 및 케이블 배선

전선관내의 전선 및 케이블 배선은 배선수가 비교적 가느다란 전선인 경우에 배관을 나타내는 실선, 1

사슬선, 점선 등 오른쪽이 올라간 사선 (------)을 기입하고 전선 및 케이블 수를 사선수로 표시한다.

사선을 그리는 방법은 원칙적으로 회로단위로 한다. 그리고 옆에 전선과 케이블의 종류별, 사이즈, 회로수

등을 기입한다.

(직경 16의 후강(厚鋼) 전선관에 1.6의 비닐전선을 2개입선)

(직경 22의 후강(厚鋼) 전선관에 2.0의 비닐전선을 4개입선)

(직경 16의 후강(厚鋼) 전선관에 VVF 케이블 1.6-2C 1개입선)

그러나 실제로 설계도를 작성할 때에 모든 숫자를 기입하는 것은 도면이 복잡해지고 그리는데 시간도 많이 걸린다. 그래서 표준화를 이루기 위해 사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배관배선은 도면기호를 정해서 각각 기입을

생략하고 있다.

배선수가 많아지는 경우나 두꺼운 전선을 배관에 나타내는 선에서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사선을 기입해서

옆에 전선종류별, 굵기, 수량 등을 기입하고 있다.

(직경 28의 후강(厚鋼) 전선관에 1.6의 비닐전선을 10개입선)

(직경 42의 후강(厚鋼) 전선관에 60의 비닐전선을 3개입선)


(2) 케이블 배선

케이블 배선은 보통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도 전선관내 배선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것은 종류별, 굵기, 수량을 도면 기호화 해서 표준화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3) 언더카펫(배선) 시스템

카펫과 바닥사이에 포설되며 전력, 전화, 데이터배선 등에 사용되는 언더카펫(배선) 시스템은 전력설비

관계가 (KS)화됨에 따라 오늘날 OA기기의 배선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력용 본체 케이블의 사용전압은 대지전압 150V 이하로 300V20A, 30A의 두 종류, 도체수는 도체의 세 종류로 제조되고 있으며 케이블 보호층, 전원접속부, 분기접속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언더카펫(배선) 시스템의 설계도를 작성하는 경우에 도면기호는 현재의 시점에서 규격화되지는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설계도서를 검토할때 특히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케이블 배선은 통로부분과 중량물의 하부를 반드시 피하고 타일카펫 중심에 직선상 으로 배선되어

있는가. 또한 앞으로 변경이나 증설을 고려한 배선경로를 선정했는가.

전력케이블과 전화, 데이터 케이블은 교차부분을 제외하고 거리간격을 10이상 확 보되어 있는가.

케이블 곡선은 콘센트나 벽면에서 300이상 끌어 냈는가.

전원박스의 위치는 효율적인 배선과 보수에 적합한 위치를 충분히 검토해서 결정했 는가.

전원박스 및 단자박스 등에서 나온 인출은 벽면과 직각방향으로 했는가.

전원박스, 단자박스, 콘센트, 단말기용 박스의 위치 및 배선루트는 확실하게 표시했 는가.


. 박스류

박스에는 인출박스·콘크리트박스·스위치박스·풀박스(인입함) 등이 있다. 각각 대형·중형·얕은형·깊은형 등으로

구분되며 그 외에 많은 종류가 있다.

설계도에는 수많은 박스중에서 용도·사용장소·배관수·수용전선·케이블 종류·수량 등을 고려해서 적절한

박스를 설정해 시공자에게 전달해야 한다.

설계도에 표시하는 방식은 배관이나 배선과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것은 도면 기호화하고 특수한 경우만

종류나 크기 등을 병기한다.

