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의 분류와 용도
1. 변압기 결선방식
(가) 조명, 동력용 TR
(1) 결선방식: 3상 4선식(△-Y)
(2) 전압 : 6.6[㎸]/380[V]/220[V]
(나) 신호용 TR
(1) 결선방식 : 3상 4선식(△-Y)
(2) 전압 : 6.6[㎸]/380/220[V]
(다) 본선 터널환기용 TR
(1) 결선방식 : 3상 4선식(△-Y)
(2) 전압 : 6.6[㎸]/380[V]/220[V]
(라) 냉동기 보조동력용 TR
(1) 결선방식 : 3상 4선식(△-Y)
(2) 전압 : 6.6[㎸]/380[V]/220[V]
2. 보호계통 구성
고압 6.6[㎸] 계통보호
(가) 과부하 및 단락 : 과전류 보호계전기(OCR, 51/51N)
(나) 부족 및 무(저)전압 : 부족전압계전기(UVR, 27)
(다) 지락 : 선택지락계전기(SGR, 67G)
구조상 변압기 분류
분 류 | 세 목 |
상수 | 단상 변압기, 3상 변압기, 3상/단상 변압기 등 |
내부구조 | 내철형 변압기, 외철형 변압기 |
권선의수 | 2권선 변압기, 3권선 변압기, 단권변압기 등 |
절연의종류 | A종, E종, B종, F종, H종 절연 변압기 등 |
냉각매체 | 자냉식 변압기, 수냉식 변압기 |
냉각방식 | 자냉식 변압기, 풍냉식 변압기 |
탭전환방식 | 부하시 탭 전환 변압기, 무전압 탭 전환 변압기 |
용도상의 변압기 분류
종 류 | 용 도 |
전력용변압기 | 발변전소 또는 배전선에서 전압을 바꾸어 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배전용변압기도 이 일부다. |
절연변압기 | 여러 계통간을 절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
이동용변압기 | 긴급대책용으로서 차량에 적재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변압기로서 간단한 변전설비를 붙인 것. |
접지변압기 | 전력계통에 중성점을 설치하여 직접 또는 적당한 임피던스를 통해 접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
정류기용변압기 | 정류기, SCR등의 전원변압기로서 정류법에 따라 종류가 많다. 정류기와 일체로 된 것도 있다. |
방폭형변압기 | 법규에 준거하여 폭발․가연성 분위기에서 사용되는 변압기로 공공기관의 인정이 있어야 한다. |
차량용변압기 | 교류전기차량에서 급전전압을 전동기 회로전압으로 강압하는 변압기로서 경량으로 제작된다. |
시험용변압기 | 주로 고전압 또는 대전류 시험전원으로 사용되는 변압기 |
정전류변압기 | 직렬 점등방식 등의 전원에 사용되는 변압기로서 2차 회로와 각 등과의 사이는 포화변압기로 절연된다. |
누설변압기 | 네온관 등의 방전관, 아크용접 등 저항 특성을 갖는 부하에 공급하는 전원에 사용한다. |
리액터 | 변압기는 아니지만 누설 무효전력을 지닐 목적으로 사용되며 직렬, 분로, 중성점리액터 등이 있다. |
'전기,철도 기술자료 > 전기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몰드 변압기의 운용 (0) | 2018.04.05 |
---|---|
일반전기 용어 (0) | 2018.04.05 |
부하의 종류 (0) | 2018.04.05 |
모터카 (0) | 2017.10.17 |
전기철도 (0) | 2017.10.17 |