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 T-Bar, 전차선, 롱이어 취부

 

 

1. AL T-Bar 취부

 

지하구간 강체전차선의 AL합금 T-Bar의 취부는 다음에 의한다

 

1) AL합금 T-Bar의 반입

AL합금 T-Bar는 표식 되어진 채로 정성스럽게 반입하여 터널 내에서 운반 배치할 때에는 AL T-Bar에 비틀림이나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AL 합금 T-Bar의 비틀림 수정 및 굽힘

운반 배치할 때 발생한 AL합금 T-Bar의 비틀림은 가선이전에 수정하여야 한다. 곡선부분은 Rail Bender 또는 Screw Rail Bender등을 사용하여 T-Bar 1본마다 궤도 곡선을 따라 구부린다.


3) AL합금 T-Bar는 반드시 2점 이상에서 조가하고, 용접할 때까지는 두께 16[mm], 100[mm], 길이 600[mm]이상의 목판 등으로 다시 떼어서 교정한다.


4) AL합금 T-Bar의 용접

용접작업은 정밀하고 세밀한 작업으로 용접경험이 있는 기술자로 하여금 용접을 실시토록 하여 용접 들어가기 전 용접한 SAMPLE을 채취 국가 공인시험기관에 의뢰 방사선 투과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1) 용접전 Al T-BAR 용접각을 그라인딩할 때 45도 각으로 하는 것이 용접에 용이하다. 용접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는 가장자리이다. 1개소 용접에 소요되는 시간은 15 20분 정도가 소요된다.

(2) AL합금 T-Bar의 용접은 알곤 가스용접에 의한다.

(3) 용접부는 용접선에 부착 오물을 닦아 내고 Wire Brush로서 용접부의 산화피막을 제거함과 동시에 모재를 깨끗하게 한다.

(4) 용접봉은 모재에 적응하는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5) 용접 시에는 비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바이스로서 고정하고 용접 후에도 용접부 온도가 내려갈 때까지 떼어서는 아니 된다.

(6) 용접에 따른 BeadEar 및 트롤리선의 취부에 지장이 없도록 그라인더 등으로 정확하게 끝마감을 하여야 한다.

(7) 용접 후 AL합금 T-Bar에 비틀림이 생긴 경우는 동 개소를 절단하여 재 용접을 행하여 수정한다.

(8) AL합금 T-Bar의 하면에는 용접 후 무색의 방식 도료를 1회 정성들여 도포 하여야 한다. (Primer Paint, Epoxy Paint)


5) Epoxy Painting 작업

(1) Al T-BAR 용접이 끝나고 그라인딩 작업이 끝나면 Al T-BARTrolly Wire 사이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Epoxy Paint를 도포한다.

(2) 도포방식

- 지하부에는 환기를 하기전이라 결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마른 수건을 준비하여 도포개소를 깨끗이 닦아내야 한다.

- 로울러를 희석판에다 찍어서 Al T-BAR도포지점에 대고 한번 칠한 다음 잘못 칠해진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2. 전차선 취부

 

트롤리 와이어의 취부는 다음에 의한다.

1) 트롤리선는 타워(Tower)를 사용하여 비틀림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하여 T-Bar에 붙인다.

2) 트롤리선을 포설할 때는 적당한 장력을 가하여 Ear를 취부하고 나서 Stress가 남지 않도록 한다.

3) Ear는 롱 이어를 사용하거나 교차간선 및 곡선반경이 적은 곡선부에는 롱 이어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4) 트롤리선의 말단을 End Approach에 정확하게 같이 붙여서 Hook BoltAL합금 T-Bar에 고정한다.


3. 롱이어(Long Ear) 취부

 

강체 전차선을 최초로 설치하였을 때 카테너리 가선의 EAR와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약 1m 간격으로 고정하였었다.

이때 Trolley Wire에 장력을 약 1ton 정도 걸어서 취부 하여 수년을 사용하고 보니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 EarEar 중간에서 Al T-BARTrolley Wire 사이에 조그만한 공극이 생기는 까닭에 Ear 간격을 파장으로 하는 파가 되어 판타그래프 이선이 발생하였다.

- Trolley WireAl T-BAR에 취부된 후에도 드럼에 감겨진 버릇에 따라 비뚤어지려는 힘을 내장하고 있다가 어떠한 원인으로 Wire일부가 마모하여 약하게 되면 그 부분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마모는 가속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전차선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여 T-Bar에 롱이어를 사용하여 전차선을 지지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이 이 롱이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널선 설비 (CROSS OVER PART)  (0) 2017.10.16
지상부와의 이행장치(移行裝置)  (0) 2017.10.16
강체전차선로의 급전분기  (0) 2017.10.16
급전선(給電線)설비   (0) 2017.10.16
급전선(給電線)  (0) 2017.10.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