인출·콘크리트·스위치의 각 박스와 긴밀하게 관련있는 박스커버도 필요에 따라 유무·형상·크기 등을 설계도에

명시한다. 특히 콘크리트의 타설 마무리면의 박스커버는 박스에 장치한 채 매입시공하므로 설치할 기기에 따라 박스커버를 종류별로 명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반류(盤類)

반류(盤類)의 설치방법에는 그림 5에서처럼 자립형·벽걸이형(매입·반매입·노출)등이 있다.

설치방법에 따라 반에 접속하는 배관위치가 바뀌거나 안쪽박스(반매입의 일부 및 노출형 으로 접속하는

배관은 은폐할 때에 배관을 받기위한 의 안측에 설치하는 박스로 전선류를 반내로 꺼내는데 필요)의 유무를

검토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반 조건을 고려해서 설치방법을 결정하고 도면에 시설방법의 종류별·크기·설치높이

등을 병기한다. 평면도만 가지고 정확하게 표시하기 힘들 때에는 확대도·단면도·정면도·측면도 등 적절한

상세도를 작성한다.


반류(盤類) 시공도 기입사항


반 종 류

기 입 사 항

자 립 형

설치위치, 크기, 기초, 기초내 박스

내진용 진동멈춤

벽걸이형

매입

반매입

콘크리트벽

부착위치, 임시틀의 위치와 치수

경량벽

설치위치와 높이받침, 금속물의 종류와 높이

안쪽 박스(반매입)

노출

콘크리트벽

설치위치와 높이, 안쪽 박스

경량벽

설치위치와 높이, 받침금속물의 종류와 높이

안쪽박스



. 관통(貫通)

배관·케이블 랙·금속덕트·버스덕트 등이 벽이나 바닥을 관통하는 부분은 공정의 진척에 따른 처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 콘크리트 타설전의 임시틀이나 금속틀의 설치

                            ↓

- 마무리 공사전의 임시틀 철거와 금속틀의 설치(임시틀 시공인 경우)

                            ↓

- 케이블류의 배선

                            ↓

- 관통부분의 마무리 처리 가 된다.

따라서 설계도는 완성된 모습을 머리속에 그리며 초기단계에서 최종단계까지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작업이 가

능하도록 시공관계자에게 자신의 의도를 전해야 한다.

관통부분은 그 대부분이 설비의 동맥에 해당되는 것을 포설하므로 시공도중에 위치를 바꾸면 막대한 손실을

입게된다. 또한 건축구조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른 시공업자에게도 불편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설계도 및 건축구조상 문제점을 검토하고 다른 시공업자와의 연관성에 신중을 기해서 관통부분이나 크

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잘 검토해야 한다.

또한 관통장소가 방화구획등 법규상의 제약이 없는지 있으면 어느 방화구획 지정공법에 의해 시공할 것인지를

검토해서 마감 시공에 대한 방법을 결정하도록 한다.

또한 전력과 전화의 인입배관 등 외벽을 관통하는 배선은 특히 건물측에 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방수에 충분한

주의를 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관통장소의 시공방법이 잘되어 있는지 충분히 검토해 설계도에 표시하도록 한다.


. 표준도의 활용

공통사항으로 앞에서 기술한 각 항에 각각 서술했는데 설계도를 검토할때 시공에 필요한 사항을 상세하게 작

성되어 있는지 관심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완성된 도면도 너무 자세하면 오히려 보기 힘든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시공에 필요한 공통사항 예를들면,

- 조명기구 기기의 설치방법

- 동력반이나 분전반을 지지하는 방법

- 방화구획의 관통처리방법

- 배관과 케이블트레이를 지지하는 방법

- 콘센트나 스위치의 설치위치

- 인출박스의 선정기준

등을 표준도로서 별도로 작성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전기표준도를 활용함으로서 도면작성상의 합리화뿐 아니라 시공품질의 균일화와 시공관계자에게 정확한 지시와 전달을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건물의 전기설비에 대한 내용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모두 고도화·현대화·복잡화 되어가는 요즈음 전기표준도를 충실히 작성해서 설계도를 보다 알아보기 쉽게 함으로서 시공을 잘 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