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전압 조정기 (Induction Regulator)
권선형 유도기와 유사한 정지기로서 통상 입력측에 연결된 분로권선과 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직렬권선이 있어서 회전에 의해 양자간의 상대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직렬전압의 크기와 위상을 변경하고 출력측의 전압을 조정 하는 전압조정기이다.
병렬코일의 위치를 회전시켜 바꾸어 줌으로써 2차측 전압을 1차측 전압 V 1 ±E 2 의 범위 내에서 연속적 으로 조정할 수 있다. 조정하는 전력의 상수에 따라 단상 유도전압조정기 또는 3상 유도전압조정기라 한다.
유연송전시스템 (FACTS :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송전 전력 제어 기술을 도입해 전기의 흐름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송전 선로의 설비 이용률을 극대화하고, 송전용량을 증대 시키며 전압 변동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개념의 전력 송전 시스템 방식을 말한다.
1.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 (SVC : Static Var Compensator)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는 기존의 무효전력 조정설비인 전력용 콘덴서 또는 분로리액터에 비하여 제어의 연속 성이 구비됨으로써 전압 변동의 최소화 및 안정도 향상 등이 기대된다.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는 전력 계통에서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것과 산업용으로 부하보상 또는 Flicker 방지용으로 쓰이는 것 두 가지로 대별된다.
2. 정지형 동기조상기 (STATCOM :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STATCOM은 모선에 병렬로 연결되는 구성 요소이다.
STATCOM은 무효전력의 동적인 제어를 통하여 병렬 모선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TATCOM은 전압원 인버터로 이루어지며, 인버터는 변압기를 통해 모선에 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 및 제어기와 보조 구성요소들은 내후성을 갖는 건물에 배치된다. 변압기는 적절한 정격을 가지는 상용의 차단기를 사용하여 모선에 연결된다.
옥내기기의 주요 구성요소는
1) 6개의 폴 및 DC Clamp 폴로 구성된 인버터 구성기기, 2) 제어기, 3) 냉각시스템으로 구성된다.
3. 통합형 전력조류 제어장치 (UPFC : Unified Power Flow Controller)
종합 조류제어기(UPFC : Unified Power Flow Controller)는 STATCOM과 SSSC의 직류 링크단을 공유시켜 선로로 전송되는 무효전력과 유효전력을 총체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FACTS 기기이다.
UPFC는 정상상태에서 전력조류를 제어하는데 효과적이고 고장시 과도안정도를 개선하는 데에도 대단히 효과적이다. 또한 보상에 필요한 무효전력을 내부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송전선로의 어떤 지점 에도 설치 가능하고 전력계통의 확장이나 변경에 관계없이 운용 가능하다.
4. 위상변환 변압기 (Phase shifting transformer)
양단간의 전압 위상차 δ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선로 조류를 일정수준 증대 가능하게 하여 송전용 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극히 일부에서 적용되고 있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전선로 임피던스 (0) | 2017.12.11 |
---|---|
계통보호 고장 유형 (故障類型) (0) | 2017.12.11 |
동기조상기 (Synchronous Compensator) (0) | 2017.12.08 |
리액터 (0) | 2017.12.08 |
커패시터 (Capacitor) (0) | 2017.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