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구류 설치
1. 압축형 금구류(압축인류크램프, 슬리브) 설치
1)작업 순서
○ 접속 공구의 점검
(1) 유압기의 성능 및 유압계기의 정밀도를 확인한다.
(2) 선종에 적합한 다이스(Dies)를 사용하고, 공사 착수전 및 공사도중 수시로 다이스(Dies)의 치수 및 마모여부를 확인한다.
(3) 기타 접속공구의 수량, 규격, 기능 등을 사전에 철저히 점검한다.
○ 접속작업 준비
(1) 압축인류 및 슬리브(Sleeve) 내면에 이물질이 있으면 접촉저항을 증가시켜 과열 및 사고의 원인이 되므로 전선을 접속하기 전에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2) 압축인류 크램프의 잠바소켓 연결부 및 점퍼소켓의 이물질 부착방지용 테이프는 사전에 제거하지 말고 점퍼 연결시 제거토록 한다.
(3) 알루미늄 슬리브 및 압축인류 크램프를 전선 한쪽에 밀어놓고 강심 슬리브에 강심선을 삽입한다
○ 강심슬리브 압축
(1) 슬리브(Sleeve)에 강심을 완전히 삽입한다.
(2) 다이스(Dies) 규격을 확인하고 슬리브(Sleeve)는 중앙 좌우방향으로, 크램 프는 Steel Eye쪽에서 전선방향으로 압축한다.
(3) 압축은 상하 다이스(Dies)가 완전히 밀착된 것이 확인 될 때까지 작업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4) 압축이 끝나면 압축된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여 굽힘, 흠, 균열, 압축상 태의 적정여부를 조사하고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5) 강심슬리브 중앙에서 좌우로 알루미늄 슬리브가 삽입될 길이를 자로 정확히 재어 매직 등으로 쉽게 지워지지 않도록 표시하여 사진 촬영시 알루미늄 슬리브 위치 표시상태가 나타나도록 촬영한다.
○ 알루미늄 슬리브 압축
(1) 알루미늄 슬리브를 전선에 표시한 위치에 정확히 삽입한다.
(2) 충전재 주입구 마개를 열고 충전재를 주입한다.
(3) 충전재는 압축후 슬리브(Sleeve) 양단에 충전재가 스며 나올 정도의 충분한 양을 주입후 주입구를 막는다.
(4) 압축시 압축인류 및 슬리브(Sleeve) 양단의 전선이완을 방지하기 위하여마닐라로프 등으로 압축부의 1.0~1.5m 지점에서부터 압축부를 향하여 전선의 꼬임을 죄는 방향으로 단단히 감고 로프 끝은 고리를 만들어 나무막대 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죄어 압축시 소선의 늘어남에 의한 전선이완을 억제 한다.
(5) 다이스(Dies)규격을 확인하고 슬리브(Sleeve) 편위여부를 재확인한 다음 압축시 슬리브(Sleeve) 및 압축인류 크램프의 만곡선을 피하기 위하여 전선을 수평으로 한다.
(6) 슬리브(Sleeve)는 중앙에서 좌우방향으로, 압축인류 크램프는 Steel Eye쪽 에서 전선방향으로 압축한다. (7) 압축은 상하 다이스(Dies)가 완전히 밀착한 것을 확인하고 유압계기 눈금은 85ton 정도로 하며 1본 접속이 완료될 때까지 작업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
(8) 압축시 다이스(Dies)의 조합불량, 전선의 수평유지 불안전, 겹치는 길이의 부적정 등으로 인한 슬리브(Sleeve) 및 인류 크램프의 구부러짐이 발생치 않도록 주의한다.
(9) 압축후 압축부분의 굽힘, 흠, 균열, 압축상태의 적정여부를 조사하고 다이 스(Dies)틈에 의하여 생긴 알루미늄편을 줄로 잘 다듬어서 표면을 매끈하 도록 한다.
(10) 정확한 압축상태의 확인 및 기록보존을 위하여 자를 대고 사진을 확인한다.
2) 주요 착안 사항
○ 알루미늄 전선손질 방법
(1) 알루미늄 전선의 표면을 와이어 브러시로 잘 문지른다.
