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설비


(1) 개 요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동력설비는 역사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기를 구동원으로 하는 기계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및 보호장치와 또한 그것을 감시, 제어하는 설비를 동력설비라 한다.


(2) 동력설비의 종류

() 환기설비

() 냉동기 및 부대설비

()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등 편의설비

() 오수 및 배수펌프설비

() 급수펌프(소화전설비 포함)설비

() 기타 동력부하 등이다.


(3) 동력제어반(MCC)의 위치 선정

() 부하의 중심 위치

() 통풍이 잘 되고,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

() 자연광선 또는 일반조명 상태에서 조작 및 점검 등이 용이한 장소

() 점검이나 문의 개폐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는 장소

() 옥외에 설치할 경우 눈비 등을 직접 맞지 않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4) 동력설비의 시설기준

() 전동기의 기동방법

1) 기동방법

) 정격출력 19[kW] 미만은 직입 기동방식으로 한다.

) 정격출력 19[kW] 이상은 Y-기동방식으로 한다.

) 정격출력 90[kW]초과의 고압전동기는 고압기동장치로 운전되도록 한다.

) 변전실 환기설비용 전동기는 인버터 기동방식으로 하였다

 

() 역률개선

역률개선용 콘덴서는 모선측에 집합 설치방식과 개별 부하측에 설치하는 방식이 있으나, MCC(기동기반)의 각 부하측 단자에 개별로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전원 모선측에 집합 설치하는 방식보다 전력손실 및 간선 굵기 등을 줄여 경제적인 시설이 되도록 하며, 부설설비는 역률을 90[%]이상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1) 콘덴서 용량 산출 계산식

 


() 입력부하의 산정 및 간선의 구성

각 전동기의 입력 부하를 정하는 데에는 역률 및 효율을 전동기 형식별로 파악(KSC4202, 4203)하여 환산하는 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내선규정 305-1의 규약전류(별첨부록 참조)를 기준으로 적용한다.


1) MCC - 전동기간 케이블

전동기에 흐르는 분기회로 전선의 굵기는 전압강하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선정한다.

) 1대의 전동기에서 전동기의 정격전류가 50[A]이하인 경우는 그 정격전류의 1.25배 이상의 허용전류가 있는 것을, 또 전동기의 정격전류가 50A를 초과하는 경우는 그 정격전류의 1.1배 이상의 허용전류가 있는 것을 사용한다.

) 전동기의 전류치는 규약전류에 준하여 선정한다

(별첨부록의 전동기의 규약전류치 기준 적용)

) 전선 굵기의 선정에 있어서 전압강하에 의한 전선의 산출 단면적과 허용전류에 의한 전선의 산출 단면적 중 큰 값을 적용한다.

 

   

 

MCC의 형식 및 규격

동력제어반(MCC)의 형태는 폐쇄 자립 개별 유니트 인출형을 원칙으로 설치 하지만 오수펌프실 등 전동기의 수가 적은 장소는 벽부형으로 설치하여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개별 유니트의 크기는 직입 및 Y-기동방식의 경우, 보통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다음과 같다.

1) 비가역형

직입기동 (0.27.5kW 이하) : 200[mm]

직입기동 (7.5kW) : 300[mm]

Y-기동 (1115kW 이하) : 300[mm]

Y-기동 (18.530kW 이하) : 400[mm]

Y-기동 (3775kW 이하) : 600[mm]

Y-기동 (90kW 이하) : 1000[mm]

2) 가역형

직입기동 (0.25.5kW) : 300[mm]

직입기동 (7.5kW) : 500[mm]

Y -기동 (1115kW 이하) : 500[mm]

Y -기동 (18.530kW 이하) : 600[mm]

Y -기동 (3775kW 이하) : 800[mm]

Y -기동 (90kW 이하) : 1200[mm]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명 설비  (0) 2017.08.14
배선전선의 종류  (0) 2017.07.28
조명설비 기초  (0) 2017.07.28
램프의 종류  (0) 2017.07.28
평균조도 구하는 방법  (0) 2017.07.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