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선 (Wiring)


배선은 배전반내에 수납한 주회로기기, 보호계전기, 계기등의 전기적 접속을 구성하기 위한 전선의 접속 및 지지를 하는 것을 말한다. 배선 중 단선, 접촉불량, 혼촉 및절연불량 등이 생기면 배전반으로서의 기능이 완전 마비 되어 전력공급에 막대한 차질이 발생되므로 배선에는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배전반 내 제어회로의 배선방식은 Duct배선방식, 속배선방식 및 클리트 배선방식이 있다.
Duct배선은 다수의 전선을 사각형의 Duct내에 수납하고 개폐 가능한 뚜껑을 덮어 배선하는 방식으로 배선정리가 용이하고 배선의 보호가 가능하며 미관이 양호하므로 널리 사용된다. 속배선은 다수의 전선을 다발로 묶어 고정 시키는 배선방식으로 좁은 장소에 다수의 배선을 행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배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대가 필요하며 배선표면이 노출되므로 배선정리에 시간이 걸린다.
Cleat배선은 다수의 전선을 일렬로 나란히 하여 Cleat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도면없이 배선을 찾는 경우에 편리하다.



단선결선도 (Single Line Diagram)


단선결선도는 각종 전기접속도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서 변전소에 있어서의 기기와 계통과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단선으로 나타내고 기타 감시를 위한 계기, 계전기의 접속 및 종류등을 표시한 도면인데 계통의 전반적인 접속상 태를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으므로 전기설비 계획시 최초에 작성하게 된다. 단선결선도는 그 자체가 도면화 된 사양서인데 각 기기를 symbol 또는 약호로 표시하고 그 정격, 형식, 사양 등을 병기하며 기기의 발주시 사양서에 첨부한다.



3선결선도


3선결선도는 단선결선도가 접속선을 단선으로 표시한데 반하여 3선으로 표시한 것으로 복선 결선도 라고도 한다. 3선결선도는 단선결선도에 표현된 기기의 주회로 접속, 계기용 변성기, 계기, 계전기 등의 접속을 구체적으로 3선화 한 것이기 때문에 극성, 위상관계, 상변화, 접지장소 또 시험용 단자, 휴즈의 접속장소등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퀀스 다이아그램 (Sequence Diagram)


전개접속도는 배전반 제어장치 및 이에 관련되는 기기, 기구의 제어, 보호동작을 그 동작순서에 따라 기능을 중심으로 도시한 것으로 기기 자체의 성능과 함께 전기계통의 종합기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도면이다.
전개접속도는 단순히 동작의 순서를 주체로 표시하는 방식과 기기를 취부장소에 따라 표시하는 방식이 있는데 최근에는 전개접속도를 배전반 내부접속도와 겸용하는 종합적인 성격을 갖도록 하고 있다.
배전반 내부접속도를 생략하는 방식은 3선접속도 및 전개접속도에 배전반의 배선작업 및 보수점검에 필요한 각종 기호를 기입함으로써 접속도로서의 본질적인 면은 변함이 없도록 되어 있다.



이면접속도 (Back Wiring Diagram)


배전반 내부의 접속을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제작사에서의 배선작업과 배전반 내부배선의 보수점검용으로 작성한다. 종래에는 배전반내의 실제 기기배치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배전반 이면접속도를 작성하였는데 최근에는 제작사의 배전반 생산방식의 합리화에 따라 배전반 내부접속도를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는 추세이다.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응동 및 특성(應動 및 特性)  (0) 2017.12.12
계통보호  (0) 2017.12.12
계통보호 점검의 종류  (0) 2017.12.11
차단기 트립방식  (0) 2017.12.11
시간에 의한 계전기 정격구분  (0) 2017.12.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