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동브래킷의 설계와 시설

 

가동브래킷의 시설은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1) 가동브래킷은 설치금구로 전주하수강 등에 취부한다.  

(2) 가동브래킷은 설계속도, 전차선로의 가고와 노반의 지형, 하중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 유지보수를 감안하여 일관되게 설계한다.  

(3) 열차운행으로 발생하는 동적 압상 및 진동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설계한다.  

(4) 지지물에서 가동브래킷의 설치위치는 온도변화와 장력변화를 고려, 계산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5) 평행구간에는 가동 브래킷을 평행틀에 설치한다. 다만, 곡선개소 등 평행틀에 불평형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는 2본의 전주(복주 방식)로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강체가선방식에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6) 터널 시종단에 설치하는 브래킷은 터널시종점으로부터 5미터 이내의 위치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하되 선로 현장여건 및 경간 등을 감안하여 조정할 수 있다.  

(7) 구름다리 앞뒤와 터널 입출구 등과 같은 개소에 사용하는 애자는 이물질 낙하 등으로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설계하여야 한다.

 

 

 

2. 하수강의 설계

 

하수강의 설계는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1) 하수강은 H, 강관형 등을 사용하며, 터널 및 선상역사, 문형지지물 구간, 교량하부 등 전차선로 상부에 지지물을 취부하여 가선하는 경우에 적용한다.  

(2) 하수강의 길이는 노반의 지형과 브래키트의 규격, 전차선로의 가선방식, 구조물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3) 하수강의 설계시 구조계산을 통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검증하여야 한다.  

(4) 터널의 하수강은 C찬넬 또는 매입전을 이용하여 취부 하도록 설계한다.  

(5) 강관형 하수강의 설계시 가동브래킷용 밴드는 상, 하선 합성전차선로 높이 등을 고려하여 분리 체결 한다.

(null)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전 표지류  (0) 2017.08.28
균압장치의 종별과 사용구분  (0) 2017.08.28
전차선로 설비의 표준화  (0) 2017.08.25
건넘선 장치  (0) 2017.08.25
전차선로 안전설비  (0) 2017.08.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