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락 차단반 시험
1. 연락차단반 일반
직류 급전 시스템 보호장치로 고속도차단기의 선택 특성에 의해 서만 사용하던 것이 부하의 증가에 따라 고속도차단기의 정정치 가 커진 결과 변전소 중간부근의 고장 검출이 곤란하게 되어 이 에 대한 대책으로 급전선 고장선택장치와 연락차단장치가 개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병렬급전하고 있는 차단기를 통신선으로 연결하여 급전선 고장시 대향하고 있는 2개의 차단 기를 상호 연락 차단하여 사고구간 정전을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여 대항하고 있는 2개의 고장선택장치의 보호범위가 변전소 중간부근에서 서로 중첩시키는 것이 가능하 게 되어 직류급전구간의 보호가 개선되었다.
현재는 54F, 50F, 연락차단반을 조합한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시스템 구성
연락차단반은 그림 48처럼 설치되어있다. 전원공급 지점에 위 치한 연락장치의 회로(이후 A side로 언급)와 수신측(이후 B side로 언급)의 회로는 각기 다르나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 능하다. A side에 설치되어 있을 때 단락편(short bar)를 A side 에 연결해야 하고 출력이 접점 a로부터 나오게 된다. B side에 설치되어 있는 때는 단락편을 B side에 연결해야하고 출력이 접점 b로부터 나오게 된다.
3. 동작 원리
계전기 R은 두 개의 코일(복합코일)이 있는데 이 코일은 전류가 전자력을 서로 상쇄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그림 49는 R계전기의 동작원리를 보여준다.
계전기의 감지전류를 IO라 하면 계전기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아 래 관계식이 성립해야 한다.
│IL-IB│ 〉IO
여기서 IL:선전류 IB:바이어스 전류
정상상태에서 A side의 R계전기는 무여자, B side의 계전기는 여자되어 있다. 자동차단 또는 기타 차단명령이 A side쪽에 보 내지게 되면 계전기가 동작하여 연락선을 개방하게 된다. 그 결 과 A side 에 있는 계전기가 동작하여 B side 에 있는 R계전기 가 무여자 된다.
케이블이 단선된 경우 연락선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고 동시에 차단기가 자동차단 되게 된다. 그런데 B side에 있는 R계전기가 무여자 되고 A side에 있는 R계전기가 동작한다.
케이블이 단락된 경우 B side의 전류흐름이 멈추게 되고 따라서 R계전기가 무여자 되고 side에 있는 연락선전류(IL)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IL과 IB의 차가 IO보다 크게 된다. (IL-IB〉IO) 그래서 A side에 있는 R계전기가 동작한다.
위에 언급한 것처럼 R계전기 동작 type에 따라 연락 차단, 연장 출력 같은 명령이 보조계전기 시퀜스 동작 의해서 전송하게 된다.
4. 시험 및 조정
(1) 연락 차단선 전류 조정
연락차단선 전류조정은 아래 순서에 따라 실시한다. 이러한 절 차는 양변전실에 연결된 분포 정전용량과 저항의 차를 보정하 여 시스템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다. 그 러므로 양변전실 사이에 통신상태를 잘 유지하여 조심스럽게 실시해야한다.
(2) 측정기구
㉠ Ammeter(최대치 30mA) 1개
㉡ Voltmeter(최대치 150V) 1대
㉢ 프러그가 붙어있는 리드선 1개(부속설비)
양변전실 연락차단반 절체스위치를 TEST위치에 놓는다.
양변전실 연락차단반 전원 스위치를 끈다.
연락선에 전원을 공급한다.
리드선을 Ammeter에 연결한다. (플러스는 적색 마이너스는 흑색에 연결)
A side 연락차단반 잭B에 플러그를 삽입하고 전류계를 읽는다. (눈금이 약 13-18mA를 가리킬 것이다.)
그리고 잭 L에 플러그를 삽입하고 잭 B에서 읽었던 값과 동일 한 수치에 대해 드라이버로 연락차단반 조정 스크류를 조정한다.
복선일 경우 양선에 동일한 절차를 실시한다.
아래 데이타를 기록한다.
연락차단반 공급전압
바이어스전류
연락선전류
#43절체 스위치
이 스위치는 "Normal" "Extension" "T"그리고 “TEST"의 4개 포지션이 있는데 운전형태에 따라 요구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연장급전의 경우 중립변전실의 두 개의 장치에 Extention에 위 치 시킨다. T급전의 경우 중립변전실 두 장치는 T에 다른 장치 에는 Extension에 위치시킨다.
Normal과 다른 위치에서 RL lamp가 점등된다.
(3) 전원 스위치의 스위치 동작순서
〈ON할 때〉
A사이드 장치에 연락선 전원을 공급하고 A사이드 B사이드 장치의 전원 스위치를 ON한다.
〈OFF할 때〉
A사이드 B사이드 연락차단 장치의 전원 스위치를 off하고 연락 차단 전원 공급을 off해야 한다.
주의 : 만일 위에 언급한 순서와 반대로 하면 시스템은 마치 전원 공급 고장을 포함 연락차단 명령이나 그밖에 유사
한 명령이 전송되는 것처럼 동작하게 될 것이다.
(4) 예비 시퀸스 TEST
이 시스템의 시험은 급전선이 살아있는 상태에서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연락선 전류의 흐름을 확인한 후 양변전실의 짝을 이루는 연락차단반의 절체스위치#43을 TEST위치에 놓는다. 이 경우 다른 장치의 절체스위치는 Normal에 위치해야 한다. 장치위에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눌렀을 때 양장치의 LL램프 가 점등될 것이다. 이 시험은 양변전실에서 각각 실시한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전압 계전기(OVGR 또는 64L) 시험 (0) | 2017.10.24 |
---|---|
SGR 선택 지락 계전기 시험 방법 (0) | 2017.10.24 |
계전기별 고유번호 (0) | 2017.10.23 |
변전소 소내 기타설비 (0) | 2017.10.23 |
보호 계전기 (0) | 2017.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