(가) 강심은 손질할 필요는 없지만, 녹이 슨 경우 녹을 닦아낸다.
(나) 오래된 전선의 경우 알루미늄선의 꼬임을 풀어 소선을 1가닥씩 정성들여 손질한다.
(2) 알루미늄 슬리브의 내벽을 벤젠으로 잘 닦아낸다.
○ 강 슬리브 압축 기록 내용
(1) 슬리브의 신장을 기록한다.
(2) 간이 압축 게이지로 강 슬리브 압축상태를 확인한다.
(3) 조인트슬리브 압축 기록표를 작성하고, 사진을 촬영하여 보관한다.
○ 알루미늄 슬리브의 선단위치 표시
적용전선 | 공칭단면적 | 마킹위치(ℓ) |
ACSR | 120㎟ | 340mm |
ACSR | 160㎟ | 360mm |
ACSR | 240㎟ | 415mm |
ACSR | 330㎟ | 435mm |
ACSR | 410㎟ | 505mm |
ACSR | 480㎟ | 490mm |
ACSR | 610㎟ | 630mm |
○ 알루미늄 슬리브 위치
(1) 전선 단말의 바인드 선을 풀고, 강슬리브 위에 알루미늄슬리브를 이동시켜 덮는다.
(2) 전선에 매직으로 표시된 선단위치에 알루미늄 끝을 맞추어 편위가 없도록 한다.
○ 충진제 주입
(1) 주입구를 통하여 콤파운드 주입기로 소정 량을 주입한다.
(2) 주입구의 나사를 손상하지 않도록 주입구에 나사를 박는다.
○ 충진제 주입
(1) 주입구를 통하여 콤파운드 주입기로 소정 량을 주입한다.
(2) 주입구의 나사를 손상하지 않도록 주입구에 나사를 박는다.
○ 알루미늄 슬리브 압축 기록
(1) 슬리브의 늘어남을 기록한다.
(2) 압축상태의 측정과 같이 간이 압축게이지로 알루미늄 슬리브의 압축상태를 확인한다.
(3) 조인트슬리브의 압축 기록표를 작성하고, 사진촬영을 하여 보관한다.
2. 스페이서 (Spacer) 설치
1)작업 순서
① 설계도서면에 명시된 간격대로 설치한다.
② 스페이서 설치 볼트의 조임은 전용 토크렌치를 사용하여 규정 토크로 확실히 조인다.
③ 조임 볼트의 너트 2도체는 상측, 4도체는 서로 양측이 되도록 설치한다.
④ 동상, 타상간의 위치와 방향을 맞추고 선로와 직각이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고, 삼각자 등을 사용해서 각 상의 전선에 대하여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2) 주요 착안 사항
① 스페이서는 다도체 선로에서 도체간에 일정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과 바람에 의한 진동발생시 이 진동을 흡수, 감쇠시키는 두가지 기능이 있다. 간격 유지 기능만을 갖는 것을 스페이서(Spacer)라고 하고, 상기의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갖는 것을 스페이서댐퍼(Spacer-Damper)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2도 체는 ‘스페이서’라고 표현하며, 4도체이상은 ‘스페이서댐퍼’라고 부른다.
② 스페이서 및 스페이서댐퍼는 사용개소, 도체수, 도체간격 및 구조상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2도체용 : Bar-type, Spring-type
(2) 4도체용 : Spring-type, Rubber-type
③ 설치간격표에 따라 스페이서카에 장치된 거리계에 의해 스페이서 취부위치를 결정한다. 또 지상에서 설치간격을 측정하는 경우도 있다. 설치위치를 결정할 때는 각 상의 설치취부위치가 벗어나지 않도록 맞추어 표시를 하여 둔다.
④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공구는 전용 토크렌치를 사용한다.
⑤ 스페이서카의 주행으로 전선의 꼬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설치 전 스페이 서카를 전후로 2-3회 이동시켜서 전선의 바른 자세로 한다.
⑥ 스페이서는 삼각자 등을 사용해서 각상의 전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한다.
⑦ 조임볼트의 너트는 2도체는 상측, 4도체는 서로 양측이 되도록 설치한다.
너트 및 와셔는 떨어뜨리기 쉬우므로 취급에 주의하고 예비품을 휴대한다.
