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전설비 점검 및 검사일반
1. 변전설비
지하철운영에 필요한 전기를 한전으로부터 수전을 받아 각종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기기기의 총칭으로서, 도시철도 변전설비에는 차량운행을 위한 DC Part의 부하설비와 연락송전 및 정거장운영에 필요한 AC Part의 전원설비로 구분되며, 이러한 모든 설비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감시하는 SCADA System인 RTU설비가 포함된다.
1) 특별고압배전반
한전변전소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 수전단로기/차단기반, 지하철 인근 변전소와 연락송전을 위한 연락용단로기/차단기반 및 정류기용 변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류기용차단기반, 정거장운영에 필요한 고압배전용 변압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압배전용차단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고압배전반
고압배전용변압기(AC22.9kV/6.6kV) 2차전압을 공급받는 Main차단기반, 고압배전용 변압기의 장애 또는 운휴시 Main 차단기반을 연결하여 부하차단기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Tie차단기반, 변전소 운용에 필요한 전력과 각 전기실 및 중앙환기실에 전력을 공급하는 부하차단기반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지변전소에는 AC 7.2kV Main Bus에 무전압시 본선 고압 3호계를 기지구내에 공급하기위한 고압절체반(VSS)을 포함한다.
3) 변압기반
교류(AC) 전압을 사용목적에 따라 맞는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 되는 정지기기이다. 변압기종류에는 직류 1500V를 만들기 위한 정류기용 변압 기, 고압배전용 전력공급을 위한 고압배전용변압기가 있으며, 변전소내 실 내조명, 급ㆍ배기설비 전원 및 배전반 제어전원에 필요한 자체전력 공급 을 위한 소내용변압기로 구성되어 있다.
4) 정류기반
정류기는 정류기용 변압기의 출력전압(AC 600V×2)을 공급받아 다시 직류1500V를 만들어 전동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는 설비이다. 정류기용 변압기는 무부하 직류1620V, 정격부하 직류 1500V로 출력한다.
5) 직류차단기반(HSCB)
정류기 2차측 DC전력을 공급받는 정류기용 차단기반, 전동차량에 Positive (+) 전원을 공급하는 부하(Feeder) 차단기반, 부하차단기가 장애시 대체투입하는 예비용차단기반과 레일을 통해 Negative(-)전원을 공급하는 부극단로기반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차선의 전압강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차선 상.하행선을 서로 Link하여 사용하는 Tie 차단기반도 포함한다.
6) 축전지 및 충전기반
변전소에 설치된 각 반의 조작전원을 공급하는 설비로 Aux. Panel 에서 AC 380V를 공급받아 Battery 충전 및 제어전원을 동시에 공급하는 Battery Charger와 DC 110V를 공급하는 Battery로 구성된다.
7) Aux. Panel
소내용 변압기에서 AC 380V의 전압을 공급받아 변전소 내 배전반 조명, 전열설비(AC 220V), 축전지 및 환기설비(AC380V)에 전원을 공급하는 설비로, 상시 전력계통에 이상발생시 계통을 자동으로 절체 해주는 ATS가 내장되어 있다.
8) RTU설비
현장전력설비의 모든 상태감시, 제어 및 계측을 위한 단말장치로써 Main Module 과/O Module로 구성된다.. I/O Module은 Master의 제어 신호가 RTU로 전송되어 해당기기를 제어하는 D/O Module과 현장기기 상태를 RTU를 통해 Master로 전송하는 D/I Module 또한, 현장기기의 전압, 전류, 전력량 등의 Analog값을 연 속적으로 Master로 전송하는 A/I Module이 있다.
2. 점검 및 검사
1) 검사의 목적
지하철과 관련된 전차선 및 역사운영에 필요한 모든전력의 공급원인 변전소설비에 대하여 이상유무를 점검하고 검사 및 정비를하여 사고 와 장애를 미연에 방지하며,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므로써 열차의 정시운행과 안전을 통하여 승객에 대한 서비스에 만전을 기하고,또한 경영 혁신에 이바지하고자 함
2) 점검 및 검사 기준표
설 비 명 | 검 사 항 목 | 검사주기 | 비고 |
1. 몰드 변압기
| 1) 외부일반 가. 이상음 및 냄새발생 유무 나. 몰드의 외관상태 이상유무 다. 몰드 및 스페이셔의 절연변색 유무 라.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마. 탭, 접촉부, 도전부 등 기능양부 바. 각종 노출리드의 균열 오손유무 |
3일 3일 3일 반기 년간 년간 |
|
2) 보호장치 가. 온도측정 나. 보호계전기 연동시험 |
3일 3년 |
| |
3) 기타 가. 절연저항 측정 |
년간 |
| |
2. 단로기
| 1) 외부일반 가. 이상음 및 냄새발생 유무 나. 표시등 표시기 현시양부 다.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라. 지지애자 균열, 파손 및 오손유무 마. 접촉부 열화상태 여부 |
3 일 3 일 반기 반기 반기 |
|
2) 조작부 가. 개폐동작 및 제어계통 기능양부 |
반기 |
| |
설 비 명 | 검 사 항 목 | 검사주기 | 비고 |
3. 교류 가스 차단기(GCB)
