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DA SYMBOL 표준
1. 목 적
SCADA 시스템은 연산 및 처리를 담당하는 주컴퓨터 부분과, 감시제어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출 및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HMI부분으로 구성된 아키텍쳐 (Architecture)를 가진다. 사용자와 기계간의 인터페이스를 목적으로 하는 HMI의 핵심 부분으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대부분 채택하고 있으며 GUI의 구성은 시스템의 효율성 및 사용자의 업무 처리 성과와도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최근의 SCADA 시스템은 감시, 제어, 계측 외에도 계통에 대한 해석 및 UX(User eXperience)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그래픽 기능의 추가를 요구하는 추세로 발전해 나아가고 있으며 그래픽을 통한 인터페이스의 강화로 모든 기능들이 집중되고 있는 현실이며 이에 따라 철도 원격감시제어 업무의 효율화를 목적으로 SCADA SYMBOL의 표준을 정의한다.
2. 용어정의
(1) HOST : 복수의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시스템 전체의 통제를 행하는 컴퓨터
(2) HMI : Human Machine Interface
(3) GUI : Graphic User Interface
(4) 아키텍쳐(Architecture) : 프로세스와 전체적인 구조나 논리적 요소들 그리고 컴퓨터와 운영체계, 네트워크 및 기타 다른 개념들 간의 논리적 상호관계 등을 생각해내고 정의에 적용되는 용어
(5) SCADA :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6) UX : User eXperience, 사람이 제품 또는 시스템에 대하여 가지는 감성 및 느낌
(7) Symbol : 사물을 전달하는 매개적 작용을 하는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8) RTU : Remote Terminal Unit
(9) CU : Communication Unit
(10) IED :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11) LCD : Liquid Crystal Display
(12) Cache Memory : CPU 내에 있는 고속으로 액세스가 가능한 기억장치
(13) IEEE 802.3 : 이더넷(Ethernet) Lan에 대하여 규정한 국체 표준
(14) Raid :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15) UNIX : 워크스테이션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운영체제
(16) Windows :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개인용 컴퓨터에 사용되는 운영체제
(17) 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18) IPS : Intrusion Protection System
(19) TR : Transformer
(20) GIS: Gas Insulated Switchgear
(21) ATS : Automatic Transfer Switch
3. SCADA 시스템 Symbol의 의미
SCADA시스템의 Symbol이란 HMI 상에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특정한 설비를 가리키는 이미지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로 사용되는 Symbol의 뜻은 선(Line)과 문자 (Text) 및 알려진 형태의 이미지를 제외한, 사전에 정의한 규칙에 의하여 표현되는 이미지를 지칭하는 명사형이다. Symbol은 전력계통 도면에 나타난 특정 설비(차단기, 단로기, TR 전력계통의 도면을 SCADA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이해하기 쉽도록 형상화 하여 설비들을 Symbol로 표현하며 불필요한 정보는 생략 및 간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이미지 이해의 직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미지로 표현한다.
4. Symbol 구성
1) Symbol의 정의
SCADA 시스템의 Symbol은 계통 정보와 급전/단전 정보를 효율적이며 직관적으로 표현 하기 위한 목적으로 Symbol을 배치 및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전력계통의 정보를 쉽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Symbol 항목별 주요 기능
항목 | 명 기능 설 |
계통 정보 | - 급전 계통정보를 표기하는 차단기, 단로기 정보 표출 - 더불어 Symbol 중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짐 |
전차선 급전 정보 | - 전차선을 직접적으로 표기하는 라인으로 화면에 표현 - 급전시 적색/청색 등의 컬러로 직관적 표기 - 단전시 흰색등의 컬러로 정보 표기 |
계통 알람 | - 계통을 보호하는 포인트들에 대한 정보로 사고 발생시 표출 - 전력 시스템 보호계전기의 알람에 대한 정보 표출 - TR의 문제 발생시 알람 정보 표출 - GIS 가스 압력, 전압, 전류등의 계통에 필요한 알람 정보 표출 |
링크 정보 | - 연관된 정보의 링크를 표기하는 기능 예) 페이지 링크, 주변 감시포인트 링크, 정보화면 링크 |
상태 정보 | - RTU 정보, IED 상태 정보, 사용자 추가 릴레이등 정보 표출 |
텍스트/이미지 정보 | - 섹션 정보( 에어섹션/절연구간 )등의 전차선의 중요 정보 표기 - TR 용량, 부하정보등의 전력 계통의 중요 정보 표기 - 설비 이력정보 설비명 정보등의 데이터 표기 |
◦ 핵심 Symbol은 젼력 급전/단전을 나타낼수 있도록 표현 하는 차단기와 단로기로 구성되며 추가적 정보를 위하여 가상의 포인트를 이용하여 기존 포인트의 값을 이용, 연산을 통하여 새로운 값을 표출하기도 한다.
◦ 송변전 및 전력 Symbol은 중요도 순에 따라 차단기 정보, 보호계전기 TRIP 정보, 단로기 정보, TR 및 기타 알람 정보, 통신 상태 정보로 나눌수 있다.
◦ 전차선의 핵심 Symbol은 라인 형태의 이미지로 전차선의 급전/단전을 나타낼수 있도록 구성하며 전압 릴레이 포인트(UVR/27) 포인트를 이용하거나 타 계통정보 포인트를 이용, 연산을 하여 가상의 포인트를 이용하여 표출하기도 한다.
◦ 전차선에 사용되는 Symbol은 중요도 순에 따라 전차선 정보, 차단기/단로기 정보, 계통 알람 정보, 기타 그 외의 정보로 나눌수 있다.
5. 제어케이블 포설기준
1) 제어케이블 포설도 작성
설계시 제어케이블이 통과하는 전구간에 대한 케이블 랙크, 케이블 트레이 등의 경과도를 작성하여 구간별로 기호를 표기한 케이블 포설도를 작성한다.
2) 제어케이블 포설기준
(1) 소내전원용 AC, DC용 케이블 포설은 별도 지침서에 따른다.
(2) 각 Feeder별 또는 그룹별로 구분하여 포설하되, 적당한 간격으로 바인딩하여 점검이 용이하도록 한다.
(3) 옥외기기 공급전원(AC, DC) 케이블은 인근 옥외분전반에서 연결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제어케이블은 중간에 접속점을 두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5) 가급적 교차(Cross)되는 부분이 없도록 포설한다.
(6) 다수의 케이블을 포설할 경우 양단에 번호찰을 취부하고 소선에도 결선되는 단자대의 단자번호와 일치하는 번호찰을 취부한다.
(7) 제어케이블은 전력케이블과 격리포설을 원칙으로 한다. 단, 불가피할 경우 전력케이블에 난연성 도료를 도포하여 화재 확산을 억제 토록 하고 제어케이블이 전기적 유도장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8) 선로변 개폐기 등의 제어케이블의 포설은 공동관로 또는 전선관 등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감시제어설비 (0) | 2017.09.03 |
---|---|
원방제어 시스템설계 (0) | 2017.09.03 |
SCADA SYMBOL 참조사항 (0) | 2017.09.03 |
전철주의 경간 (0) | 2017.09.01 |
가공배전선로 (0) | 2017.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