3. 점 퍼 (Jum per)장 치 설 치
1) 점퍼선의 길이 결정
(1) 점퍼선은 정지 상태에서 철구 부재의 각 부로부터 필요한 이격거리를 유지 시켜야 한다. 따라서 설치에 앞서 필요 절연 간격을 확인해 둔다.
(2) 미리 한쪽 끝에 점퍼 소켓을 압축한 전선을 사용하여 각 상별로 절연간격을 측정하여 점퍼선의 길이를 결정한다.
(3) 점퍼 보강장치나 지지장치가 있을 때는 이것을 감안한다.
2) 점퍼선 절단
(1) 구부러지거나 벌어진 전선은 사용하지 않는다.
(2) 길이를 재확인하여 절단면이 직각이 되도록 절단한다.
(3) 절단한 점퍼선에는 설치 개소를 명시한다.
3) 점퍼소켓 설치
(1) 점퍼소켓의 점퍼선 삽입길이를 측정하여 점퍼선에 표시한다.
(2) 소켓에 콤파운드(Compound)를 주입한다.
(3) 표시 위치까지 점퍼선이 삽입 되었는지를 재확인한다.
(4) 양측 소켓방향을 맞추고 압축 전에 전선의 벌어짐 대책을 세운다.
(4) 압축기 조작 및 압축다이스의 밀착 상태를 확인하면서 압축 작업을 반복한다.
(5) 압축 후 압축게이지로 압축상태를 확인하고, 불순물을 제거한다.
4) 점퍼선의 설치
(1) 규모, 중량에 맞는 인상장치 및 인상용 로프, 활차 등을 설치한다.
(2) 보강장치나 지지장치가 있는 경우에는 점퍼선 설치 전에 설치하고, 분할핀 이나 너트의 설치 방향 등을 확인한다.
(3) 점퍼 소켓을 로프로 묶어서 인상한다.
(4) 점퍼소켓을 압축인류 크램프에 임시 고정하고, 볼트의 방향과 조임 토크에 맞게 점퍼 소켓을 설치한다.
(5) 전선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점퍼스페이서(Jumper Spacer)를 전선과 직각이 되도록 설치한다.
(6) 절연 간격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5) 주요 착안 사항
점퍼선의 길이 결정
(1) 측정개소 A, B, C 에 대한 각 치수는 설계자로부터 지시된 수치(최소거리)로 한다.
점퍼선의 형상과 절연이격거리
전압 | A | B | C |
154㎸ | 4.0 | 1.65 | 0.9 |
345㎸ | 6.5 | 3.3 | 2.2 |
765kv 공기절연 최소 이격거리(Clearance)
구 분 | 이격거리 | |||
1,000m | 1,300m | |||
아킹혼 간 격 Z(mm) | 현 수 | 애 자 련 | 4,800 | 5,000 |
V 조 | V조내 | 4,600 | 4,600 | |
내 장 | 애자련, 점퍼내 | 4,600 | 4,600 | |
표준절연 간격 ℓ 1 | 현 수 | 애 자 련 | 5,380 | 5,600 |
V 조 | V조내 | 5,150 | 5,150 | |
내 장 | 애자련혼, Jumper 혼 | 5,150 | 5,150 | |
최소절연 간 격 (mm) | 현 수 | 도체 ~ 하단암 ℓ 2 | 4,530 | 4,650 (4,770) |
도체 ~ 탑체 ℓ 3 | 4,900 | 5,040 | ||
V 조 | 도체 ~ 하단암 ℓ 2 | 4,650 | 4,770 (5,040) | |
도체 ~ 탑체 ℓ 3 | 4,900 | 5,040 | ||
도체 ~ 상단암 ℓ 6 | 4,590 | 4,710 | ||
내 장 | 도체 ~ 하단암 ℓ 2 | 4.310 | 4,420 (4,900) | |
도체 ~ 탑체 ℓ 3 | 4,900 | 5,040 | ||
도체 ~ 상단암 ℓ 6 | 4,470 | 4,590 | ||
이상시 절연간격 ℓ 4 (mm) | 1,850 | 1,930 | ||
상간 절연간격 ℓ 5 (mm) | 8,420 | 8,6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