| 1) 외부일반 가. 표시등 표시기 현시양부 나. 가스압력 적정여부 다. 이상음 냄새발생 및 케이블 접속부 온도 측정 라.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마. 주접촉 슬라이딩부위 소손 및 오손유무 |
3 일 3 일 3 일
반기 반기 |
|
2) 조작장치 가. 큐비클내 청결상태 나. 개폐기능 양부 |
반기 반기 |
| |
3) 기타 가. 절연저항 측정 나. 보호계전기 연동시험 |
년간 3 년 |
| |
4. 교류 차단기 (VCB)
| 1) 외부일반 가. 표시등 표시기 현시양부 나. 이상음, 냄새발생 유무 및 케이블접속부 온도측정 다.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라. 지지애자, 절연물 균열오손 유무 |
3 일 3 일
반기 반기 |
|
2) 조작장치 가. 개폐기능 양부 나. 큐비클내 청결상태 |
반기 반기 |
| |
3) 기타 가. 절연저항 측정 나. 보호계전기 연동시험 |
년간 3 년 |
| |
5. 정류기
| 1) 외부일반 가. 표시등 현시양부 나. 온도측정 및 전압계 동작상태 다. 외관상태 양부 및 케이블 접속부 온도측정 라. 통풍구 청결여부 마.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라. 애자 등 절연물의 이상유무 | 3 일 3 일 3 일 3 일 반기 반기 |
|
2) 조작장치 가. 다이오드 고장표시등 기능양부 3) 기타 가. 보호계전기 연동시험 |
3 일
3 년 |
| |
설 비 명 | 검 사 항 목 | 검사주기 | 비고 |
6. 계기용 변성기 (PT,ZCT, GPT,CT) | 1) 지시계기 동작상태 2)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3) 절연물의 파손 및 오손유무 4) 절연저항 측정 | 3 일 반기 반기 년간 |
|
7. 피뢰기 (LA, SA) | 1)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2) 애자의 균열, 파손 및 오손 유무 | 반기 반기 |
|
8. 축전지 및 충전장치
| 1) 축전지 가. 전조균열 및 외관청결 여부 나. 전해액의 적정여부 및 변색유무 다. 전해액 온도측정 라. 단자전압 측정 마. 전해액 비중측정 |
3 일 3 일 반기 반기 년간 |
|
2) 충전장치 가. 교류 입력전압 측정 나. 직류 출력전압 측정 다. Battery 전압 측정 라. 비상등 시험 마. 각 상과 대지전압 측정 |
3 일 3 일 3 일 반기 년간 |
| |
9. 직류 고속도 차단기 (HSCB)
| 1) 표시등, 표시기 현시양부 및 케이블 접속부 온도측정 2) 애자등 절연물의 파손 및 오손유무 3)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4) 주접점 및 아크슈트의 손상 이상유무 5) 개폐 및 제어기능 양부 6) 절연저항 측정 7) 주접점 간격측정(투입상태) 8) 투입 및 트립코일 저항측정 9) 보호계전기 연동시험 | 3 일 반기 반기 반기 반기 년간 년간 년간 3 년 |
|
10. 배전반
| 1) 외부일반 가. 배선의 손상 및 쥐등의 서식유무 나. 제어단자 이완여부 다. 제어스위치 기능양부 라. 애자등 절연물의 균열, 파손 오손여부 |
3 일 반기 반기 반기 |
|
2) 경보, 보호장치 가. 보호계전기 동작 및 오차시험 |
3 년 |
| |
3) 기타 가. 절연저항 측정(AC, DC제어전원 포함) 나. ATS자동 및 수동절체 상태여부 |
년간 년간 |
|
설 비 명 | 검 사 항 목 | 검사주기 | 비고 |
11. 접지 장치 | 1) 접지선 접속상태 및 단자함 상태양부 2) 접지저항 측정 | 3 일 년간 |
|
12.구축물
| 1) 피트구조물내 동물서식 유무 2) 피트구조물내 침수.배수상태(경보시험 | 반기 반기 |
|
13. 고압 휴즈류
| 1) 이상음 및 냄새발생 유무 2) 지지절연물의 균열, 파손 및 오손여부 3) 개폐기 접촉부분 열화여부 4) 주회로 단자조임 양부 5) 연결부 동작상태 양부 | 3 일 반기 반기 반기 반기 |
|
14. 연락 차단회로 | 1) 연락차단선로 저항측정 2) 연락차단 및 85X, 85X1 동작시험 | 년간 년간 |
|
3. 검사 전 조치사항
가. 검사준비
(1) 관련 양식 준비
(2) 검사항목, 검사방법 숙지
(3) 급ㆍ단전계획 수립
(4) 적절한 인원 배치(2인 1조 이상)
(5) 안전교육 실시
(6) 검사장비, 공구 준비
(7) 관련부서 단전계획 통보
나. 변전소 입실
(1) 전력관제에 입실통보 및 작업예정 사항 및 방법 협의
(2) 점검 및 검사 관련사항 현장 안전교육
(3) 전력계통도 및 현장기기 확인
(4) 검사대상 S/S 및 인근 S/S 전력공급 상태 확인
(5) 사용한 장비 및 공구 점검
다. 검사시 주의사항
(1) 차단기 급ㆍ단전 상태를 확인한다.
(2) 인근변전소 및 전기실로부터 역 가압여부 및 가능성을 확인한다
(3) 검전, 방전, 접지 등 안전조치를 시행한다.
(4) 절연장갑 등 안전장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5) 차단기의 투ㆍ개방은 전력관제 취급을 원칙으로 한다.
(6) 차단기의 투ㆍ개방 전,후에 관련자 모두에게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7) 작업완료 후 사용한 장비 및 공구를 확인한다.
(8) 차단기 투입 전 안전을 위한 접지 및 철거를 확인한다.
(9) 점검 및 검사완료 후 Remote S/W등을 점검하고 전력관제에 이상 현 시유무를 확인하고 퇴실한다.
'안전관리 > 안전.대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 7.2kV SWGR (0) | 2017.10.23 |
---|---|
AC 24kV SWGR (0) | 2017.10.23 |
변전설비 정기점검 사항 (0) | 2017.10.22 |
변전설비 일상 순시점검 (0) | 2017.10.22 |
정류기용 변압기 시험 및 검사 (0) | 2017.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