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력

 

장력은 전선이 인장되는 힘을 뜻하고, 전선을 인장하는 힘과 전선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장력은 전선의 지지점 부근에서 최대(최대장력)로 되고, 또한 지지점간의 중심 위치에서 최소(수평장력)로 된다.

 


1. 장력의 계산


         WS2

T = ---------

         8D

             

여기서, T : 전선의 장력[kg]

S : 경간[m]

W : 전선 단위 길이당 중량[kg/m]

{전차선 + 조가선 + 행거(전차선단위 길이당 환산 중량)}

D : 전선의 이도

 

 

2. 곡선로에 작용하는 횡장력(수평하중)

          TS

P = ---------

           R        

여기서,

P : 횡장력[kg]

T : 전선의 장력[kg]

S : 경간[m]

R : 곡선반경[m]

 

 

3. 탄성한도

 

전선은 어느 정도 장력에 비례하여 늘어나고, 또한 원래대로 돌아가지만 어느 한도를 넘는 장력을 가하면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는다.

탄성한도는 이 늘어나는 한도를 말하며 대체로 파괴장력의 50 60[%]이다

                                  파괴장력

표준장력 = ----------------------- [kg]

                              안전율

   

일반적으로 동선의 표준장력은 파괴장력에 대하여 안전율은 2.2 이상으로 하여 파괴장력의 45.4[%] 이하로 한다. 기타의 전선에 있어서 안전율 2.5 이상으로 하여 파괴장력의 40[%] 이하로 하고 있다.

 

 

4. 전차선의 이도(弛度)

 

한 개의 전선을 두 개의 지지점에 설치하는 경우에 쳐짐이 생기게 되는데 이 쳐짐을 이도라 한다.

 

- 전선의 최대이도


         WS2

D = ---------[m]

         8T

     

여기서,

W : 전선 단위 길이당 중량[kg/m]

{전차선 + 조가선 + 행거(전차선단위 길이당 환산 중량)}

S : 지지경간[m]

T : 전선의 장력[kg]

전선 가선에 있어서 실제 전선의 길이(실제 전선의 길이는 이도에 의하여 경간보다 어느 정도 길게 된다.)


                 8D2

L = S + -----------[m]

                 3S

           


카테너리 곡선과 이도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차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차선의 이선  (0) 2017.10.17
전차선의 마모  (0) 2017.10.17
전차선의 접속(더블이어)  (1) 2017.10.16
전차선의 가고 및 경사  (0) 2017.10.16
조가선의 접속  (0) 2017.10.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