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
상용전원 또는 예비전원의 전압 및 주파수 변동과 정전시 안정된 교류 전원을 부하에 계속 공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PWM제어 정지형 정전압, 정주파수 무정전 전원장치이다.
1. 동작개요
(1) 정상운전
정류기는 상용전원을 받아 인버터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인버터는 양질의 교류전원을 부하에 공급한다. 별개 회로로 구성된 충전기는 자동으로 축전지를 충전시킨다.
(2) 정전운전
상용전원이 공급받던 인버터는 축전지 스위치가 접속되면서 축전지 전원으로
주어진 방전시간 동안 안정된 교류전압을 부하에 공급한다.
(3) 정상복귀 운전
차단되었던 상용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인버터는 정류기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정상 운전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축전지 스위치가 차단되고 충전장치는 방전된 축전지를 규정전압까지 충전시킨다.
(4) 바이패스절체 (동기절체)
인버터의 돌발적인 고장 또는 부하단락시 인버터에서 부하에 공급되던 전력은 별도로 구성된 바이패스 전원으로 동기 스위치에 의해 자동절체 된다.
2. UPS 성능 및 특성
출력용량(KVA) 항 목 | 30KVA | |||
성 능 및 특 성 | ||||
일반적 특 성 | 냉 각 방 식 | 강제 풍냉식 | ||
사 용 정 격 | 100% 연속사용 | |||
제어
방식 | 순변환부 | SCR 전파 정류방식 (급속차단 기능부) | ||
역변환부 | MICROPROCESSOR 고주파 IGBT P.W.M 제어 | |||
종 합 효 율 | 84% (입.출력 정격에서 정격 부하시) | |||
소 음 | 65db 이하 (1.5m 전방에서) | |||
전
기
적
특
성 | 입
력 | 정 격 전 압 | 380VAC | |
전압변동범위 | +10% , ‐10% | |||
상 수 | 3φ 3W | |||
주 파 수 | 60Hz ±5% | |||
역 률 | 0.87Lag (정격 입력전압에서) | |||
주파수동기 설 정 범 위 | 1HZ 또는 3HZ (선택기능) | |||
출
력 | 정 격 전 압 | 220‐110VAC | ||
전압변동범위 | ±2% | |||
전압조정범위 | 정격전압의 ±5% | |||
상 수 | 1φ 3W | |||
주 파 수 | 60Hz ±0.5% (인버터 Free Running시) | |||
과 도 전 압 변 동 범 위 | ±8%(50% 부하 급변시, 정전시.복전시,상용전원 절체시) | |||
과도응답속도 | 60mSec 이내 | |||
과부하내량 | 125% (10분) | |||
부 하 역 률 | 0.8Lagging | |||
파 형 왜 율 | 5% 이내 (선형부하, 정상 입력시) |
3. UPS 성능 및 특성
항 목 | 성 능 및 특 성 | ||
전
기
적
특
성 | 동 기 절 체 스 위 치 | 동기절체시 간 | 4mSec 이내 |
동 작 조 건 | 1) 인버터 고장시 2) 과부하시 3) 수동 절체시 | ||
직 류 전 원 | 정 격 전 압 | 270VDC | |
최 저 전 압 | 204VDC | ||
축
전
지 | 축전지종류 | NICKEL CADMIUM (MEDIUM RATE) | |
축전지용량 | 1.2V 150AH/5HR | ||
수 량 | 186CELLS | ||
정전보상시 간 | 30분 | ||
설치방법 | 철제 CABINET 내장 | ||
공 급 유 무 | 유 | ||
종
합
특
성 | 절 연 저 항 | 5메가 Ohm 이상 (DC500V 절연 저항계) (제어회로 및 반도체회로는 제외) | |
절 연 내 압 | 정격전압 x 2+1000V의 교류전압으로 1분간 인가시 이상이 없어야한다. 단, 최저내압은 1500V로 한다. | ||
온 도 상 승 (온도계법) | 트랜스 및 리액터류 : 140DEG. 이하 | ||
전력 반도체 소자류 : 70DEG. 이하 | |||
기 타(스위치류) : 30DEG. 이하 | |||
도 장 색 | MUNSELL NO. 5Y 7/1 | ||
외 함 보 호 등 급 | IP20 | ||
배 선 인 입 구 | 하 부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철도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차단기(GCB) (0) | 2017.10.25 |
---|---|
AT 전철변전소 (0) | 2017.10.25 |
관제용어 설명 (0) | 2017.10.23 |
차량한계 및 건축한계 (0) | 2017.10.17 |
조가선 일반 (0) | 2017.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